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57
0
강의에서, with 문이랑
INNER JOIN 쓰시는 부분이 나오는데.
답변 2
0
안녕하세요! 아래 AI 인턴이 대답을 잘 해줬네요ㅎㅎ
WITH 문은 FROM 절 서브쿼리를 대체해서 쿼리의 가독성을 올리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FROM 절 서브쿼리로 쓰셔도 됩니다.
INNER JOIN은 두 테이블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위에서는 각 장르별로 계산한 통계값을 games 라는 테이블에 붙이기 위해서 사용했네요.
이 강의는 문제풀이 강의로, 이론은 이미 알고 있다고 가정하고 강의하기 때문에 처음보는 내용은 생소했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이론적인 내용은 인프런에 올라와있는 [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고급 SQL 또는 SQL 데이터 분석 캠프 | 실전반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질의 무료 자료로는 Mode의 SQL Tutorial이 있습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ason님께서 질문해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리겠습니다.
WITH
문, 즉 공통 테이블 표현식(CTE)는 복잡한 쿼리를 보다 쉽게 읽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복잡한 서브쿼리를 사용하지 않고도, WITH
문을 사용하여 미리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쿼리의 가독성을 높이고, 동일한 연산을 여러 번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경우에 WITH
문을 사용합니다:
- 서브쿼리를 대체하여 쿼리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 동일한 결과 집합을 여러 번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 스텝별로 데이터를 변환하면서 복잡한 논리를 단순화하고자 할 때
INNER JOIN
은 두 테이블 간의 매칭되는 행만 반환하기 때문에 빈 값을 채우는 용도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빈 값을 채우기 위해서는 LEFT JOIN
이나 다른 방식의 결합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LEFT JOIN
은 왼쪽 테이블의 모든 행을 반환하고, 오른쪽 테이블에서 매칭되지 않는 경우 NULL
을 반환하기 때문에, 특정 열에 대해 기본값을 채우는 데 적합합니다. Jason님께서 언급하신 INNER JOIN
은 주로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할 때 유용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