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5회기출 (작업형 1-3)
5회기출유형 작업형 1유형에서 3번 문제순전입학생(순전입 학생 = 전입 학생 - 전출 학생)이 가장 많은 학교의 전체학생수를 정수로 출력하시오.이에 따라서 순전입학생 열을 내림차순으로 정렬 후 첫번째 행의 전체학생수를 print(int(df.iloc[0,-2])) iloc를 이용해서 구하는것은 이해를 했습니다. 응용해서 loc을 이용해서도 풀어보려 시도를 했으나, 그 결과 다른 답이 나왔습니다. print(int(df.loc[0,"전체학생수(계)"])) #611로 오답이 나옴 정답풀이: print(int(df.iloc[0,-2]))응용풀이:print(int(df.loc[0,"전체학생수(계)"])) 왜 다른 답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고수가 되는 파이썬 : 동시성과 병렬성 문법 배우기 Feat. 멀티스레딩 vs 멀티프로세싱 (Inflearn Original)
1-3강의 내용중 질문있습니다.
전반적인 내용은 이해를 했는데 포매팅에 대한 이해도가 아직 부족한것 같습니다.. 강의 코드 중 format = "%(asctime)s: %(message)s" logging.basicConfig(format=format, level=logging.INFO, datefmt="%H:%M:%S")이런 코드가 있었는데요, 왜 date포맷 형식이 출력될때는 먼저 나오나요? asctime이라는 저 포맷 형태가 자동으로 datefmt를 인식해서 그런건가요?
-
해결됨[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userMeProvider 연결하고 나서 로그인 문제
Authentication 마무리하기 편에서 onPressed: () async { ref .read(userMeProvider.notifier) .login(username: username, password: password);userMeProvider 프로바이더를 쓰고 나서 로그인 하면 로그인이 안되고에러 메세지에 WRONG_VERSION_NUMBER(tls_record.cc:242))이렇게 뜨는데 그냥 작성한 코드 중 어디가 틀린걸까요 ? ㅠㅠ
-
미해결Vue.js 중급 강좌 - 웹앱 제작으로 배워보는 Vue.js, ES6, Vuex
깃헙 요청드립니다.
인프런 아이디 : skswngusslab@gmail.com인프런 이메일 : skswngusslab@gmail.com깃헙 아이디: skswngussla@naver.com깃헙 Username : lyd1040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6 - G 반례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6 - G 제가 짠 코드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코드를 짜고나서 굉장히 놀랐는데 선생님과 코드가 거의 비슷하더라고요. 헐 내 실력이 여기까지 올랐나? 했는데 제 코드는 틀렸습니다ㅠㅠㅠ선생님 코드와 다른 점은 lo를 입력된 b+1로 한 것 밖에 없는데 왜 이거는 백준에서 3% 틀렸습니다가 나오는지 잘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립니다! #include<bits/stdc++.h>using namespace std;typedef long long ll;ll x, y, ret = -1;int main(){ cin >> x >> y; ll z = (y * 100) / x; ll l = y+1, h = 1e9; ll mid; while(l <= h){ mid = (l+h)/2; if(mid * 100 / (x+mid-y) > z){ ret = mid - y; h = mid - 1; } else l = mid + 1; } cout << ret << "\n";}
-
해결됨만들면서 배우는 프론트엔드 DO IT 코딩 (Next.js, Typescript)
[~~].toStr에 대해
안녕하세요, 요창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보던 중 한 가지 궁금한게 생겨서요!실제 현업에서도const pageToStr = Array.isArray(convertPage) ? convertPage[0] : convertPage; const sizeToStr = Array.isArray(convertSize) ? convertSize[0] : convertSize;위와 같은 코드(?) 가 자주 쓰이나요? 먼저 위를 예시로 들면 분명 client 에선 page을 number로 넘겼으나 api 에서 배열인지 아닌지 확인해줘야 하는 것은 인터넷에 찾아보니 next의 req.query의 타입이 string | string[] 이므로 타입을 지정해주고 있기 때문에 위에서 저렇게 체크를 해주는 것이라 이해했습니다.그럼 많은 부분에서 저렇게 배열을 구분하는 코드가 들어갈텐데 조금은 비 효율적이라 생각해현업에서는 다르게 사용할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1탄]
긴급!!)3강 root 비밀번호 이미 설정됨(?)
https://www.inflearn.com/questions/328457/mysql-root-%EB%B9%84%EB%B2%88 위 학생과 정확히 같은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기존에 mysql 이나 oracle 도 깔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자 정부 프레임워크를 새로 깔았습니다.(다만, 수업과 같은 버전이 서비스 종료되어 eGovFrame-4.0.0 로 깔았음)위처럼 Enter password: 까지 잘 접근 했는데 엔터를 누르니 1045 에러가 뜹니다.오타 문제는 아닙니다ㅜㅜMySQL 5.7 버전부터 임의의 문자열로 초기 비밀번호가 설정돼 있다는 이야기도 있더라고요..여하튼..빨리 진도 나가고 싶습니다! 빠른 해결 부탁드립니다..ㅜㅜ
-
미해결Git과 GitHub 시작하기
코드 뭉치 버리기(되돌아가기)가 없어요.
안녕하세요. 코드 뭉치 버리기가 나타나지 않는데.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FPGA 4강] PS 영역에 대해
안녕하세요.강의를 보면서, Processing system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일단 저는 Quartus로 Verilog HDL을 조금 배운 학부생 3학년이고, Xilinx Tool은 완전히 처음 접해봅니다. 원래 Vitis HLS에 관심이 생겨서 알아보다 이 강의를 수강하기에 이르렀네요.Vitis에서 C Code를 작성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Zynq에는 ARM Cortex A9 Processor가 있기 때문에, Vitis에서 C Code를 작성해도 FPGA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인가요? C Code가 Compile되어 ARM Assembly Code가 되고, 그 Assembly Code가 ARM Cortex A9 Processor에서 돌아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Vitis HLS에서는 C Code가 Logic Gate로?제가 알기로는 Vitis HLS가 C/C++ Code를 Verilog HDL로 바꾸어준다고 이해하고 있는데, 이 이해가 맞나요?그러면, 위에서 말한 것처럼 Vitis에서 작성한 C Code와 Vitis HLS에서 작성한 C Code는 완전히 다른 것인가요? 양질의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ScriptAssert 스프링 3.0.1 이상 / jdk 17 버전 이상 실행 불가 임시방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내쉬혼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 이제 jdk 17에서부터 deprecated 되면서 더이상 지원을 하지 않게 됬지만그래들로 임시방편이더라도build.gradle에 implementation ("org.openjdk.nashorn:nashorn-core:15.3") 로 강제로 연명은 아직 가능합니다..근데 내쉬혼이 현 자바스크립트 런타임이랑은 좀 머니최신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가진 graalVM 을 임포트해 와서 CustomScriptAssertValidator 클래스를 만들어 @Bean 등록을 하고 싶은데 어렵네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typedef ColorIdSetter = void Function(int id); 관련 질문
typedef ColorIdSetter = void Function(int id);정의를 해서 ColorIdSetter는 int id값을 받는 함수라고 이해했습니다.그리고 아래 코드에서 색상을 누르면 해당 색상의 id 값을 넘겨주는 것까지 이해했습니다GestureDetector( onTap: () { colorIdSetter(e.id); },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은,final ColorIdSetter colorIdSetter;위 코드 처럼 외부에서 받게 되면 아래 코드를 입력할때 (int id) 값을 어떻게 받아 와서 selectedColorId에 id를 넘겨줄 수가 있는 건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colorIdSetter: (int id) { setState(() { selectedColorId = id; }); }, onTap 메소드 안에서 colorIdSetter(e.id)로 넣어준 id 값이 colorIdSetter: (int id) {} 의 id로 들어가게 되는건가요?어떻게 그렇게 되는지 몇번을 봐도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 남깁니다 ㅠㅠㅠ 코드를 계속 보고 있으니까 점점 미궁으로 들어가는 거 같네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UrlSecurityMetadataSource 클래스의 reload() 메서드 질문이 있습니다!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섹션 5. "실전프로젝트 - 인가 프로세스 DB 연동 웹 계층 구현"의 "6) 웹 기반 인가처리 실시간 반영하기"강의를 보다 의문이 생겨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UrlSecurityMetadataSource 클래스에 다음과 같은 reload() 함수가 있습니다.여기서 "securityResourceService.getResourceList()"의 반환값과 "requestMap"의 타입이 똑같으니requestMap = securityResourceService.getResourceList();으로 바로 객체를 할당하면 될 것 같았는데, Iterator를 사용하여 put 하시는 것이 성능상의 문제나 다른 이슈가 있어서 이렇게 작성을 하신건지 의문이 들었습니다.새로운 List를 바로 할당하지 않고, 기존 List 객체를 유지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UrlSecurityMetadataSource 클래스 public void reload() { LinkedHashMap<RequestMatcher, List<ConfigAttribute>> reloadedMap = securityResourceService.getResourceList(); Iterator<Map.Entry<RequestMatcher, List<ConfigAttribute>>> iterator = reloadedMap.entrySet().iterator(); requestMap.clear(); while (iterator.hasNext()) { Map.Entry<RequestMatcher, List<ConfigAttribute>> entry = iterator.next(); requestMap.put(entry.getKey(), entry.getValue()); } }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직전화면으로 돌아가는 기능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항상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저 질문이 있는데 제가 예전에 선생님 강의에서 바로 직전화면으로 돌아가는걸 설명해주는 강의를 봤던 기억이 있는데 rootviewcontroller에서 -1 해서 직전화면으로 가는..? 이런 로직이었던거같은데 도저히 못찾겠어서.. 이런 질문 드려서 죄송하지만 혹시 그게 몇강인지 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nest-morgan 패키지 사용
안녕하세요! 강의 마지막 부분에 nest-morgan 패키지를 사용하면 된다고 하셨는데요. npm 문서를 확인해보니 해당 패키지가 deprecated 되어 있다고 명시돼 있습니다. 혹시 여전히 해당 패키지를 사용하고 계신지 혹은 다른 로그 패키지를 사용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3-11, 3-12 통신 오류 질문
3-11 WLAN 실습 중, PC0에서 무선 라우터를 거쳐 유선 라우터까지, 라우터에서 서버까지는 연결이 잘 되는데, PC에서 서버까지는 연결이 잘 되지 않습니다.비슷한 문제로, 3-12 VoIP 실습에서 VoIP 설정 전에 RIPv2를 적용해서 PC0->R1, R1->PC1은 연결이 잘 되는데 PC0->PC1은 핑이 가지 않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해당 강의 중 validation의 다른 front-end platform활용 효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validation파트 강의를 듣는 도중 bindingResult, FieldError등 SSR기술을 활용한 thymleaf, jsp와 같이 하나의 project에 front, back-end가 같이 설정되어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 기술 활용 시 제일 효율적이고 다른 vue, react.js같은 경우에는 해당 기술을 활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이 되는데요 맞을까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버퍼 사이즈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강의를 보다가 버퍼사이즈에 대해서 궁금한 사항 문의 드립니다. 강의에서 버퍼 사이즈가 65536바이트로 해주셨는데 그렇다면 RecvBuffer 클래스에서 실제 버퍼 사이즈는 세션마다 대략적으로 640KB의 크기가 될텐데 이게 실제 IOCP서버에서 적절한 메모리양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모의문제2 lightGBM 적용 질문
import pandas as pd train = pd.read_csv('train.csv') test = pd.read_csv('test.csv') pd.set_option('display.max_columns', None) # print(train.shape, test.shape) # print(train.head()) # print(test.head()) # print(train.info()) # print(test.info()) cols = train.select_dtypes(include='object') for col in cols : train[col] = train[col].astype('category') test[col] = test[col].astype('category') # 이걸 안 하면 lgb.predict(test) 구문에서 에러남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train.drop('price', axis=1), train['price'], test_size = 0.2, random_state=2023) import lightgbm lgb = lightgbm.LGBMRegressor(random_state = 2023) lgb.fit(X_tr, y_tr) pred = lgb.predict(X_val) from sklearn.metrics import r2_score, mean_absolute_error, mean_squared_error # print("r2 : ", r2_score(y_val, pred)) #0.2392705394376351 # print("mae : ", mean_absolute_error(y_val, pred)) #71.81171796246842 # print("mse : ", mean_squared_error(y_val, pred)) #63344.209788490516 pred_res = lgb.predict(test) pd.DataFrame({'price': pred_res}).to_csv('result.csv', index=False) print(pd.read_csv('result.csv')) y_test = pd.read_csv("y_test.csv") print(r2_score(y_test, pred_res)) #0.22012967580409581안녕하세요, 딴짓님lightGBM 모델 설명 주셔서 적용해보았는데요.이렇게 하는 게 맞을까요?for col in cols : train[col] = train[col].astype('category') test[col] = test[col].astype('category')이 부분을 하지 않으면 에러가 나긴 하더라구요. train[col]을 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옵니다.'DataFrame.dtypes for data must be int, float or bool.Did not expect the data types in the following fields: name, host_name, neighbourhood_group, neighbourhood, room_type, last_review' test[col]을 하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나옵니다.'train and valid dataset categorical_feature do not match.' lightGBM모델은 데이터 타입이 int, float, bool 이 세가지만 허용하게 되어 object 타입을 category 타입으로 변경train만 변경해주면 test[col]을 하지 않았을 때와 같은 에러메시지가 출력되니 test도 category로 변경이게 맞을까요? 평가지표 같은 것도 주석으로 작성했는데, lightGBM을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 확인 한 번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 2.x - Querydsl 이슈있는분들 참고하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lugins {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6.5'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1.RELEASE' id 'java' id "com.ewerk.gradle.plugins.querydsl" version "1.0.10"}group = 'com.example'version = '0.0.1-SNAPSHOT'sourceCompatibility = '11'ext["hibernate.version"] = "5.6.5.Final"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repositories { mavenCentral()}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javax.validation:validation-api' implementation 'com.fasterxml.jackson.datatype:jackson-datatype-hibernate5' //JdbcTemplate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jdbc' //MyBatis 추가 implementation 'org.mybatis.spring.boot:mybatis-spring-boot-starter:2.2.0' //JPA, 스프링 데이터 JPA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p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H2 데이터베이스 추가 runtimeOnly 'com.h2database:h2'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테스트에서 lombok 사용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querydsl 추가//def querydslDir = '$buildDir/generated'def querydslDir = "src/main/generated"//clean {// delete file(generated)//}querydsl { library = "com.querydsl:querydsl-apt" jpa = true querydslSourcesDir = querydslDir}sourceSets { main { java { srcDirs = ['src/main/java', querydslDir]} }}compileQuerydsl{ options.annotationProcessorPath = configurations.querydsl}configurations { querydsl.extendsFrom compileClasspath} 강사님이 올려주신 내용 + 구글링 + 직접 수정했습니다. 간혹, 빌드는 되는데 generated 파일에 QClass 안보이시는 분들은 queryDsl 저장되는 경로에 $buildDir 대신 'src/main/'으로 해보세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preprocessing MinMaxScaler와 minmax_scale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작업형2 수치형데이터 인코딩 MinMaxScaler로 열심히하다가,작업형1 min-max scale 문제에 위 수치형데이터 인코딩을 하면서 순간 혼돈이 왔었는데요,MinMaxScaler와 min-max scale의 preprocessing 차이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