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4863 서울에서 경산까지 질문
http://boj.kr/5f5e386ecfea43bd920db4389b6a16fd안녕하세요 강사님!해당 문제 예제는 모두 맞는데... 강사님 코드까지 확인해봤는데 로직이 크게 다른 것 같지는 않아서 계속 제 코드로 시도해보고 있는데 혹시 어떤 부분이 문제일지 봐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authenticationEntryPoint 에서 sendRedirect말고 formLogin을 다시 띄워주는 방법
제목과 일치합니다.response.sendredirect하지않고 security에서 제공하는 formLogin을 띄워주려면 어떻게 코드를 작성 해야 하나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안녕하세요. xdelete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아래코드에서 xdelete에서 굳이 소멸자를 호출해줘야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강의내용이 new, delete 함수를 재정의해서 사용하는거라서 명시적으로 xdelete를 사용하기 때문에 Knight 소멸자에 객체를 해제하는 코드가 없는것 같은데, 그렇다면 굳이 소멸자를 호출하지 않아도 되지않나요?만약 소멸자에 객체를 해제하는 코드를 구현해 놓는다면 사실상 free를 두번하는거지 않나 싶어서요. template<typename Type> void xdelete(Type* obj) { obj->~Type(); xrelease(obj);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동적 쿼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그 강의에서 동적 쿼리 작성은 QueryDSL을 사용해야 한다고 했는데, 강의에서 em.createQuery()로 JPQL을 작성하고 setParameter를 통해 바인딩을 한다면 그게 동적 쿼리 작성하는거 아닌가요???굳이 QueryDSL을 사용해야할 이유가 있나요??
-
해결됨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RDB와 NoSQL 차이
결국 table 형식인지 아닌지 차이 같은데,"RDB는 table 형식인 데이터베이스이고, NoSQL은 table 형식이 아닌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라고 설명하면 맞는 표현인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클라우드 환경에서 테스트할 때 디비 사용법이 궁금해요
GitHub Actions을 사용하여 우분투 가상환경 위에서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를 빌드할 일이 있었는데요. 빌드 과정에서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가 있더라구요! application-test.yml에서 사용할 db의 정보를 지정하는 부분에 로컬 호스트 디비를 사용했는데 우분투 가상환경에서 테스트가 수행되다보니로컬호스트 디비와 연결하는 과정에서 커넥션 에러가 뜨더라구요 ㅠㅠ 이런 경우에선 테스트 환경에서 인메모리 디비를 사용해야 하나요..??어떤 방법이 최선인지 궁금해서 질문 남기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초 SQL
ORDER BY 에서 ASC 와 DESC 를 같이 쓰는 방법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에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혹시 ORDER BY 에서 ASC 와 DESC 를 둘 다 사용 하는 조건을 걸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요?예를 들어, 해커랭크에서 풀었던 문제의 답이ORDER BY RIGHT(name,3), ID였는데, 만약 이름의 마지막 3글자 기준으로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고, 3글자가 동일하면 ID 기준으로 내림차순을 하고 싶다면 어떻게 표현하면 좋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Vue.js + TypeScript 완벽 가이드
두번째 프로젝트 권한 요청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권한 요청 부탁드리겠습니다.계정: abc282v@naver.com입니다.덕분에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Configuration 주석 이유
두가지 질문이 있는데요MySpringBootMain띄울때 HelloConfig 클래스에 @Configuration 이 있어도 잘 동작 하던데 주석 처리하는 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다른 질문인데요 @Configuration안에 @Component가 있어서 @Component 대신 @Configuration을 써도 되는것 같던데 빈여러개 등록할때 말고 하나의 클래스를 빈으로 등록할때 @Component 대신 @Configuration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찾아봐도 잘 안나와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게임 코드 리뷰] 유니티 캐주얼 게임 (엘리스팡)
SkeletonAnimation / Controller - Manager
[질문 List]#1 (Q1, Q2, Q3) , #2 총 4개 입니다.#1 SkeletonAnimation 제어BossController.cs에서 SkeletonAnimation 파일이 재생되는 부분에서 좀 더 알고 싶은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질문]시작 끝 지점에 대한 처리 -> 관련 질문 Q1,2,3구현하고 싶은 것특정 애니메이션이 끝나고 나서 어떤 팝업을 띄우고 싶은데, 트랜지션 느낌으로 SpineAnimation을 재생시키고 싶은데, 시작/끝 지점에 대한 처리를 어떻게 할지 알고 싶습니다.[[TestPopup 프리펩]] -Transition (SpineAnimation 컴포넌트 존재) - Viewport - UI 버튼, 텍스트 요소들 존재 [[TransitionController.cs]] SkeletonAnimation _spineAni; SkeletonDataAsset ani; bool b; void Init() ani = Resources.Load<SkeletonDataAsset>(string path); StartCoroutine(CoStart()); IEnumerator CoStart() _spineAni.skeletonDataAsset = ani; _spineAni.loop = false; _spineAni.Initialize(true); yield return new WaitUntil( () => b == true) [[TestPopup.cs]] [SerializeField] TransitionController tc; [SerializeField] GameObject viewport; //실행시킬 SpineAnimation 오브젝트 "Transition" 연결시키기 [SerializeField] GameObject go; void Awake() viewport.SetActive(false); tc = go.GetComponentInChildren<TransitionController>(); tc.Init(); => 이후, Q1이 해결될경우 viewport.SetActive(true) 작성 시점 확인 가능. Q1.Animation이 끝났을 때, viewport.SetActive(true)로 바꿔주려고 할 때, 어떻게 코드를 작성하면 좋을지 고민입니다.Transition이 재생 완료되었다는 event를 Popup에게 넘겨주는 방식을 생각하고 있는데 방향성이 맞나요?Q2. spineAni.loop = false 로 설정해도,애니메이션 타임만 증가하여 영원히 돌아가는 걸로 나온다고 알고 있는데, TransitionController에서 애니메이션을 1회만 실행하도록 코루틴으로 1회만 실행하고, 2회부터는 실행되지 않도록 WaitUntil로 멈추는게 옳은 로직일까요?SetAnimation은 SkeletonGraphic만 가능하다고 해서, 스파인 애니메이션을 1회만 실행시키는 방식이, spine 프레임워크 상에 구현되어있는데 제가 못찾는건지.. ( 제가 찾을땐 못 찾았습니다 )아니면, 없다고 가정하고 코드상으로 구현할 때, 저렇게 구현하는게 맞을지 궁금합니다.Q3. TestPopup 프리펩처럼, 어떤 팝업이 실행되기 전 spine 트랜지션 효과를 주고 싶을 때, TesoPopup 산하의 자식 오브젝트인, Transition / Viewport 오브젝트로 분리해서, Transition이 실행 중일때는 Viewport를 SetActive(false), 실행 완료되었을때 ViewPort.SetActive(true)를 해주는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하는게 괜찮은 방법일까요? #2 Controller ⊂ Manager ?Controller는 M V C 패턴 중, V에 해당하는 부분을 전부 포함하고 있는 코드라고 보면 될까요?제가 생각한 관련 MVC 패턴은 이렇습니다만,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합니다.View : Controller Code,Model: GameScene처럼 Scene코드 / GameManager / UI_ .. 구조적으로 GameManager가 로직을 전부 담고 있는게 맞지만, 편의성/가독성을 위해 Scene코드나 로직이 필요한 UI코드에 함께 적는 것도 가능하다.Control : (ex : UI_GameScene) UI Code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자를 만드는 어노테이션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써도 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엔티티 클래스 개발2 강의에서 Address 객체의 빈생성자를 만들때 protected를 사용하는것을 봤습니다. 혹시 여기서 어노테이션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를 사용해도 나중에 문제가 없을지 궁금합니다. 또 생성자를 어노테이션으로 만드는 것이 안좋을 수 있는 상황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질문 있습니다!
03-03번의 '최대 매출' 문제에서 슬라이딩 윈도우를 사용하실 때, 총 7개 중에서 4개씩 연속해서 옆으로 이동하실 때는, 처음 for문에서 4개의 연속된 값을 넣으셨습니다.ex) 1,2,3,4,5,6,7 이라면 첫 for문에서는 1,2,3,4 하지만 이번 문제에서는 7개 중에서 4개씩 연속해서 옆으로 이동하실 때는 첫 for문에서는 3개만 일단 넣고 시작하셨는데요.ex) 1,2,3,4,5,6,7 이라면 첫 for문에서는 1,2,3 이렇게 처음 for문에서의 연속된 값의 개수가 다른 점이 문제마다 의도가 다 다르기 때문에 다른 것이 맞나요? 문제마다 유연한 사고를 하기 위한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ㅠ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도메인 객체와 엔티티 객체 분리 시 객체 그래프 탐색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 선생님의 강의를 참 잘 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 편에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는 자유롭게 객체 그래프를 탐색할 수 있어야하지만 SQL로 개발하는 경우에는 처음 실행하는 SQL에 따라 탐색 범위가 결정된다는 문제가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엄격한 도메인 주도 설계의 관점에서는 '도메인 객체'와 '엔티티 객체'를 분리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로직을 다루는 도메인 객체가 JPA라고 하는 기술에 의존하는 것은 영 즐거운 일은 아니기 때문이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703756/having-separate-domain-model-and-persistence-model-in-ddd )그렇기 때문에 도메인 객체와 엔티티 객체를 분리하게 된다면 Repository 계층에서 예를 들어 findById를 했을 경우 엔티티 객체를 도메인 객체로 매핑해서 돌려주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럴 경우, 기존의 SQL로 개발하는 경우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매핑을 어디까지해서 돌려주어야 하느냐는 점이죠. Member를 조회했을 때, 객체 그래프 안에 있는 Category까지 싹싹 다 조회해와서 매핑을 해주기도 곤란한 노릇이고, MemberWithTeam, MemberWithOrderAndOrderItem... 와 같은 객체를 따로 따로 만드는 것도 요상해보입니다. 그렇다고 객체 그래프를 다 끊어놓자니 그것도 객체지향적이지 않은 것 같아보이구요.. 이런 상황에서는 어떤 식으로 도메인 객체를 설계하는지, 엔티티 객체의 매핑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지는지가 너무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게임 코드 리뷰] 유니티 캐주얼 게임 (엘리스팡)
BossController.cs
안녕하세요. BossController.cs에서 BossData.csv에서 TemplateID가 1~3만 존재하는데, if문 조건으로 작성된 , TemplateID<6Q. TemplateID가 3까지이므로, 6까지 도달할 일 없기 때문에 6으로 작성된건가요? if(TemplateID<6) else()Q.TemplateID가 6까지인데, else가 실행될 일이 있나요?LoadStage -> BossController.SetInfo()Q. 위 코드에서 TemplateID를 가져올 때, if(TemplateID==1) 작성된 부분은 어떤 내용인지, 왜 ID가 1로 작성되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나머지 2,3의 경우는 알 필요가 없나요?)
-
해결됨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TCP/IP 통신 및 포트에 대한 질문
3 way handshake 과정이 완료되면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된 상태이므로데이터(HTTP 메시지)가 담긴 패킷을 주고받게 된다. 이때 TCP 계층에선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수신됐는지 등을 검증한다고 배웠는데요. 그럼 3way handshake나 수신받은 패킷의 헤더들을 단계별로 확인한 뒤 실제 데이터를 소켓으로 전달하는 작업은 운영체제 관여 하에 이뤄지나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남은 포트 중 랜덤으로 할당받고(port=0),서버는 80 등으로 미리 지정해서 포트를 받는데 그러면 해당 프로세스의 포트가 정해지는 시점은 소켓을 생성할 때인가요? 프로세스 한개당 반드시 하나의 포트만 할당되나요? (ex: 포트 두개를 바인딩하고서버 소켓을 두개 연다, 한 클라이언트 프로세스가 여러 로컬 포트를 할당받을 수 있다 등이 가능한지..)실제 여러 포트를 할당받을 수 있다면 어떻게 활용되는지 궁금합니다.일반적으로 웹 서비스는 웹 서버(80 포트)와 WAS(8080 포트)로 구성하여웹 서버가 처리하지 못하는 요청은 WAS로 위임한다고 했는데, 웹 서버와 WAS 간 연결에도 http 통신을 사용한다면 웹 서버 프로세스는 기존 80 포트로 바인딩된 소켓을 생성해서 통신하는 것인가요?
-
해결됨SW 개발자를 위한 성능 좋은 SQL 쿼리 작성법
강의 연장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연장이 가능한지 궁금하여 질문 남깁니다.중간에 현재 수강하는 기기로 동영상 재생이 안되는 이슈와 더불어 개인 사정으로 인해 수강을 마치지 못하였습니다.ㅠㅠ "SW 개발자를 위한 성능 좋은 SQL 쿼리 작성법"을 수강중이며, 혹시 강의 연장을 해주실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번거롭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shop 빌드가 안됩니다.
java.io.StreamCorruptedException: invalid type code: 00> invalid type code: 00* Try:>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Exception is:org.gradle.api.UncheckedIOException: java.io.StreamCorruptedException: invalid type code: 00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62)at org.gradle.internal.UncheckedException.throwAsUncheckedException(UncheckedException.java:41)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rialization.PayloadSerializer.deserialize(PayloadSerializer.java:78)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runner.ClientProvidedPhasedActionRunner.run(ClientProvidedPhasedActionRunner.java:51)at org.gradle.launcher.exec.ChainingBuildActionRunner.run(ChainingBuildActionRunner.java:35)at org.gradle.internal.buildtree.ProblemReportingBuildActionRunner.run(ProblemReportingBuildActionRunner.java:49)at org.gradle.launcher.exec.BuildOutcomeReportingBuildActionRunner.run(BuildOutcomeReportingBuildActionRunner.java:65)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FileSystemWatchingBuildActionRunner.run(FileSystemWatchingBuildActionRunner.java:140)at org.gradle.launcher.exec.BuildCompletionNotifyingBuildActionRunner.run(BuildCompletionNotifyingBuildActionRunner.java:41)at org.gradle.launcher.exec.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lambda$execute$0(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40)at org.gradle.composite.internal.DefaultRootBuildState.run(DefaultRootBuildState.java:122)at org.gradle.launcher.exec.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execute(RootBuild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40)at org.gradle.internal.buildtree.InitDeprecationLoggingActionExecutor.execute(InitDeprecationLoggingActionExecutor.java:58)at org.gradle.internal.buildtree.DefaultBuildTreeContext.execute(DefaultBuildTreeContext.java:40)at org.gradle.launcher.exec.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lambda$execute$0(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65)at org.gradle.internal.buildtree.BuildTreeState.run(BuildTreeState.java:53)at org.gradle.launcher.exec.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execute(BuildTreeLifecycleBuildActionExecutor.java:65)at org.gradle.launcher.exec.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3.call(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java:61)at org.gradle.launcher.exec.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3.call(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java:57)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CallableBuildOperationWork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204)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CallableBuildOperationWork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199)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2.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66)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2.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59)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157)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execute(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59)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Runner.call(DefaultBuildOperationRunner.java:53)at org.gradle.internal.operations.DefaultBuildOperationExecutor.call(DefaultBuildOperationExecutor.java:73)at org.gradle.launcher.exec.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execute(RunAsBuildOperationBuildActionExecutor.java:57)at org.gradle.launcher.exec.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lambda$execute$0(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java:36)at org.gradle.internal.work.DefaultWorkerLeaseService.withLocks(DefaultWorkerLeaseService.java:249)at org.gradle.internal.work.DefaultWorkerLeaseService.runAsWorkerThread(DefaultWorkerLeaseService.java:109)at org.gradle.launcher.exec.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execute(RunAsWorkerThreadBuildActionExecutor.java:36)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continuous.ContinuousBuildActionExecutor.execute(ContinuousBuildActionExecutor.java:110)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ubscribableBuildActionExecutor.execute(SubscribableBuildActionExecutor.java:64)at org.gradle.internal.session.DefaultBuildSessionContext.execute(DefaultBuildSessionContext.java:46)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ActionImpl.apply(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100)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ActionImpl.apply(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88)at org.gradle.internal.session.BuildSessionState.run(BuildSessionState.java:69)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execute(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62)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execute(BuildSessionLifecycleBuildActionExecuter.java:41)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execute(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java:64)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execute(StartParamsValidatingActionExecuter.java:32)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execute(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java:50)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execute(SessionFailureReportingActionExecuter.java:38)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tupLoggingActionExecuter.execute(SetupLoggingActionExecuter.java:47)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tupLoggingActionExecuter.execute(SetupLoggingActionExecuter.java:31)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ExecuteBuild.doBuild(ExecuteBuild.java:65)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BuildCommandOnly.execute(BuildCommandOnly.java:37)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WatchForDisconnection.execute(WatchForDisconnection.java:39)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ResetDeprecationLogger.execute(ResetDeprecationLogger.java:29)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RequestStopIfSingleUsedDaemon.execute(RequestStopIfSingleUsedDaemon.java:35)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ForwardClientInput$2.create(ForwardClientInput.java:78)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ForwardClientInput$2.create(ForwardClientInput.java:75)at org.gradle.util.internal.Swapper.swap(Swapper.java:38)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ForwardClientInput.execute(ForwardClientInput.java:75)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LogAndCheckHealth.execute(LogAndCheckHealth.java:6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LogToClient.doBuild(LogToClient.java:63)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BuildCommandOnly.execute(BuildCommandOnly.java:37)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EstablishBuildEnvironment.doBuild(EstablishBuildEnvironment.java:8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BuildCommandOnly.execute(BuildCommandOnly.java:37)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api.DaemonCommandExecution.proceed(DaemonCommandExecution.java:104)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exec.StartBuildOrRespondWithBusy$1.run(StartBuildOrRespondWithBusy.java:52)at org.gradle.launcher.daemon.server.DaemonStateCoordinator$1.run(DaemonStateCoordinator.java:297)at org.gradle.internal.concurrent.ExecutorPolicy$CatchAndRecordFailures.onExecute(ExecutorPolicy.java:64)at org.gradle.internal.concurrent.ManagedExecutorImpl$1.run(ManagedExecutorImpl.java:49)Caused by: java.io.StreamCorruptedException: invalid type code: 00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irectMethodHandleAccessor.invoke(DirectMethodHandleAccessor.java:103)at org.gradle.tooling.internal.provider.serialization.PayloadSerializer.deserialize(PayloadSerializer.java:76)... 69 more 실전! 스프링부터와 JPA활용1 듣고있는데 첫 시작부터 빌드가 되지않습니다.혹시 잘못된점이 있을까요..ㅠㅠ?강의 자료대로 build.gradle Gradle 전체 설정은 복붙한 상태입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delete, insert 정답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답은 올려주셔야하는거 아닐까요? 디스코드 채널들어가도 다른 문제에 대한 코드 공유 밖에 없는 거같아서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개발환경 질문
안녕하세요 큰돌님윈도우에서 vscode를 사용하면 안 될까요 ??윈도우면 dev c++로 하는게 더 좋은가요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Bean annotation 위치 질문
AppConfig.java에서 memberRepository와 discountPolicy에도 @Bean annotation을 붙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외부적으론 Service만 사용되고 Bean 로드 시에도 없어도 문제없이 실행되는것으로 보이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