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기본편"
defineasynccomponent 을 이용한 Dynamic components 구현
Dynamic components 이용해서 tab 구성에 관한 강의를 해주셨는데요. 관련 소스를 찾다보니 vue3에서 defineasynccomponent으로도 구현이 가능한것으로 보입니다. defineasynccomponent을 이용한 tab 구성 관련해서 관련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레디스 설정이 추가적으로 필요없는건가요?
도커를 통해 레디스 설치후 라이브러리 설정 외에 별로의 URL이나 주소를 매핑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자동으로 연결되는 걸까요 ?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급해요] Ansible 컨테이너에 SSH 접속 오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사진과 같이 ansible-server 컨테이너 실행하고 ssh 접속 시 kex_exchange_identification: Connection closed by remote hostConnection closed by ::1 port 20022 오류가 나옵니다.host PC는 intel 맥북 ventura 13.5 버전입니다. [실행명렁어]$ docker pull edowon0623/ansible:latest$ docker run --privileged --name ansible-server -itd -p 20022:22 -p 8082:8080 -e container=docker -v /sys/fs/cgroup:/sys/fs/cgroup edowon0623/ansible:latest /usr/sbin/init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섹션28 오류 질문
검색 해보니까 input태그에 자식을 넣어서 발생하는 에러라고 하는데 코드에는input태그에 props를 넣은것 빼곤 그럴만한 에러사항이 없습니다. 무엇이 문제인가요..?ㅠ index.jsimport BoardWrite from "../../../src/components/units/board/write/BoardWrite.container"; export default function GraphqlMutationPage() { // 한 줄일 땐 괄호() 필요 없음 return ( <div> <div>########## 여기는 페이지입니다.####### </div> <BoardWrite />;<div>########## 여기는 페이지입니다.####### </div> </div> ); } BroadWrite.container.js:import { useMutation } from "@apollo/client";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BoardWriteUI from "./BoardWrite.presenter"; import { 나의그래프큐엘셋팅 } from "./BoardWrite.queries";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Write(props) { const [writer, setWriter] = useState(); const [title, setTitle] = useState(); const [contents, setContents] = useState(); const [나의함수] = useMutation(나의그래프큐엘셋팅); const onClickSubmit = async () => { const result = await 나의함수({ variables: { // variables 이게 $ 역할을 함 writer: writer, title: title, contents: contents, }, }); console.log(result); }; const onChangeWriter = (event) => { setWriter(event.target.value); }; const onChangeTitle = (event) => { setTitle(event.target.value); }; const onChangeContents = (event) => { setContents(event.target.value); }; return ( <div> <div>$$$$$$$$$여기는 컨테이너입니다.$$$$$$$$</div> <BoardWriteUI aaa={onClickSubmit} bbb={onChangeWriter} ccc={onChangeTitle} ddd={onChangeContents} /> <div>$$$$$$$$$여기는 컨테이너입니다.$$$$$$$$</div> </div> ); } BroadWrite.presenter.jsimport { RedInput, BlueButton } from "./BoardWrite.styles"; export default function BoardWriteUI(props) { return ( <div> <div>@@@@@@@@@@@여기는 프리젠터입니다.@@@@@@@@@@</div> <div> 작성자: <RedInput type="text" onChange={props.bbb} /> 제목: <input type="text" onChange={props.ccc} /> 내용: <input type="text" onChange={props.ddd} /> <BlueButton onClick={props.aaa}>GRAPHQL-API 요청하기</BlueButton>; </div> <div>@@@@@@@@@@@여기는 프리젠터입니다.@@@@@@@@@@</div> </div> ); } BroadWrite.styles.jsimport styled from "@emotion/styled"; export const RedInput = styled.input` border-color: red; `; export const BlueButton = styled.input` background-color: blue; `;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push_back, 이동생성자 질문
class Person { public: Person(string name) { this->name = name; cout << "기본 생성자 " << name << endl; } Person(const Person& p) { this->name = p.name; cout << "복사 생성자 " << this->name << endl; } Person(Person&& p) noexcept { this->name = p.name; cout << "이동 생성자 " << p.name << endl; } ~Person() { cout << "소멸자 호출 " << this->name << endl; } public: void operator = (Person&& p) { cout << "이동 대입 " << p.name << endl; } void operator = (const Person& p) { cout << "복사 대입 " << p.name << endl; } public: string name; }; std::vector<Person> v; int main() { ios_base::sync_with_stdio(NULL); cin.tie(NULL); cout.tie(NULL); v.push_back(Person("Kim")); v.push_back(Person("Lee")); Person p1("NY"); v.push_back(p1); return 0; } 위처럼 실행시 Kim에 대한 임시객체 생성 -> vector에 넣을 데이터 이동 생성자로 생성 -> 임시객체 해제(소멸)순으로 진행될라 생각하여 디버깅 한 결과 제 생각과 맞은듯 하였습니다.위처럼 생성자들이 호출이 되었고 그다음에 "Lee"임시객체를 생성하고 push_back하는 경우 똑같은 과정대로 push_back될거같았는데 그러지가 않고위처럼 기본생성자 호출 (임시객체) -> 이동생성자 호출 (벡터에 넣을 데이터 noexcept최적화 ) -> 이동생성자 호출?...(여기서 임시객체에 대한 소멸자가 호출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여기서 부터 멘붕이 왔는데 제가 지금 std::vector의 push_back멤버 함수의 동작방식을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인지와왜 Lee에 대한 이동생성자가 호출되고나서 Kim이라는 변수를 가지는 이동생성자가 한번 더 호출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것도 Person("Lee")를 v에 push_back하는 상황에서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graphQL 기반의 nestjs API를 생성하는 강의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섹션 27의 8-5 CURD API 강의를 듣다가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해당 강의에서는 boards.resolver.ts 파일에 fetchBoards함수와 createBoards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board.entity.ts 파일, create-board.input.ts 파일, boards-service.interface.ts 파일을 아래와 같이 만드셨습니다. 아래 세 파일은 구조가 거의 동일한데, 왜 이렇게 같은 구조의 파일을 세개나 만들어서 타입스크립트 타입 정의에 사용하는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그리고 어떤 것은 class로 정의하여 타입스크릡트에 사용하고, 어떤 것은 interface로 정의하여 타입스크립트로 사용하는데 어떤 차이인지 질문 드립니다.// board.entity.ts 파일 import { Field, Int, ObjectType } from '@nestjs/graphql'; import { Entity, Column, PrimaryGeneratedColumn } from 'typeorm'; @Entity() @ObjectType() export class Board { @PrimaryGeneratedColumn('increment') @Field(() => Int) num: number; @Column() @Field(() => String) title: string; @Column() @Field(() => String) contents: string; @Column() @Field(() => String) writer: string; }// create-board.input.ts 파일 import { Field, InputType } from '@nestjs/graphql'; @InputType() export class CreateBoardInput { @Field(() => String) writer: string; @Field(() => String) title: string; @Field(() => String) contents: string; } // boards-service.interface.ts 파일 import { CreateBoardInput } from '../dto/create-board.input'; export interface IBoardsServiceCreate { createBoardInput: CreateBoardInput; }
-
미해결[개정판] 딥러닝 컴퓨터 비전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교수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강의 내용을 질문할 경우 몇분 몇초의 내용에 대한 것인지 반드시 기재 부탁드립니다.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mmdetction에서 각 객체 별로 map를 도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만약 도출하려면 어디서 수정을 어떻게 해야될까요...도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spring initializr 문의드립니다
현재날짜기준,gradle-groovygradle-kotlinmaven 3개뿐입니다. 영상처럼 gradle-java 가 없어요ㅠ
-
미해결퀀트 투자를 위한 주식 자동매매 봇 만들기 Part 1
파이참 가상환경 설정도 해주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Vue.js + TypeScript 완벽 가이드
Chart.js(3.9.1버전) 안되시는분들 이렇게 해보세요
<template> <div> <canvas id="myChart" width="400" height="400"></canvas> </div> </template> <script lang="ts"> import Vue from "vue"; import { Chart, registerables } from "chart.js"; Chart.register(...registerables); export default Vue.extend({ mounted() { const ctx = ( document.getElementById("myChart") as HTMLCanvasElement ).getContext("2d"); if (ctx) { const myChart = new Chart(ctx, { type: "bar", data: { labels: ["Red", "Blue", "Yellow", "Green", "Purple", "Orange"], datasets: [ { label: "# of Votes", data: [12, 19, 3, 5, 2, 3], backgroundColor: [ "rgba(255, 99, 132, 0.2)", "rgba(54, 162, 235, 0.2)", "rgba(255, 206, 86, 0.2)", "rgba(75, 192, 192, 0.2)", "rgba(153, 102, 255, 0.2)", "rgba(255, 159, 64, 0.2)", ], borderColor: [ "rgba(255, 99, 132, 1)", "rgba(54, 162, 235, 1)", "rgba(255, 206, 86, 1)", "rgba(75, 192, 192, 1)", "rgba(153, 102, 255, 1)", "rgba(255, 159, 64, 1)", ], borderWidth: 1, }, ], }, options: { scales: { y: { beginAtZero: true, }, }, }, }); } }, }); </script>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2스위치와 L3스위치에 대해 궁금합니다.
스위차란것이 경로를 선택하는 역할을 하고L2는 MAC주소를 기반으로, L3는 IP주소를 기반으로 경로를 선택하게 되는데 가장 큰 차이점이 라우팅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L3는 라우팅테이블도 참고하여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것이고 L2는 그냥 단순히 MAC 물리주소가 오고간 경로만 설정하는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조회한 모든 빈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모든 빈을 조회하기 위해 임의의 클래스를 생성하여, 해당 클래스의 생성자에 autowired로 빈을 등록하려 할 때, 해당 빈과 의존성이 있는 discountPolicy가 등록된다는 것은 알겠습니다.그런데, 이렇게되면 싱글톤 보장이 되는건가..?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스프링에서는 싱글톤을 보장하기 위해서 discountPolicy 중에 하나만을 빈 팩토리에 등록할텐데, 여기에 임시로 만든 클래스에서는 결국 ratediscountPolicy와 fixDiscountPolicy가 모두 등록되는 상황이므로, 싱글톤이 보장되는건가요..?조금 생각해보면, 사실 싱글톤은 하나의 객체를 가지고 있는거여서 해당이 안될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확실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추가적으로, 한 interface의 두개의 객체를 빈 팩토리에 등록하려고 하면 에러가 뜨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Map에서는 어떻게 두 개의 구체 클래스를 모두 가져올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리눅스 비밀번호
맛비님 안녕하세요. 리눅스 root 비밀번호를 까먹었는데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도무지 생각이 안납니다...
-
미해결[초급] QML 프로그래밍 1편
현재 강좌가 "QML 입문편"입니다. 후속 강좌가 있나요? ( 중/고급 )
입문편 후속 강좌가 있습니까?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안녕하세요 2-E 푸는중 질문이있습니다.
http://boj.kr/066bf2d88dcc4b16be8da489d9449b1c정답은 맞추었는데조건체크부분에서 전부 1이거나 전부0인부분을 체크할때에 문자열의 크기가1일때 전부 합이 4거나 0이면 전부1이거나 0인조건으로 체크하여 결과를 리턴했는데 깔끔하지 못한것같아 혹시 조건문체크에서 전부1이거나 0을 체크할수있는 좋은 방법이있을까 싶어 질문을남겨봅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async return 자료형이 Promise인 설징에 대한 질문
async로 선언된 함수의 반환형은 promise아닌가요? console.log(res)가 문자열 hello async를 출력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비트코인 암호화폐 자동매매 코인봇 만들기 Part 2 - 자동수익 코인봇 만들기
손절 코드 추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혹시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경우 손절 하는 코드는 따로 없는 것 같던데, 백테스팅, 실전 코드에 업데이트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수익률이 -3%가 되면 매도 할 수 있으면 더 좋은 전략이 될 수 있을 것 같은데... 코린이라 한계가 있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스타일링 마무리 진행시 에러 발생
안녕하세요 선생님 앞전에 다른분글의 리플로stat_repository.dart파일에 return response.data['response']['body']['items'] 여기서 예외가 발생했다는 _TypeError (type 'String' is not a subtype of type 'int' of 'index')에러가 난다고 리플 달았었고 선생님께서 타입때문에 나는오류일 것이다 라고 답변 주셨었는데요. 제가 어제 7월30일 일요일 해당강의를 처음부터 다시 코드를 따라쳐서 Hive까지 정상적으로 강의를 마쳤습니다.그리고 에러가 날까봐 스타일링 에러나기전 구간과, 스타일링마무리 직후 코드를 따로 저장을 했고.이상없이 강의를 마친후 마무리 코드역시 저장해서 백업했습니다. 그리고 오늘 3번째 코드작성을 했는데스타일링 마무리하기에서 같은 에러가 뜹니다.그래서 어제 정상적으로 진행했던 코드3개를 하나씩 다시 복원하며 실행해보고 시뮬레이터의 앱도 삭제한 뒤 재실행해봐도 똑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분명 어제는 정상작동하던 코드였습니다.선생님의 깃헙의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붙혀넣어도 에러가 발생합니다. 저는 이유를 잘 모르겠지만.혹시 드는생각에 API자체에서 뭔가 다른타입으로 된 json코드가 들어오는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지만 저는 초보라 알수가 없습니다. 아무튼 코드를 원상복귀 한뒤 디버그 콘솔에서 뜨는 메세지는 [VERBOSE-2:dart_vm_initializer.cc(41)] Unhandled Exception: type 'String' is not a subtype of type 'int' of 'index'#0 StatRepository.fetchData<asynchronous suspension>#1 Future.wait.<anonymous closure> (dart:async/future.dart:525:21)<asynchronous suspension>#2 _HomeScreenState.fetchData<asynchronous suspension> 입니다.1.번구간의 코드는stat_repsitory.dart 파일에 return response.data['response']['body']['items']에서 발생하고2.번구간의 코드는home_screen.dart 파일에final results = await Future.wait(futures);에서 발생합니다.추가로 포스트맨에서 해당 api를 호출하면 <OpenAPI_ServiceResponse> <cmmMsgHeader> <errMsg>SERVICE ERROR</errMsg> <returnAuthMsg>LIMITED_NUMBER_OF_SERVICE_REQUESTS_EXCEEDS_ERROR</returnAuthMsg> <returnReasonCode>22</returnReasonCode> </cmmMsgHeader> </OpenAPI_ServiceResponse>이렇게 호출됩니다. 원래는 정상적으로 json 타입으로 호출이 됐었습니다. 호출수 제한에 걸려서 에러가 나는걸까요? 아무튼 현재 저의 고민은중급강의는 이미 구매했지만 초급강의 마지막 달력스케쥴과,미세먼지앱 강의가 어려워 넘어가기전에 최대한 3~4번 이상 복습하고 넘어가려했는데 혹시 이 에러로 인해 코드복습이 어렵다면바로 중급강의로 넘어가도 될지 궁금합니다.현재 저의 수준은 모든강의를 3번 정도는 봤고처음따라하면 아무것도 모르겠고 그냥 코드만 따라치다가두번째는 단편적인 흐름은 보이지만 여전히 반은 무지성이고세번째 봐야 그래도 어느정도 이해되는 부분이 꽤 생기는그런 수준에 있습니다.중급강의는 무서워서 못넘어가고 있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MySQL on Docker
docker run ... -h -h옵션이 무엇인가요
docker run -it --name db002 -h db002 -p 3307:3306 \-v /db/db002/data:/var/lib/mysql \-v /db/db002/log:/var/log/mysql \-v /db/db002/conf:/etc/percona-server.conf.d \-e MYSQL_ROOT_PASSWORD="root" -d percona:5.7.30
-
미해결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강의 자료 요청 드립니다!
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