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프론트엔드 개발환경의 이해와 실습 (webpack, babel, eslint..)
2025년 기준 번들러 트렌드와 선택 기준이 궁금합니다 (Webpack, Vite, tsup 등)
요즘에는 Webpack 외에도 Rollup, Rolldown, tsup, tsdown, Vite, esbuild 등 다양한 번들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실무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각 번들러를 선택하게 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떤 도구들이 많이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UI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만들 때는 어떤 번들러를 주로 사용하는지,Lodash 같은 유틸리티 라이브러리에서는 어떤 번들러가 효율적인지이런 식의 상황별 선택 기준이나 실무 사용 경향을 알고 싶습니다.제가 찾아보기로는 Vite는 개발 서버에 강하고, Rollup은 라이브러리 번들에, esbuild나 tsup은 속도에 특화되어 있다고 하더라고요.실무에서는 이런 특성을 어떤 기준으로 판단해 선택하는지 조금 자세하게 알고싶습니다!그리고 조금 시간이 지난 강의여도 정말 얻을게 많은 강좌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제가 최신버전으로 고쳐보며 정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질문 남기면서 좋은 강의 항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도 함께 전달드립니다!강사님의 팁이 녹아져있는 실전 프로젝트 같은 것도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들어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스택오버플로우 실습 중 stack size 설정 질문
안녕하세요. 저는 F429I 보드를 사용하고 있고,올려주신 포팅한 자료로 실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강의 내용과는 다르게 taskCreate 함수에서 설정하는 stak 크기가 default로 256이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아래와 같이 256으로 설정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데,모든 tsck의 Create 함수를 128로 설정하면, 아래 putty 캡처 그림과 같이 task2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혹시 stack size를 128로 줄이면서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를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인프런 클론코딩 Part 1: Next.js와 NestJS로 시작하는 실전 프로젝트
nestjs controller 구현 중 user 객체 에러
✅ 모든 질문들은 슬랙 채널에서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로펀의 인프런 상담소” 슬랙 채널 가입하기 💡평일중에는 퇴근 이후(저녁 7시)에 답변을 받아보실 수 있고, 주말중에는 상시 답변드리고 있습니다. 강의에서 컨트롤러를 구현 할 때는 user 객체에 type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데 제가 작성하는 코드에서는 발생하고 있습니다. 어떤 것 때문에 발생하는건가요? 라이브러리 버전은 강사님의 package.json을 확인하고 동일하게 추가했습니다.
-
미해결한 번에 끝내는 자바스크립트: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개발까지
cityList 렌더가 안되는 문제
강의 영상대로 코드를 작성하고, localhost:3000을 열어보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계속 뜨네요 ㅜㅠㅠSyntaxError: Unexpected identifier 'App'. import call expects one or two arguments. 다음은 server.js 입니다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 //현재 탐색기에 위치한 폴더들에 서버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 //join 안에 경로 작성 app.use(express.static(path.join(__dirname, ".."))); //어떤 경로의 요청이 오던지 항상 동일한 index.html 파일을 반환할 수 있도록 코드 작성 app.get("/*splat", (req, res) => { res.sendFile(path.join(__dirname, "..", "index.html")); }); //우리가 설정한 포트번호에서 서버가 항상 요청을 듣고 있을 수 있도록 하는 코드. app.listen(PORT, () => { console.log("START SERVER"); }); 다음은 index.js 입니다import App from "./App.js"; const $app = document.getElementById("app"); new App($app); 무엇이 문제일까요? import 경로를 계속 수정해봐도 같은 에러가 뜹니다 ㅠㅠ
-
미해결리눅스 커맨드라인 툴 (Full ver.)
강의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리눅스 입문 -> 쉘 스크립트 -> 커맨드라인까지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강사님께서 쓰신 코딩 자율학습 리눅스 입문 with 우분투 책이 있는걸 봤습니다.강의로 배운 내용들을 복습도 하고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싶은데, 책에는 강의에서 다룬 내용 외에 추가로 담긴 부분들이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웹 개발의 핵심, HTTP 완벽 마스터하기!
실무에서 웹개발자가 명시적으로 선언하는 보안 정책의 범위 및 보안 정책 설정 위임 라이브러리
실무 환경에서는 웹 개발자들이 이런 브라우저 보안 정책들(CSP, CORS, SRI, 쿠키 속성, Referrer-Policy 등)을어느 정도 수준까지 직접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관리하는지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어떤 정책들은 코드나 미들웨어에서 직접 작성하고,어떤 정책들은 서버나 CDN 레벨에서 일괄 설정되는지그 구분의 현실적 기준이 있다면 듣고 싶습니다.또한 이런 보안 헤더들을 설정할 때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 추천도 부탁드립니다.(예: Express helmet, Next.js next-safe, Nginx 보안 헤더 설정 등)
-
미해결웹 개발의 핵심, HTTP 완벽 마스터하기!
브라우저 내부 보안 정책 스코프에 대한 질문
CSP, CORS, SRI, 쿠키 속성, Referrer-Policy 같은 HTTP 기반 보안정책들은서버가 응답 헤더로 내려주면 브라우저의 내부 policy layer에서 관리된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때 브라우저가 이런 보안 정책들을 저장하고 적용하는 단위가Origin 단위(정확히 scheme + host + port)로 관리되는지,아니면 Site 단위(예: eTLD+1 기반, 쿠키 격리처럼 더 넓은 범위) 로 관리되는지도 궁금합니다.즉, 브라우저의 보안 정책(policy layer)은 어떤 기준 단위로 정책을 식별·적용하며,개발자가 설정한 CSP나 CORS 같은 정책들이 브라우저 내부에서어떤 스코프로 캐싱·격리되어 동작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교재 연습문제
선생님, 교재 작업형1 연습문제를 풀어보려고 하는데 연습문제 파일은 어디에 있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1,문제 7 반복문 질문드립니다.
for i in range(0, 5): list_box = [] for k in range(0, 200): ran_num = random.randint(1,200) list_box.append(ran_num) df[i+2000] = list_box df = df.T제가 이해하기로는 2000 부터 2004까지 5개의 행을 만들고각 행에 200개의 자료를 넣는데 1부터 199 까지의 정수를 넣는다.그렇다면 df.T는 어떤 의미일까요?그리고 randint 이 함수는 랜덤정수를 생성한다는 것일까요? 1부터 200 사이의 정수를랜덤으로 넣는다는 의미가 맞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는 어떤 메모리에 저장되는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영속성 컨텍스트는 1차 캐시와 쓰기 지연 메모리가 있다고 강의에서 배웠습니다. 이 부분은 클라이언트단에서 관리하는 것인지 서버라면 어디에 저장되고 어떻게 관리되는 메모리인지 궁금합니다. (ex. 힙 등)
-
미해결Next.js 까보기: "쓸 줄 아는 개발자"에서 "알고 쓰는 개발자"로
강의에 언급된 영상 질문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업을 순서대로 보고 있는데, 지난 시간에 살펴봤다는 에러 정의가 담겨 있는 영상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커리큘럼 상으로는 이전 영상이 라우팅 관련된 것이라서 에러 관련 내용이 없었거든요.
-
해결됨The 10x AI-Native Developer: 회사에서 AI로 압도적 성과를 내는 법
차후에 추가 업데이트 같은 것이 있을까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추후에 클로드코드 외에 Codex 같은 새로운 것들에 대한 내용이 추가 업데이트 될 예정이 있을까요?
-
미해결맥킨지 출신 김재성의 AI로 앞서가는 문제 해결력 & 리서치 전략
리서치 범위에 따른 고민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먼저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당신의 리서치 방법은 틀렸다 에서일을 잘하는 사람은 단순한 요청에도 정말 관련된 많은 내용을 조사한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그런데 너무 많은 내용을 조사(또는 일에 퍼포먼스를 내면)하면 고객이나 상사 분들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질까봐 고민이 됩니다.지속적으로 그정도 퍼포먼스를 낼 수 있으면 상관이 없는데 계속 그정도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다는 보장도 없고요이제는 AI 덕분에 조금 짐은 덜 수 있겠지만 그래도 고민이 됩니다.강사님 께서는 조사 또는 다른 일을 수행할때 계속 이 정도 퍼포먼스를 유지하시면서 일을 진행 하신 건가요 아님 고객(상사)의 불만 없이 업무량을 조정하시는 다른 노하우가 있으신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IntelliJ 한글 깨지는 현상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전에 Spring MVC 강의에서는 한글이 잘 나왔었는데, Java 강의 시 설정을 잘 못 헀는지.. 추가 설정이 필요한건지,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있어서, 처리법이 따로 있는지 문의 드립니다.Java는 강의 따라하면서 21로 설정 한 상태입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JPA entity와 도메인 모델을 분리하는 케이스에 대한 질문입니다.
JPA entity와 도메인 모델을 분리하는 케이스에서 데이터 저장 기술이 바뀌는 경우 Spring Data를 사용하면 해당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JPA에서 MyBatis로 변경하는 경우도 Spring Data로 커버가 가능한가요? 회사에서 JPA로 개발을 진행중인데 MyBatis로 마이그레이션을 해야할수도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가장 쉽고 깊게 알려주는 Kafka 완벽 가이드 [ By. 비전공자 & Kakao 개발자 ]
메세지 저장 관련 질문입니다
카프카 메시지 저장 방식에 대한 질문카프카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할때 카프카에 메시지가 저장되어 편리하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AWS SQS에서 카프카로 전환하면 별도의 메시지 저장소가 필요 없을 것 같았는데, 강의를 들어보니 장기 보관이 필요하면 결국 따로 저장해야 하는 것 같더라고요.질문:장기 보관이 필요한 메시지는 별도 저장소(DB, S3 등)에 저장하시나요?카프카 자체 저장만으로 충분한 경우와 별도 저장이 필요한 경우를 어떻게 구분하시나요?
-
미해결
교육 스타트업에서 창업 멤버를 모집합니다.
- 대입 수시 비교과 & 탐구보고서 자동화 플랫폼 개발 - 서울대 출신이 주도하고, 대치동 학생부종합 전문팀이 함께합니다.10년간 축적된 학생부 평가 및 탐구보고서 생성 시스템을 기반으로,수시 학생부종합전형 맞춤형 AI 기반 데이터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현재 구성원기획 2 / 마케팅 1 / LLM 개발자 1 / 백엔드 개발자 2✅ 이런 일을 함께해요!학생 맞춤형 탐구보고서 계획표 생성-판매 플랫폼 (Open AI 기반)온라인 비교과 수업 플랫폼학생부 진단 → 처방 → 포트폴리오 자동화 시스템 개발2,000편 이상 탐구보고서 데이터 보유, 연내 유의미한 매출 가능 🛠 현재 개발 상황- 학생부 평가 AI 모델 1차 완성- 진단 → 포트폴리오 → 탐구보고서 자동화 체계 구축- 프리미엄 오프라인 수업 → 디지털 전환 중- 웹/앱 와이어프레임 + 비즈니스 로드맵 준비 완료 📌 모집 포지션 (6명 이내)- LLM 개발자- 기획-마케팅- 백엔드 개발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UX/UI 디자이너 💡 이런 분을 찾습니다!- 생성형 AI 기반 프로젝트 경험자- 고교학점제 / 입시 전형에 관심 있는 분- 설탭, 콴다, 패스트캠퍼스 등 모델에 익숙하신 분- 스타트업과 함께 성장하고 싶으신 분 💸 수익 모델 & 준비된 인프라- 오프라인 진단/상담 프로그램(120만원) → 온라인 전환- 탐구보고서 계획표 수업(30만원) → 자동화- 현재 고등학생 100명 이상 시범 운영 완료- 오프라인 학원, SNS 채널, 마케팅 플랫폼 보유 📬 편하게 지원-문의 주시면 연락 드리겠습니다 !지원 폼 👉https://forms.gle/BjfX4zYPRC5dHNe26문의 오픈채팅 👉 https://open.kakao.com/o/sbdF6Ioh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강의 외 개발자 진로 관련 질문입니다!
AI 개발에 맞춰 LLM의 기초라도 학습하는 것이 좋을까요?아니면 서버 운영과 자동화 같은 백엔드 역량을 더 깊게 다지는 게 좋을까요?현재 강의는 DevOps에 대해 설명하셨는데 LLMOps와 같은 기술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이펙티브 자바 완벽 공략 3부
42번 아이템의 아래 요약본이 41로 되어있습니다.
정정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절대강좌 유니티6 - 네트워크 게임 개발 마스터클래스 (Part3) : Netcode로 개발하는 2D RPG
여기에 쓰인 기술이 적합할지 궁금하네요.
강사님의 다른 강좌들을 보니 네트워크 게임쪽에 상당한 경험이 있으신거 같아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현재 네트워크 대전 디펜스 게임을 만들고 있는데, 로비가 별도로 있고 여기서 대전신청을 하면 조건에 맞는 유저를 찾아서 1:1로 방 생성해서 대전을 하는 구조입니다.실제 인게임 내에서는 미니언들이 양쪽 모두 공평하게 생성되는 상황이고 내 크리처도 내보내고 타워도 지으면서 적의 미니언들을 막아내고 적의 본성을 부수면 이기는 게임을 작업 중에 있습니다. 한 화면으로 구성되며 한 화면에 최대한 등장하는 적들은 양쪽 합쳐서 30~60마리정도가 있을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평균 10마리 내외일거 같구요.사실 기존에 순수 C#서버에 gRPC 프로토콜로만 작동하던 게임이 있었는데 좀 옛날거라 요즘 기술로 다시 만들고 있습니다. 서론이 좀 길었는데 질문은 이것입니다. 위 상황으로 짐작해 봤을 때 Netcode for GameObjects 방식으로 작업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다른 솔루션을 이용해야 할까요? (포톤, Netfish, Netcode for Entitiese등) 솔직히 로비나 로그인 처리등은 기술적으로 크게 부담은 없는데 인게임내에서 다량의 적이 싸울때 싱크로 문제가 있을거 같아 걱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