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29 프라이빗 서브넷 접속시 오류문제
터미널에서 ssh 접속이 안되요.bash에서 접속해도 타임아웃이 됩니다.브라우저 연결시는 연결이 됩니다. 안되는 이유는 무엇이고, 차선으로 할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ASP.NET Core MVC +ASP.NET Core +REST API +.NET 8.0
12_3강 AutoMapper 설명 중에 MapperConfiguration
12_3강 AutoMapper 설명 중에 MapperConfiguration 설정을 사이트에서 복사해오는 부분이 있습니다. var configuration = new MapperConfiguration(cfg => cfg.CreateMap<Order, OrderD to>(), loggerFactory);공식사이트에서 new MapperConfiguration 생성시 loggerFactory 가 추가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강의 내용상 아직 DI를 다루지 않았고, 또한 로그가 그렇게 중요한게 아니라면 var configuration = new MapperConfiguration(cfg => cfg.CreateMap<APP_USER, CreatedUserDTO>(), NullLoggerFactory.Instance); 강의 듣는 분들은 이렇게 처리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해결됨대기업 근무하며 경험한 Redis를 야무지게 사용하는 방법 [이론편]
레디스 활용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알고 있는 Redis 지식을 복습하고, 또 어떤 새로운 이론이 있나 학습할 겸 강의 수강하고, 완강까지 했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궁금했던 점이 있습니다. 보통 redis-cli 환경에서 명령어를 치는 일이 많이 있는지 궁금합니다.Springboot 백엔드 개발 중 Redis를 도입해서 사용한다고 하면, 애플리케이션 단에서만 활용하고, cli환경에서 사용하는 일도 많이 있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소스커넥터는 사용안한 거 맞죠?
이전 강의에서 콘솔로 디비 이벤트를 소스커넥트로 추적하고 싱크커넥트로 추적한 내용을 저장했는데여기서는 소스커넥터로 추적하는 방식은 제외하고 싱크커넥터로 추적하는 방식을 사용해서 오더서비스 디비의 내용을 동기화한 건가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자료 업데이트 문의
깃허브에 올라와있는 강의자료는 언제쯤 업데이트 될까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bastion-server에서 private Ec2로 접근했을 때 git clone 오류
: Failed to connect to github.com port 443 after 136343 ms: Couldn't connect to servergit clone 받을 때 보안 그룹을 따로 설정해서 처리해야할까요 ???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중급/실전 (보안, 가용성편)
bastion host와 고가용성
가용영역 a와 b를 둔 이유는 고가용성을 위해서 만든 건데 만약 bastion host를 둔 가용영역 a가 장애가 발생하면 bastion host 또한 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배포 단계에서는 bastion host를 가용영역 b에도 배치해야 하지 않나요?그래야 진정한 고가용성 아닌가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에서 BCryptPasswordEncoder 에 역할(5-2)
강사님 이 부분에서 security password 가 (password 입력시) 기본값으로 사용하는 용도인가요?bCryPassword가 암호화를 해준다는 말은 알겠는데 이부분이 살짝 개념이해가 되지 않아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30. 누락된 테스트 시나리오 발견
"이 간단한 정규식을 사용하면 지금까지 테스트는 모두 통과할 것 같긴 한데 사용자 이름 정책에서 허용되지 않은 문자들은 걸러지겠지만 허용이 되는 문자들이 정규식에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테스트는 유지하면서 새로운 테스트케이스를 추가한다로 진행이된다.부분에서 추가되는것이 이해가 안되어 질문드립니다.이전 "email속성이 올바른 형식을 따르지 않으면 400 상태코드를 반환" 에선 누락된 부분을 기능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해결해왔는데 왜 "username 속성이 올바르지 않은 형식을 따르지 않으면" 에서도 테스트케이스 추가가아닌 기능을 수정해서 해결해야하는것 아닌가?또 기존의 "올바르게 요청하면 204 반환" 의 케이스와 의미가겹쳐 중복된 테스트케이스 추가 즉 잘못된 케이스추가가 아닌가? 라고 생각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초반부이지만 최고의강의 잘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시스템 디자인 첫걸음: 면접에서 돋보이는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하기
도움 되었어요!
우와아 아키텍처에 대해 고민하게 된 비전공자인데올려주신 강의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 업데이트 계획이 궁금합니다.
현재 강의를 약 60% 정도 수강한 상태이며, 이제 강의가 아직 업데이트되지 않은 부분만 남아 있습니다.향후 강의 업데이트 일정이나 계획이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업데이트 계획에 따라 남은 강의를 수강하려고 합니다.
-
해결됨대기업 근무하며 경험한 Redis를 야무지게 사용하는 방법 [이론편]
sentinel이라는게 kafka의 주키퍼와 비슷한 개념인가요?
카프카에서도 주키퍼라는 것을 통해 클러스터의 노드들에게 주기적으로 ping을 보내 heartbeat?이란걸 체크하여 어떤 클러스터가 다운되었는지 확인하고 다운된 클러스터의 토픽이 리더 파티션이 있으면 다른 클러스터의 파티션에게 리더 파티션을 넘겨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 강의를 보니 sentinel이라는게 비슷한 역할을 하는것 같습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69.테스트격리 / 과도한 테스트 격리의 문제 중 '부적절한 설계 왜곡'
강의: 섹션 14 - 69. 테스트 격리 과도한 테스트 격리의 문제점 중 '부적절한 설계 왜곡'의 예시로1) new 연산자로 직접 만들어도 좋은 클래스 인스턴스를 굳이 주입, 2) 클래스 의존을 인터페이스 의존으로 변경, 3) private을 public으로 변경을 들어주셨는데 다음과 같은 상황을 말씀하시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1) new 연산자로 직접 만들어도 좋은 클래스 인스턴스를 굳이 주입 & 2) 클래스 의존을 인터페이스 의존으로 변경: 테스트 대상을 완벽히 격리하기 위해 '단순하거나 변경 가능성 없이 구현체가 하나뿐인 의존 클래스'도 직접 생성 대신 주입받도록 변경해 mock으로 대체함.3) private을 public으로 변경: 다른 기능들에서 사용되는 private 메서드를 단독으로 테스트하기 위해 public으로 노출시킴.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오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잘 분리해야한다." 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아래와 같은 내용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이 있고, 이 생각에 대해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하여 질문 글 올립니다. "오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잘 분리해야한다." 저 또한,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분명하게 구분하기에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를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합니다.명확한 합의는 없으나, 팀 내 혹은 저에게 있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자 했습니다.단위 테스트 : 외부의 영향이 존재 하지 않고 가장 작은 단위로써 해당 부분 내에서만 테스트를 진행.통합 테스트 : 외부의 영향까지 반영하여 테스트. 스프링부트 테스트, JPA 테스트 등 이렇게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테스트에 대한 빠른 피드백테스트 할 때 빠른 피드백과 빠른 수정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단위 테스트의 경우 외부 영향 없이, mock을 통해 빠르게 내가 목록화한 테스트를 진행하며, CI 환경에서도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반면, 통합 테스트의 경우 비교적 시간 소비가 많이 됩니다. 스프링부트 테스트의 경우 비교적 적은 시간이 소비되지만, JPA 테스트와 같이 디비에 대한 테스트 혹은 다른 플랫폼( 예 : 키클락 등)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컨테이너와 같은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특히 저희 회사의 경우 테스트 환경이 많이 좋지 않아 시간이 훨씬 더 많이 걸리게 됩니다.그래서 저는 단위 테스트랑 통합 테스트를 분리하여 개발 환경에서는 단위 테스트를, 운영 CI 환경에서는 단위 + 통합을 함께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해서 진행하는 것은 나름 장점이 보이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 강사님의 의견과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아키텍처 개선
안녕하세요.양질의 강의 덕분에 제한된 시야에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섹션 18 - 안정감 있는 아키텍처 개선 챕터를 수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 했던 내용 두 가지를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질문 1."TDD를 사용해 만들어진 먹구름 아키텍처를 어느 시점에서 개선 해야 할까요?"질문을 하게 된 계기는 전형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레이어드 아키텍처를 첫 기능 구현 단계에서 부터 차용하여 개발을 진행 해왔는데, 왜 이 아키텍처를 사용했을까? 란 의문이 없었거든요.강의에서는 흔히 말해 스마트 UI 패턴으로 요구사항을 충분히 충족 해오며 점진적으로 개선 해왔습니다.그러다 모종의 이유로 내부 아키텍처를 개선 하면서 진행이 되었는데, 아키텍처를 개선 해야겠다고 느끼는 요소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요구사항이 추가 되었을 때 개발 비용을 최소화 하여 충족 시킬 수 있는가? 라고 생각을 하고 있는데, 현재 까지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확장성을 강요 받아본 적 없어서 감을 못 잡는 것 같습니다. 질문 2."어떤 영역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작성해야할까?"- 테스트 코드 작성 범위 고민위 질문 내용과 답변을 보고 무언가 감이 오는 듯 하나, 아직 정리되지 않는 느낌입니다.API 계층의 동작이 가볍다 또는 무겁다의 판단 기준 API 계층의 동작이 가벼운지 무거운지에 대한 판단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해당 강의에선 API 계층의 동작이 가벼웠기 때문에 API 스펙에 인수테스트를 진행 한 것 같습니다. 서비스 대상으로 테스트를 많이 실행하고, API 는 간단한 성공 경우에 테스트를 한다. 이 케이스에선 아래와 같은 테스트 시나리오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테스트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username 속성이 null 이거나 공백이라면 HasUsernameNullOrEmpty 예외를 반환한다 - username 속성이 올바른 형식을 따르지 않으면 InvalidUsername 예외를 반환한다 - username 속성이 올바른 형식을 따르면 User 객체를 생성한다서비스 테스트에서 위 3가지 케이스에 대해 검증인수 테스트에서 username 을 정확히 입력한 경우 상태코드와 유저에 대한 정보를 반환 하는지 검증 이렇게 테스트를 구성한다고 이해 했는데 제대로 이해한걸까요? 다시 한 번 질문을 빌미로 감사 인사를 드리면서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항상 건강하세요!
-
해결됨아키텍처와 함께하는 GCP (Google Cloud Platform)
Cloud Router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좋은 강의 남겨주셔서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강의 중에 Bastion Host를 통해 프라이빗 인스턴스에 접근할 때도 Cloud Router가 필요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제가 이해한 바로는 Cloud Router는 Cloud NAT 구성 시에만 필요한 리소스인 것 같아 헷갈려서 질문 드립니다.Bastion Host에서 프라이빗 VM으로 SSH 접속하는 경우에도 Cloud Router가 꼭 필요한 구성 요소인지 궁금합니다. 혹시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MSA 애플리케이션에 Spring Web과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궁금합니다. (MSA 설계와 관련된 질문입니다)
인사말안녕하세요. 질 높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너무 감사하다는 말씀드립니다.아직 강의를 모두 본 것은 아니어서, 제가 질문드리고자 하는 내용이 강의에 포함이 되어있을지 모르겠습니다만.. 궁금한 내용을 질문드립니다. 질문많은 모놀리식 프로젝트에서는 Spring Web + Spring Data JPA를 의존성을 주입하고 개발을 하고 저 또한 이러한 방식의 개발을 경험해왔습니다. Spring Data JPA와 Spring Web은 동기방식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MSA의 독립 모듈을 만들 때 해당 의존성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모르겠습니다.강의의 내용처럼 하나의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구성된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을 하게 될 것인데요.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 Spring Web과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는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이 있게 된다면 이쪽에서 병목이 일어나 엄청난 성능 이슈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이듭니다.이와 같은 고민을 갖고 GPT한테 물어보니 WebFlux와 R2DBC를 사용하여 모두 비동기적으로 만드는 것이 권장되는 사항이라고 하는데 이 답변이 맞을까요? MSA를 구성한다고 한들, 모놀리식보다 성능상 좋지가 않으면 MSA로 구축할 필요성이 없을 것인데, 제가 우려하는 성능상의 심각한 문제 / 병목현상을 예방하기 위한 설계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너무 궁금합니다. 추가적으로는 Speing web이나 Spring Data Jpa가 MSA에거 어느 점에 필요하게 됭까요? 성능 관점에서 도무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있습니다.질문이 너무 두서가 없는데... 질문 내용이 강사님께 잘 전달되었길 바랍니다..!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병렬 처리 시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전에 독립적인 환경에서 실행하면 병렬처리가 된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그렇다면 생성하는 코드 후 id 비교를 할 때다른 테스트 코드에서 상품이 등록되어 반환되는 리스트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는 이 테스트가 진행될 때는 다른 테스트가 동작하지 않게 처리하던가 하는 방식이 있나요? 예를 들어 최신 리스트를 반환한다고 할 때테스트 리스트를 넣고 act 하기 전에 다른 테스트에서 arrange 단계에 추가 코드가 동작되면act에서 리스트 조회할 때 반환할 때 다른 곳에서 추가한 값이 반환되어 테스트 실패 이렇게 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어떤 것이 업데이트 된 건가요?
강의를 한 번 수강했던 수강생입니다.반년전 듣고 실습을 안해서 까먹어서 다시 들어볼려고 하는데 어떤 게 업데이트 된 건지 알 수 있을까요? 기존에 커리큘럼별 강의 제목은 같은데 업데이트 된 건가요? 아니면 새로 찍으신 강의가 별도로 올라와있는건가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pring_cloud_gateway_requests_seconds_count를 Execute시 다른 요청을 하지 않았음에도 오류 요청의 숫자가 계속 증가합니다.
spring_cloud_gateway_requests_seconds_count{httpMethod="GET", httpStatusCode="401", instance="localhost:8000", job="apigateway-service", outcome="CLIENT_ERROR", routeId="user-service", routeUri="lb://USER-SERVICE", status="UNAUTHORIZED"}22spring_cloud_gateway_requests_seconds_count{httpMethod="GET", httpStatusCode="404", instance="localhost:8000", job="apigateway-service", outcome="CLIENT_ERROR", routeId="order-service", routeUri="lb://ORDER-SERVICE", status="NOT_FOUND"}회원가입과 로그인만 하더라도 이러한 것들의 숫자가 올라가 총 요청 수 중 성공한 숫자가 매우 적습니다. chat gpt에서는 자동으로 health-check를 해서 그렇다라고는 하는데 정확히 어떤 것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