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Mac 단축키 변경
안녕하세요, Mac Pro M4칩 사용중입니다.단축키가 강의에서 보여주신 것과 달라 제대로 작동이 안됩니다.해당 단축키 설정은 어디서 변경할 수 있을까요?대표적으로 설정이 다른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package 만들 때 command + N -> 파일 생성mysql 쿼리 실행 -> command + enter -> 그냥 enter 실행됨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안녕하세요! 테스트 질문입니다
강의에서는 인기글을 테스트할때 DataInitializer클래스에서 아래와 같은 코드를 사용했습니다. void createComment(Long articleId, long commentCount) { while(commentCount-- > 0) { commentServiceClient.post() .uri("/v1/comments") .body(new CommentRequest.Create(articleId, "content",null, 1L)) .retrieve(); } }이렇게 사용해봤더니 카프카에 전달이 되지 않더라구요 void createComment(Long articleId, long commentCount) { while (commentCount-- > 0) { CommentRequest.Create request = new CommentRequest.Create(articleId, "content", null, 1L); try { // 요청 로깅 추가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System.out.println("Request body: "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quest)); commentServiceClient.post() .uri("/v1/comments") .body(request) .retrieve() .toBodilessEntity(); // 응답 처리 추가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rror: " + e.getMessage()); } } }이렇게 사용해야 인기글 서비스에서 아래처럼 로그가 찍히는걸 확인했습니다. 어디를 확인해야할까요 .. 몇시간째 해결을 못해서 질문드려요!![HotArticleEventConsumer.listen] received message = {"eventId":136009554918850560,"type":"COMMENT_CREATED"
-
미해결비전공자를 위한 풀스택 맛집지도 만들기 프로젝트!: Front, Back-end 그리고 배포까지
카카오맵API 지도 관련
.category-item에서 width를 24%로 해야 4등분이 되고 25%로 하면 3등분이 됩니다. 이건 제가 질문하려는 내용과 뭔가 관련이 있는 것 같아서 말씀드리는거고 css #map에서 height를 픽셀로 안하면 지도가 나오지도 않고 픽셀로 해도 지도가 일부분만 나옵니다. 지도자체를 인용하는거는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왜 안나올까요?@font-face { font-family: 'ChosunCentennial'; src: url('https://gcore.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206-02@1.0/ChosunCentennial.woff2') format('woff2');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 padding: 0; margin: 0; box-sizing: border-box; } html{ font-size: 10px; font-family: 'ChosunCentennial'; } nav{ background-color: white; } .nav-container{ padding: 1rem 0; display: flex; flex-direction: row; justify-content:space-between; align-items: center; } .nav-title{ font-size: 3rem; } .nav-contact{ font-size: 2.5rem; border: 0; background: none; cursor: pointer; font-family: inherit; } .category-title{ font-size: 3.5rem; } .category-item{ width: 24%; height: 5rem; background: none; border: none; font-family: inherit; font-size: 1.6rem; } .category-item:hover { color: orange; cursor: pointer; } .inner{ padding: 0 1.5rem; } @media all and (min-width: 1024px){ .inner{ max-width: 1024px; margin: 0 auto; } } /*카카오맵 css*/ body{ height: 100vh; } nav{ height: 59px; } main{ padding-top: 1.5rem; height: calc(100%-59px);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 #map{ flex-wrap: 1; width: 100%; height: 100px; }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31강 UserServiceV2 오류
31강에서 BookService 클래스에 강의와 똑같이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실행하면 UserServiceV2 오류가 발생합니다.UserRepository의 Optional<User> 형식을 받지 못해서 생기는 오류인 것 같은데, 어떻게 수정해야 하나요?error: incompatible types: Optional<User> cannot be converted to User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UserServiceV2.java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User(String name) { //SELECT * FROM user WHERE name =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 if (user == nul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userRepository.delete(user); }BookService.java@Transactional public void loanBook(BookLoanRequest request){ //1. 책 정보 가져오기 Book book = book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BookName()).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2. 대출 기록 정보 확인하여 대출 중인지 확인 //3. 대출 중이면 예외 발생 if(userLoanHistoryRepository.existsByBookNameAndIsReturn(book.getName(), false)){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진작 대출되어 있는 책입니다."); } //4. 유저 정보 가져오기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UserName()) .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5. 유저 정보와 책 정보 기반 UserLoanHistory 저장 userLoanHistoryRepository.save(new UserLoanHistory(user.getId(), book.getName())); }UserRepository.javapackage com.group.libraryapp.domain.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Optional<User> findByName(String name); }우선 오류를 없애기 위해 UserRepository에서 Optional을 빼고 null처리를 하도록 수정하였는데, 실행 시 오류는 없지만 웹UI로 테스트하면 서버 내부 오류가 발생했다고 뜹니다. 어떻게 수정해야 제대로 처리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추가로 이렇게 수정하였을 때, 이후 코드를 작성할 때 Optional 형식이 아니어서 발생하는 다른 오류가 없는지도 궁금합니다.UserRepository.javapackage com.group.libraryapp.domain.us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User findByName(String name); }BookService.java@Transactional public void loanBook(BookLoanRequest request){ //1. 책 정보 가져오기 Book book = book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BookName()).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2. 대출 기록 정보 확인하여 대출 중인지 확인 //3. 대출 중이면 예외 발생 if(userLoanHistoryRepository.existsByBookNameAndIsReturn(book.getName(), false)){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진작 대출되어 있는 책입니다."); } //4. 유저 정보 가져오기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request.getUserName()); if(user == null){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5. 유저 정보와 책 정보 기반 UserLoanHistory 저장 userLoanHistoryRepository.save(new UserLoanHistory(user.getId(), book.getName())); }UserServiceV2.java @Transactional public void deleteUser(String name) { //SELECT * FROM user WHERE name = ?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Name(name); if (user == nul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 } userRepository.delete(user); }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게시글 구현까지 보고 질문드립니다!지식공유자님의 깊이가 느껴지는 강의인 것 같습니다.. 구현 난이도(저점-고점)에 상관없이 쭉쭉 구현해나가시는게 대단하십니다조그맣게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강의와 관련된 질문과 그렇지 않은 질문이 섞여있는점 양해부탁드립니다..! 테스트코드@Test를 만드시고, 따로 밑에 메서드를 추가하시는건 반복호출을 위해서인게 맞을까요!? 그렇다면 JUnit의 @ParameterizedTest, @CsvSource 이거를 활용하면 좋을것같은데 사용 안하신 이유나 실무에서 요거를 잘 안쓰시는지 궁금합니다!저도 WebClient나 RestClient로 api테스트를 하긴 하는데요! 그 API Docs 만들어주는 RestDocs는 테스트객체: RestTemplate, WebTestClient, RestClient 와 테스트방법(WebMvcTest, SpringBootTest)과 상관없이 플러그인만 추가하면 api docs가 만들어지는걸까요? 지식공유자님은 현업에서 Swagger, RestDocs중에 어떤걸 쓰시는지 궁금합니다TestContainer 등의 방법은 사용하지 않으시는지!?JPA & SpringController에서 @PageableDefault()로 받는 방법은 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일까요..?DTO로 반환해서 Response를 내려주시긴 하시지만 ResponseBody나 ResponseEntity 등으로 감싸서 내려주시지는 않으시는데, 이유가 있으신지요!?강의에서처럼 커버링인덱스와 무한스크롤을 구현하려면 nativeQuery를 사용하지 않고 JPA와Hibernate로 해결하는 방법(JQPL/QueryDsl/Creteria)이나 Raw Library(Spring Data JDBC/JdbcTemplate)으로 해결하는 방법은 없는걸까요? Next제가 아직 모든 강의를 다 본것은 아니지만.. 챕터를 보면 각각 다른 모듈끼리 Join을 하는 경우는 없는 것 같아보입니다..! 혹시 나중에 또 강의를 내신다면 샤드키와 DB 이중화의 fail over에 대한 실전강의, 다른 DB 스키마, 모듈을 사용하는 상황에 하나의 View에 다건의 Join이 들어갈 경우 설계 방법..이나DDD, 클린 아키텍처에 대해서도 다룰 에정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마지막 덧붙임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미취업자(취준생)에 비해서 중-고급 경력직은 그렇게 많지 않아서 강의 수요가 적기도 하고 각자 나름의 위치에서 배운 self best practice가 있어서 그들만의 생각이나 태클이 들어올 수 있을 것 같은데..이런저런 이유에도 불구하고 이런 귀한 중고급 강의를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강의 끝까지 수강하고 궁금한점 생기면 종종 질문 올리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실무에서 Primary Key 생성 전략 질문 있습니다.
Primary Key 생성 전략에서 많은 것들을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가장 베스트 방법 2가지만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rimary Key 값을 Snowflake 알고리즘으로 해결장점인덱스 탐색에 있어서 정렬된 순서로 차례대로 저장 하다보니 범위 검색에 있어서 장점이 될 수 있다.단점Secondary Index 생성시 각각 Leaf Node 에 PK 값 (포인터) 를 가지고 있다보니 아무래도 생성된 Snowflake 알고리즘 값은 길이가 길어서 인덱스 저장용량이 증가 될 수 있다.PK 생성 전략을 Auto_Increment 로 하고 샤딩키(article_id) 값을 Snowflake 알고리즘으로 설정 해서 저장 한다. (단 client 에게는 PK 값 대신 article_id 으로 노출 한다.)장점Secondary Index 생성시 각각 Leaf Node 에 PK 값 (포인터) 값이 용량이 작아 인덱스 저장 용량 부담이 없다.인덱스 탐색에 있어서 정렬된 순서로 차례대로 저장 하다보니 범위 검색에 있어서 장점이 될 수 있다.단점client 으로 부터 요청시 샤딩키(article_id) 값으로 데이터 조회를 해야 하기 떄문에 Secondary Index -> Clustered_Index 까지 두번 인덱스 트리를 탐색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일단 이렇게 각각의 장단점을 설명 드렸습니다.여기서 제가 궁금한것은 실무에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설계시 이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 하는데 있어서 각각 어떤 경우에 적합한지 판단 내리기가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각각 케이스 마다 장단점을 알고 있지만 아무래도 자세하게 수치화 된 지표 가 없어 선택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데요.선생님 경우는 실무에서 이 두가지 중 선택시 어떤 경우에 적절하게 판단 하시는지 노하우를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MySQL 성능 최적화 입문/실전 (SQL 튜닝편)
ORDER BY 튜닝관련 문의
EXPLAIN ANALYZE SELECT * FROM users ORDER BY salary LIMIT 100; -> Limit: 100 row(s) (cost=100569 rows=100) (actual time=338..338 rows=100 loops=1) -> Sort: users.salary, limit input to 100 row(s) per chunk (cost=100569 rows=996636) (actual time=338..338 rows=100 loops=1) -> Table scan on users (cost=100569 rows=996636) (actual time=0.0672..250 rows=1e+6 loops=1) CREATE INDEX idx_salary ON users (salary); EXPLAIN ANALYZE SELECT * FROM users ORDER BY salary LIMIT 100; -> Limit: 100 row(s) (cost=0.0918 rows=100) (actual time=0.0709..0.253 rows=100 loops=1) -> Index scan on users using idx_salary (cost=0.0918 rows=100) (actual time=0.0692..0.249 rows=100 loops=1) 여기서 질문이 있는데요. 인덱스를 salary에 적용한 이후에도 analyze이후 actual time이 인덱스가 없을때와 별차이가 없어 보이는데요. 이건 mysql의 실행계획 표시에 오류가 있는걸까요?실제로 실행 속도는 향상은 돼었습니다.
-
미해결[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1탄]
질문드립니다.
이렇게 설정되어있고, class파일도 잘 생성된것을 확인했는데, SEVERE: 경로 [/web]의 컨텍스트 내의 서블릿 [jsp]을(를) 위한 Servlet.service() 호출이, 근본 원인(root cause)과 함께, 예외 [JSP를 위한 클래스를 컴파일할 수 없습니다.: JSP 파일 [/sum.jsp]의 [5] 행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MyUtil cannot be resolved to a type2: pageEncoding="UTF-8"%>3: <%@page import="kr.web.util.*" %>4: <%5: MyUtil my = new MyUtil();6: int sum = my.hap();7: %>8: <!DOCTYPE html>JSP 파일 [/sum.jsp]의 [5] 행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MyUtil cannot be resolved to a type2: pageEncoding="UTF-8"%>3: <%@page import="kr.web.util.*" %>4: <%5: MyUtil my = new MyUtil();6: int sum = my.hap();7: %>8: <!DOCTYPE html>Stacktrace:]을(를) 발생시켰습니다.org.apache.jasper.JasperException: JSP를 위한 클래스를 컴파일할 수 없습니다.: 이와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유가 무엇일까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멀티 모듈 방식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현재 게시글 조회수 부분 보고있는데요 헷갈리는게 있습니다.멀티 모듈 방식 이라 aricle과 view 모듈이 나눠져 있는데요현재는 게시글 조회 api와 게시글 조회수 증가 api가 나뉘어져 있는거같은데요 프론트에서 게시글 조회 시 이 2개의 api를 사용하는 걸까요?게시글 조회 api에서 게시글 조회 -> redis 조회수 1 증가 이렇게 하나의 api가 아니라 실무에서도 api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하는걸까요?
-
미해결[NarP Series] MVC 프레임워크는 내 손에 [나프1탄]
질문이있습니다.
이와같이 설정하였는데요, server.xml에도 <Context path="/web" docBase="C:\eclipse-jee-2019-09-R-win32-x86_64\WEB\webapp"/> 이와같이 등록을 해주었습니다. 톰캣을 실행한 뒤 localhost:8081/web으로 접속하는 경우, localhost:8081/web/index.html과 동일한 화면이 출력되어 나옵니다. index2.html의 경우는 localhost:8081/web/index2.html 이렇게 정확하게 명시를 해줘야 index2.html화면이 나오던데요. 기본적으로 localhost:8081/web 를 입력한 경우 index.html이 출력되어 나오는 이유와, localhost:8081/web/index.html해당 url이 localhost:8081/web 와 동일한 동직을 수행하는 이유와 동일하게 수행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localhost:8081/web의 경우 왜 index2.html이 아닌 index.html이이 지정되어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강의자료 파워포인트 기준 361~362 페이지를 보면
이렇게 나타나고 있는데요.path > '00a0z' 아닌가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ArticleRepository의 네이티브 쿼리부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듣고 있는 1인입니다.다름이 아니라 네이티브 쿼리 작성 부분에서 에러가 나는데 이게 이곳저곳 찾아봐도 해결이 안돼서요ㅠㅠ 자꾸 아래 부분에서 에러가 납니다... 참고로 툴은 vscode로 spring extension받아서 사용중입니다... LIMIT :limit OFFSET :offset " @Query( value = "SELECT article.article_id, article.title, article.content, article.board_id, article.writer_id, " + "article.created_at, article.modified_at " + "FROM ( " + " SELECT article_id " + " FROM article " + " WHERE board_id = :boardId " + " ORDER BY article_id DESC " + " LIMIT :limit OFFSET :offset " + ") t " + "LEFT JOIN article ON t.article_id = article.article_id", nativeQuery = true ) List<Article> findAll( @Param("boardId") Long boardId, @Param("offset") Long offset, @Param("limit") Long limit );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Selet All 쿼리에서 반복적으로 Clustered Index 탐색 하는지 궁금 합니다.
select * from article where board_id = 1 order by article_id desc limit 30 offset 1499970; 해당 SQL 문을 실행하면 선생님이 설명 해주신 것 처럼 먼저 Secondary Index 에서 offset 0 부터 탐색이 일어나는데요.Secondary Index 에서 offset 0 조회 한 다음 Clustered Index 에서 데이터를 찾는다고 해주셨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offset 1499999 까지 반복 과정이 발생 하는데왜 Secondary Index 에서 탐색 후 Clustered Index 에 데이터를 찾는 과정이 필요한지 궁금 합니다. 그러니깐 Secondary Index 에서만 일단 1499999 번 탐색한 다음에 Clustered Index 을 통해 그 외 데이터 (select *) 을 가져오면 되는것이 아닌가요? 제가 아직 인덱스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이런 질문을 한건데요ㅠ 다시 정리해서 질문 드리자면 왜 Secondary Index 을 통해 offset 순번 1499999 까지 도착 하지 않았는데 불필요하게 Clustered Index 까지 탐색하는가 입니다!
-
미해결업무에 바로 쓰는 SQL 튜닝
다음과 같은 쿼리가 더 좋은 결과를 보이는데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SELECT e.emp_id , s.avg_salary , s.max_salary , s.min_salary FROM EMP e, (select emp_id, ROUND(AVG(annual_salary), 0) avg_salary, ROUND(MAX(annual_salary), 0) max_salary, ROUND(MIN(annual_salary), 0) min_salary from SALARY where emp_id BETWEEN 10001 and 10100 GROUP BY emp_id) s WHERE e.emp_id = s.emp_id; 처음에 답을 안 보고 제가 개선해본 쿼리인데,필터링 조건을 salary에 넣어주고, 이걸 조인해서(emp의 primary key) 나오는 결과인데 미세하게 더 빠르네요.! 정답 쿼리가 조금 더 느린 이유는 salary 테이블을 3번 접근해서 그런거 같은데(index를 활용하더라도)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업무에 바로 쓰는 SQL 튜닝
rollup mariadb 11 ver 기준
SELECT REGION, GATE, COUNT(*) AS cntFROM ENTRY_RECORDWHERE REGION <> ''GROUP BY REGION, GATE WITH ROLLUP; -- 414ms ROLLUP 사용법이 달라서 구글이나 지피티에 서칭을 해봤습니다. 저처럼 안 되시는 분이 많을 거 같아서 올립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오류 도와주세요 ..제발 도와주세요 ㅠㅠ
어제까지 잘 됐는데 갑자기 오늘부터 서버실행시 오류가 나는데 찾아봐도 모르겠어서 남깁니다 .. 제발 도와주세요.다음 진도를 못 나가고 있습니다 ㅠㅠ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CRUD API 구현 10:39에서 에러 발생
현재 ArticleApplication.java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동작에는 문제가 없어서 후에 나오는 ArticleApiTest를 작성하고 실행을 해보니, 비밀번호와 아이디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에러가 나오고 있습니다.하지만 저는 docker exec -it kuke-board-mysql bashmysql -u root -proot(비밀번호)로 구성되어 있으며 application.yml 또한 아래 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server: port: 9000 spring: application: name: kuke-board-article-service datasource: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url: jdbc:mysql://locahost:3306/article username: root password: root jpa: database-platform: org.hibernate.dialect.MySQLDialect open-in-view: false show-sql: true hibernate: ddl-auto: none 그래서 gpt에게 물어본 결과 mysql plugin 문제일 수 있다고 해서 아래와 같이 변경까지 해봤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에러는 해결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런 에러가 나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업무에 바로 쓰는 SQL 튜닝
use index, force index 힌트 질문
학습 환경은docker + mariadb 입니다.! 현재 힌트를 사용해서 Manager 테이블의 인덱스를 강제시켜서 실행시켰는데 다음과 같이 table full scan으로 변환되었습니다. 이거는 mariadb 내부적으로 hint가 올바르지 않다고 생각해 실행 계획을 바꾼걸까요?EXPLAIN SELECT e.FIRST_NAME, e.LAST_NAMEFROM EMP e,MANAGER m FORCE INDEX (PRIMARY)WHERE e.EMP_ID = m.EMP_ID ;
-
미해결업무에 바로 쓰는 SQL 튜닝
BNL Join 사용
SELECT EMP.emp_id, EMP.first_name, EMP.last_name, GRADE.grade_nameFROM GRADE, EMP; -- 카테시안 곱 mariadb로 실습을 진행했는데 hash join이 쓰이는게 아니라flat, BNL join을 사용한다고 되어 있네요?BNL Join은 MySQL이 인덱스가 없거나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비효율적인 조인 알고리즘이라는데 원인이 무엇일까요?grade 테이블을 hash join table로 사용하지 않네요?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SQL과 데이터베이스(MySQL)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실습 코드 깃허브 업로드
안녕하세요! 데이터분석 직무로 SQL 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혹시 실습하면서 정리한 코드 깃허브에 업로드가 가능할까요? - 강의 영상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상세히 문의를 작성해주시면, 주말/휴일 제외, 2~3일 내에 답변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는 평생 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강의 답변이 도움이 안되셨다면, dream@fun-coding.org 로 메일 주시면 재검토하겠습니다. - 괜찮으시면 질문전에 챗GPT 와 구글 검색을 꼭 활용해보세요~-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다운로드 방법포함)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