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모바일 웹 퍼블리싱 포트폴리오 with Figma
단위 관련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듣고 있다가 문득 궁금한게 생겨 문의 남깁니다.강의시 rem,vw 단위가 아닌 px단위로 퍼블리싱이 진행되는걸까요?보통 모바일웹은 px보다는 rem이나 vw 단위를 주로 사용한다는 이야기를 들은적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답변미리감사합니다
-
미해결타입스크립트 입문 - 기초부터 실전까지
프로젝트 실행
html 파일에서 Open with Live Server 하면 동작이 안하는데 따로 모 실행해 줘야 되나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G cmp 함수 질문
bool cmp(pair<int,int> a, pair<int, int> b){ if(a.first == b.first){ return mp_first[a.second] < mp_first[b.second]; } return a.first > b.first;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교안과 모범 답안의 cmp함수의 매개변수로 pair<int,int>가 그대로 들어가는데요?https://www.geeksforgeeks.org/sorting-a-map-by-value-in-c-stl/이 링크를 보면 cmp의 매개변수로 &을 붙여서 레퍼런스를 넘기는데레퍼런스를 넘기던 값을 넘기던 상관없는건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자유게시판 로그인일때 (비로그인 유저아닐때)
강사님 안녕하세요, 혹시 밑에 질문했는데 제가 잘못 말을 전달한것 같아서요비로그인일때는 피그마에서 작성자,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나타나는데로그인일때는 작성자, 비밀번호를 입력 못하게 나타나더라고여 근데 playground 가보면 파라미터를 받는곳을 보면 user 정보를 받는 파라미터가 없더라구요그래서 fetchBoard를 들어가서 user정보를 가져와도 null값이 나옵니다.그럼 피그마에 있는 저거는 로그인유저도 비로그인유저 화면으로 만들어야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annotation 강의
현재 로드맵을 따라 mvc1편을 절반정도 수강했는데 뒤로 가면@, annotation에 대한 설명해주시는 강의도 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부트 임베디드 모드 테스트 시 커밋
안녕하세요 강사님좋은 강의 감사드리고 해당 질문이 다소 답답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을 것 같아 죄송하지만 강의 실습하는 도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테스트할 때 임베디드 모드 DB를 사용하게 되면@Commit 어노테이션을 달더라도 실제 db 테이블에 데이터가 저장되지는 않더라고요실제 db가 아닌 임베이드 db를 사용해서 그런 것이라면 임베디드 모드 db를 사용할 때는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임베디드 모드로 동작하는 H2 데이터베이스도 함께 종료되고, 데이터도 모두 사라진다고 강의 자료에도 써있는데 그러면 @Commit 어노테이션이 무의미하게 되는 것인가요?제가 아래의 동일한 테스트를 여러번 돌릴 때마다 DB데이터가 다 사라지는 것 같더라고요(테스트 할 때는 로그로 데이터 개수를 찍어봤습니다)그럼 각 테스트 단위마다 새로운 임베디드 모드의 DB가 종료되고 다시 새롭게 생성되는 건가요?확인 후 답변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5-6. 괄호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연산자의 우선순위에 대해 설명하실 때 강의에서 말하는 ()는 operator가 아니라 primary expression이라고 하셨습니다.강의의 ()는 operator가 아닌데, 어떻게 연산자 우선순위를 설명할 때 포함될 수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늘 좋은 강의, 답변 감사합니다.
-
해결됨[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createAsyncThunk 진행 순서
제가 이번에 loadPosts를 createAsyncThunk로 구현하면서 createAsyncThunk의 진행 순서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index.js useEffect(() => { console.log("dipathch hi"); dispatch(loadPosts(10)); }, [dispatch]);reducers/post.js export const loadPosts = createAsyncThunk(LOAD_POST, async (data) => { trottle(); return data; }); const trottle = () => listenerMiddleware.startListening({ type: LOAD_POST, effect: async (action, listenerApi) => { listenerApi.unsubscribe(); console.log("Original state ", listenerApi.getOriginalState()); await listenerApi.delay(5000); console.log("Current state ", listenerApi.getState()); listenerApi.subscribe(); }, }); const postSlice = createSlice({ name: "post", initialState, extraReducers: (builder) => builder .addCase([HYDRATE], (state, action) => ({ ...state, ...action.payload.post, })) // loadPosts .addCase(loadPosts.pending, (state, action) => { state.loadPostsLoading = true; state.loadPostsDone = false; }) .addCase(loadPosts.fulfilled, (state, action) => { action.payload = generateDummpyPost(action.payload); state.mainPosts = action.payload.concat(state.mainPosts); state.hasMorePost = state.mainPosts.length < 50; state.loadPostsLoading = false; state.loadPostsDone = true; }) .addCase(loadPosts.rejected, (state, action) => { state.loadPostsLoading = false; state.loadPostsError = action.error; }) .addDefaultCase((state) => state), });제가 하나하나 console.log를 찍어서 확인한 진행 순서를 얘기해 드리겠습니다일단 화면을 처음 랜더링할때 index.js에서 dispatch가 제일 먼저 실행됩니다 그리고 post.js로 넘어와서 loadPost.pending -> loadPosts.fulfilled ->loadPosts = createAsyncThunk(LOAD_POST) 이 순서대로 진행이 됩니다 그래서 loadPosts.fulfilled에 generateDummpyPost()함수를 작성한 것입니다그래서 마지막에 createAsyncThunk가 실행이 되니 return이 필요없지 않나? 라는 생각에 return을 지워봤더니 post가 하나만 작성되고 그 이후는 작성되지 않았습니다제가 궁금한 부분은 세개입니다createAsyncThunk의 정확한 진행순서가 궁금합니다generateDummpyPost()함수를 저렇게 작성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https://blog.logrocket.com/redux-toolkits-new-listener-middleware-vs-redux-saga/ 에서 Throttling관련 얘기가 있어서 똑같이 따라 해봤는데 쓰로틀링을 createAsyncThunk에 장착하는 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쓰로틀링이 없어도 윈도우 이밴트로 요청이 한번에 많이 오는 현상은 없지만 그래도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리눅스 IPC 프로그래밍 - 이론과 실습
수업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IPC 프로그래밍에서 Live Programming(pipe) 수업을 듣는 도중 make 파일이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는데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 있을까요?환경은 Vmware CentOS 7.9 2개입니다.
-
미해결파이썬 무료 강의 (기본편) - 6시간 뒤면 나도 개발자
가변인자 강의 내용 중 코드가 출력이 안됩니다ㅠ
def profile(name, age, *language): print("이름 : {0}\t나이: {1}\t" .format(name, age), end=" ") for lang in language: print(lang, end=" ") print() profile("유재석", 20, "Python", "Java", "C", "C++", "C#", "Javascript") profile("김태호", 25, "kotlin", "Swift") 강의 내용 그대로 하였는데 "IndentationError: unindent does not match any outer indentation level" 라는 말이 뜨고요. 출력창에서는 "print()" 이 부분이 빨간 줄로 되어 있어요ㅠ오류의 원인을 아실까요,,
-
해결됨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맥 전용] 애플 개발자 계정만들기 부분에서, identifiers 누락 부분 질문
[맥 전용] 애플 개발자 계정만들기 강의 파트에서 누락된 부분이 있어서, 이게 누락된건지 아니면 제가 빠뜨렸거나 다른 부분에서 있었던 내용인가 해서 질문올립니다~!certificates 부분 만들고, 6:42초 부분에 Profiles로 넘어가시는데, 6:53초부분에 AppID에 저는 fooddeliveryapp ID가 셀렉트 메뉴에 안뜨더라고요.그래서 검색해 보니 Identifiers 부분도 등록해야 프로파일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는것 같던데, Identifiers 부분은 혹시 이 섹션 말고 다른 파트의 강의에서 나왔던 부분인가요? 현재는 이 부분은 강의에서 빠져 있네요Identifiers 등록 없이는 Profiles 등록이 안되는 것 같아 현재 구글의 다른 블로그 레퍼런스 검색해서 등록하려고 하는데,, 혹시 제가 다른 강의 파트서 나왔는데 누락했다면 그 강의 보고 다시 따라하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로그인 시 쿠키세션에 대하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로그인 시 인증 방법에 대하여 질문있습니다. 1. 로그인 할때 session 식별자를 쿠키와 함께 클라이언트에 전해주는 코드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로그인시 local-strategy가 실행되면 맨 마지막에 serializeUser에 user.id만 세션에 저장해 놓고 필요할때마다deserializeUser에서 userid를 뽑아올 수 있잖아요? 여기까지는 이해했습니다.그런데 로그인을 성공하면 어떤 코드에서 cookie가 session식별자를 프론트에 전달해주는지 궁금합니다.main.ts에서 app.use(cookieParser()); app.use( session({ resave: false, saveUninitialized: false, secret: process.env.COOKIE_SECRET, cookie: { httpOnly: true, }, }), ); app.use(passport.initialize()); app.use(passport.session());이 코드를 설정했기 때문에 로컬 전략 후 자동으로 쿠키를 통해 세션을 프론트에 전달해주는 것인지 궁금합니다.2. 웹이 아닌 모바일 앱에서 인증 시 백앤드 서버쪽에서 express-session과 passport를 사용하여 인증하는 것이 일반적인지 궁금합니다.모바일은 쿠키가 없기 때문에 쿠키세션은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쿠키말고 body에 session 식별자를 보내주어서인증이 가능하지 않을까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구글 검색결과 "된다 or 안 된다. 모바일앱에서는 passport나 session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라는 의견이 있어서 헷갈립니다.모바일앱에서는 passport와 session을 사용하지 않고 jwt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지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기본편
아이디 입력 오류
안녕하세요! 강의 듣던 중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서 남깁니다!!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하고 실행하면 아이디에는 v로만 입력되고 비밀번호는 또 입력이 됩니다!!비밀번호 부분 #처리하고 돌려봤더니 아이디는 그대로 v로만 입력되며, ctrl + v 눌렀을때 아이디 나오는걸 보면 복사까지는 되어있어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재 질문 여전히, 이렇게만 되고있습니다!!!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첫번째 붙여넣기가 안되고 있어요!지금 임시방편으로아이디를 두번 입력하는 방식 (첫번째에는 넣지 않고 두번째에 입력)으로 수정하니 진행됩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맥북 서리 관련하여
안녕하세요 리눅스 비바도 설치 영상을 보고 있는데제가 맥북으로 넘어온지 얼마 안돼서 잘 모르겠어요..맥북도 똑같이 설치 과정 따라오면 되나요?맥북도 리눅스 설치해야하나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미로 최단거리(BFS) 코드리뷰좀 부탁드립니다.
package DFS_BF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_08_11 { static int[][] board; static int[] dx = {-1, 0, 1, 0}; static int[] dy = {0, -1, 0, 1}; // 좌, 상, 우, 하 static int answer = Integer.MAX_VALUE; public void BFS(int L, int x, int y) { if (L >= answer) return; if (x == 7 && y == 7) { answer = Math.min(answer, L); } else { for (int i = 0; i < 4; i++) { int nx = x + dx[i]; int ny = y + dy[i]; // 좌상우하 if (nx >= 1 && nx <= 7 && ny >= 1 && ny <= 7 && board[nx][ny] == 0){ board[nx][ny] = 1; BFS(L + 1, nx, ny); board[nx][ny] = 0;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_08_11 T = new _08_11();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board = new int[8][8]; for (int i = 1; i <= 7; i++) { for (int j = 1; j <= 7; j++) { board[i][j] = sc.nextInt(); } } board[1][1] = 1; T.BFS(0,1,1); if (answer == Integer.MAX_VALUE) System.out.println(-1); else System.out.println(answer); } } 해설하신 Queue 를 이용하지 않고 풀었는데 해설과 비교하였을때 괜찮은 코드인가요?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코틀린 JPA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Sto라는 부모 엔티티가 있습니다.자식으로는 Realestate 라는 엔티티가 있습니다.해당 엔티티의 관계는 Sto + Realestate 이렇게 1개의 쌍을 이루어 생성이 됩니다.저는 @OneToOne 양뱡향 관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cascade 속성을 이용하여, Sto를 save 했을 때 하위 엔티티까지 함께 저장하려고 하고 있습니다.이때, 모든 엔티티를 val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Sto 생성자 호출 시 하위 엔티티에서 Sto 엔티티의 값을 알 수가 없어서 생성이 불가한 상태입니다.물리적으로 Sto + Realestate는 한쌍인데 방법이 없을까 싶어 문의드립니다.var + null을 사용하면, 어떻게든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양방향 설정을 위해 이렇게 풀어서 사용해야 하나 궁금하네요..@Entity @Table(name = "sto") class Sto( @Id @Column(name = "sto_id", nullable = false) private val id: String, @OneToOne( mappedBy = "sto", cascade = [CascadeType.PERSIST] ) val realestate: Realestate, @OneToOne( mappedBy = "sto", cascade = [CascadeType.PERSIST] ) val youtube: Youtube, ) @Entity class Realestate( @Id @Column(name = "realestate_id", nullable = false) private val id: String,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sto_id", nullable = false) val sto: Sto, ) fun main() { Sto( id = "sto_id", realestate = Realestate( id = "realestate_id", sto = 여기가 문제네요.. ) ) }
-
미해결즐거운 자바
51. 배열 1편 강의 중..
배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이라고 배웠습니다.예제 3번 실습 중 배열을 선언 하는 것에서int[] array1 = new int[5];위 코드가 0 1 2 3 4 5 해서 6개가 아니라 왜 int값 5개가 들어가는 배열이 선언된건지헷갈립니다..
-
미해결웹 애니메이션의 새로운 표준, Web Animations API
넓이를 %로 적용하긴 어려울까요?
넓이를 높이를 전부 고정값으로만 사용하게 되는데 혹시 해당 부분은 100% 로 채워서는 적용이 어려울까요?모바일까지 고려하게되면 퍼센트로 작업해야할것같은데 뭔가 넓이값이 달라지게 되면 중간중간 요소들 컨트롤이 아에 어려운 구조가 될까요?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안녕하세요 강사님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던 중 잘 풀리지 않아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java.kt다름이 아니라 실행시점에 샘플 데이터를 미리 저장시켜두고 싶어서 자바로 작성했던 위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코틀린으로 변경 후에 실행을 시켜보았습니다.그런데 실행을 시키면CGLIB, subclass 등 오류가 발생해서 구글 검색을 통해 최대한 해결해보려 하였으나, allOpen 설정도 해보고 이것저것 해보았음에도 해결하지 못해서 이렇게 염치불구하고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ㅜ 혹시 어떤 문제인지 아실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불변 제약 대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불변 객체를 공부하다 궁굼점이 생겨 문의드립니다.부작용 차단을 위한 불변 제약을 두는 대신Member.classpublic void setAddress(Address address) { this.address = new Address(address); } Address.classpublic Address(Address address) { this.city = address.city; this.street = address.street; this.zipcode = address.zipcode; }와 같이 항상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여 할당하는 방식을 사용한다면 값 변경에도 자유로울 수 있을 것 같은데 문제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