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Clean함수의 else부분 질문 있습니다
_readPos = 0;_writePos = DataSize; 이렇게 하셨는데 순서가 반대 아닌가요??readPos가 2이고 writePos가 5였을 때 DataSize는 3그런데 readPos를 먼저 0으로 하면 DataSize는 5로 변해writePos는 3이 아닌 5로 초기화가 될것 같습니다else부분은 남은 데이터가 있는 경우 readPos만큼 Array의 처음 주소를 앞 당기는거니까 초기화된 writePos의 기대값으론 기존 writePos - readPos 아닌가요??readPos = 0;이 부분이 먼저 나온 이유가 궁급합니다!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강의자료 관련 질문입니다.
항상 좋은 수업 감사합니다. 강의자료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강의를 듣다보니 강의자료를 사전에 작성해보고 수업듣고 싶은데 강의자료를 못찾겠습니다ㅠㅠ이게 저만 못찾는 건지 커리큘럼 옆에 구름모양으로 있다는데 안보이네요.원래 강의자료가 없는건지 제가 못찾는 건지 궁금합니다.백문이 불여일타라고 연습해보고 싶어요!!!
-
해결됨[코드캠프] 시작은 프리캠프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강사님!수업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제가 모르고 싸이월드 만들기 피그마에서 협업 요청 버튼을 눌렀는데 어떡하죠..?ㅠㅠ거절해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컬렉션의 초기화 유무의 따른 size의 값이 다르게 측정됩니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increasePoint() { Store store1 = storeRepository.findById(1L).get(); Point point = new Point(1); // System.out.println("store1.getPoints().size() = " + store1.getPoints().size()); store1.add(point); store1.add(point); store1.add(point); store1.add(point); store1.add(point); System.out.println("store1.getPoints().size() = " + store1.getPoints().size()); }@OneToMany(mappedBy = "store",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Point> points = new ArrayList<>();Store(1):Point(N) 입니다. Store 내부에 양방향으로 List로 갖고있고 현재 디비에 Store ID 1번을 외래키로 갖고있는 Point가 이미 2개가 있습니다. 위에서 첫번째 디버그 출력문을 주석처리하고 add를 5번 진행 후 마지막에 검증하게 되면 DB에 2개 + 1개 해서 사이즈가 3으로 측정됩니다.하지만 위에서 주석처리를 제거하고 size()를 통해 초기화 이후에 add를 5번 진행하고 사이즈를 출력하면 DB2개 + 5개해서 7개가 출력됩니다. 위에 두가지 상황에서 왜 초기화를 먼저 진행하고 add하는것과 add이후에 초기화 하는것이 결과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같은 객체를 여러번 add해도 실제 DB에 인서트 쿼리는 1번만 발생하게 됩니다(위에 두 가지 경우 모두) 짐작은 되지만 정확한 이해가 되지 않는데.. 같은 객체라 영속성컨텍스트에서 관리하게 되면 이후에것은 이미 관리하고 있으니 저장하지 않는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위에서 point객체가 영속성컨텍스트에 관리되기 시작하는 시점은 언제인가요? 최초의 add호출인가요?PersistentBag의 add를 봤을때 컬렉션이 초기화 되어있지않다면 다른 리스트에 넣어두고 초기화되면서 합쳐주는것으로 확인했는데 왜 5개를 다 넣어주지 않고 1개만 넣어주는지 궁금합니다. (디버깅과정에서 자동초기화 되서 정확하지 않습니다.)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502 bad gateway
강사님 안녕하세요강사님 강의 덕분에 저 혼자서 페이지도 만들고 nginx 사용해서 서버까지 배포해보았습니다.다름이 아니라 3일전 까지만 해도 느리긴 했지만 잘 되던 서버가오늘 서버내의 기능을 사용할려고 하니 502 bad gateway를 내 뱉으면서 멈춰버립니다.(되다가 안되다가 반복함)그래서 error 로그를 찾아보니2023/11/01 00:20:22 [error] 10930#10930: *232 upstream prematurely closed connection while reading response header from upstream라고 뜨네요 3일동안 해봤는데 헛발짓만 했네용..gpt한테 물어봐도 메모리 리소스, 네트워크 문제 , 응답시간 문제 등 이라곤 하는데 메모리랑 네트워크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거 같습니다.3일전까지만 해도 잘되던 서버가 안되니까 많이 답답하네요..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로그인 관련 redux 질문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로초님의 로그인 문제 해결하기 챕터를 보다가Posts.length관련 오류 해결하는 강의를 보는데제로초님의 redux화면이랑 저의 화면이랑 구성이 좀 다른 것 같아서 문의드립니다.제로초님의 화면은 위 사진처럼 me라는 객체로 나와서 확인하기 쉬운데제 화면은 아래처럼 그냥 데이터 라고 나오고 있습니다..어느 부분을 수정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task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task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습니다작업의 로그를 확인하면아래와 같은 메세지만 나타나구요 *** Could not read served logs: Request URL is missing an 'http://' or 'https://' protocol. 아래에서 저와 같은 증상을 겪은 사람을 찾았습니다만링크메모리 사용량을 늘려서 해결했다고만 나타납니다 저는 이미 WSL의 메모리를 8GB에 swap도 2GB도 준 상태구요... airflow의 worker 자체의 에러로그를 찾아보았더니 아래와 같이 권한 문제가 나타납니다[2023-10-31 15:51:22,188: ERROR/ForkPoolWorker-15] [4c24a6e8-1133-46a5-99ac-5fd6bdb3c730] Failed to execute task [Errno 13] Permission denied: '/opt/airflow/logs/dag_id=dags_bash_operator'.zz5414-airflow-worker-1 |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zz5414-airflow-worker-1 | File "/usr/local/lib/python3.8/pathlib.py", line 1288, in mkdirzz5414-airflow-worker-1 | self._accessor.mkdir(self, mode)zz5414-airflow-worker-1 | FileNotFoundError: [Errno 2] No such file or directory: '/opt/airflow/logs/dag_id=dags_bash_operator/run_id=manual__2023-10-31T15:51:20.844476+00:00/task_id=bash_t1' worker 컨테이너안의 /opt/airflow/logs/dag_id=dags_bash_operator라는 파일에 권한이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로 보입니다. 컨테이너 내부 파일의 권한은 어떻게 설정하는지를 모르겠습니다 제가 만든 dag말고도 example_bash_operator도 마찬가지로 실행되지 않고 같은 에러입니다. 해결해주실 수 있을까요?정말 airflow 열심히 배워보려고 했거든요 ㅠㅠ
-
해결됨[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글 작성이 안 되는 오류
컴파일은 오류 없이 잘 되는데, 폼에서 짹짹(게시)버튼을 눌러도 글 작성이 되지 않습니다개발자도구에서 나타나는 오류입니Incorrect use of <label for=FORM_ELEMENT>The label's for attribute doesn't match any element id. This might prevent the browser from correctly autofilling the form and accessibility tools from working correctly.To fix this issue, make sure the label's for attribute references the correct id of a form field. PostCard가 작성되지 않는데 코드에서 오류를 못 찾겠어서 질문합니다! 의심스러운 부분들만 올려봅니다..post.js 코드입니다const ADD_POST = 'ADD_POST'; export const addPost = { type: ADD_POST } const reducer = (state = initialState, action) => { switch (action.type) { case ADD_POST: { return { ...state, mainPosts: [dummyPost, ...state.mainPosts], postAdded: true, }; }; default: { return { ...state, }; }; } }; PostForm.js 코드입니다const PostForm = () => { const { imagePaths } = useSelector((state) => state.post); 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imageInput = useRef();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const onChangeText = useCallback((e) => { setText(e.target.value); }, []); const onSubmit = useCallback(() => { dispatch(addPost); setText('') }, []); return ( <Form style={{ margin: '10px 0 20px' }} encType="multipart/form-data" onFinish={onSubmit}> <Input.TextArea value={text} onChange={onChangeText} maxLength={140} placeholder='새로운 글 작성' /> <div> <input type="file" multiple hidden ref={imageInput} /> <Button onClick={onClickImageUpload}>이미지 업로드</Button> <Button type="primary" style={{ float: 'right' }} htmlType="submit">게시</Button> </div> <div> {imagePaths?.map((v) => ( <div key={v} style={{ display: 'inline-block' }}> <img scr={v} style={{ width: '200px' }} alt={v} /> <div> <Button>제거</Button> </div> </div> ))} </div> </Form> ) }; pages/index.js 코드입니다const Home = () => { const { isLoggedIn } = useSelector((state) => state.user); const { mainPosts } = useSelector((state) => state.post); return ( <AppLayout> {isLoggedIn && <PostForm />} {mainPosts.map((post) => <PostCard key={post.id} post={post} />)} </AppLayout> );
-
미해결Oracle PL/SQL 딱 이만큼.. [개념+실전]
11g
유툽으로 가끔씩 라이브 갔었는데 pl/sql 강의 기대했다가 이제 천천히 보는중이네요 ㅎㅎ 강의를 보던중 11g 는 default로 NEXTVAL 를 지원 하지 않는거 같아서 수동으로 넣어야 할거같습니다.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스트림즈dsl의 state.dir에 대해
state.dir을 설명하시다가 /tmp의 생명주기가 다르다고 하셨는데 os 마다 /tmp의 데이터가 삭제되는 조건들이 다르다는 말씀인가요?
-
해결됨친절한 블렌더 - [LV.1] 기초 모델링
Edit모드에서 창살 스케일 조절이 따로 안됩니다
섹션7, 모델링3 - 10:32에서, Edit모드로 들어가서 Z축 스케일 조절을 하려고 했는데 강의 영상과는 달리 창살 2개의 길이가 같이 바뀝니다. 하나만 선택해서 Edit 모드로 들어가도 사진처럼 2개가 한꺼번에 Edit 모드로 들어가져서 그런 거 같은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ㅠㅠ
-
해결됨리눅스 커맨드라인 툴 (Full ver.)
리눅스 개발자와 엔지니어
강사님이 오픈하신 과정보면 리눅스 시스템 개발자를 위한 커리큘럼을 만드셨잖아요몇가지만 질문 할게요 리눅스 개발자가 아니라 엔지니어라도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 배우면 도움 되나요?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리눅스 시스템자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죠? 리눅스 엔지니어하다가 리눅스 시스템 개발자로 이직가능한가요?? 리눅스 엔지니어들은 보통 레드헷을 많이 쓴다고 합니다. 근데 강사님은 기초부터 우분투 쓰던데 리눅스 시스템 개발자는 우분투환경을 많이 쓰나요??
-
해결됨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시작하는 백엔드 - 스프링, 도커, AWS
pk, fk 연결
맛집 리뷰 서비스 만들어보는 부분 따라하고 있는데요궁금한점이 있어요. erd 보시면 맛집 id가 리뷰, 메뉴 테이블의 fk로 들어가 있잖아요그런데 코드단에서 이걸 연결해 주는 작업을 한 적이 없는 거 같은데h2에 생성된 디비에는 어떻게 연결이 되어있는 건가요?코드에서 이 작업을 해주는 부분이 어디인가요?
-
미해결실전 JSP (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session 변수 선언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에러가 안생기나요
loginOk.jsp에서 session = request.getSession(); 선언하지도 않고 어떻게 세션변수를 사용하나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오류가 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다른 답변들을 보고 모두 따라해 봤는데 아무 소용 없었습니다. h2 콘솔로는 실행이 되고 접속도 다 됩니다 근데 test를 하면 자꾸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이 에러가 생깁니다.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9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support.DefaultTestContext.getApplicationContext(DefaultTestContext.java:124)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setUpRequestContextIfNecessary(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90)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web.ServletTestExecutionListener.prepareTestInstance(ServletTestExecutionListener.java:13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ContextManager.prepareTestInstance(TestContextManager.java:248)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createTest(SpringJUnit4ClassRunner.java:227)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1.runReflectiveCall(SpringJUnit4ClassRunner.java:289) at org.junit.internal.runners.model.ReflectiveCallable.run(ReflectiveCallable.java:12)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methodBlock(SpringJUnit4ClassRunner.java:29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246)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Child(SpringJUnit4ClassRunner.java:97)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4.run(ParentRunner.java:331)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1.schedule(ParentRunner.java:7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Children(ParentRunner.java:329)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access$100(ParentRunner.java:6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2.evaluate(ParentRunner.java:29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BeforeTestClassCallbacks.evaluate(RunBeforeTestClassCallbacks.java:61)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tatements.RunAfterTestClassCallbacks.evaluate(RunAfterTestClassCallbacks.java:70)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3.evaluate(ParentRunner.java:306) at org.junit.runners.ParentRunner.run(ParentRunner.java:413) 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JUnit4ClassRunner.run(SpringJUnit4ClassRunner.java:190) at org.junit.runner.JUnitCore.run(JUnitCore.java:137) at com.intellij.junit4.JUnit4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4IdeaTestRunner.java:69)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 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 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5) 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4)MVCC=TRUE 지우라고 한 답변들도 있어서 지우는데도 안되네요;;;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코딩테스트 핵심(이론과 문제풀이) [Python]
해시테이블 개방번지화
해시테이블 개방번지화 방법에서 빈 공간을 찾는 방식을 알았는데, key를 넣었을 때 해시값을 찾을 때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key로 daniel이 들어왔다면 체인법에서는 해당 해시값에서 모든 노드를 검사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잖아요.개방 번지화 방법에서는 다른 주소로 저장할 수가 있는데, 그러면 계속 뒷 메모리를 끝까지 검사하면서 찾아보아야 하나요?아니면 마지노선이 있어서 daniel이 없다는 걸 화정하고 넘어갈 수 있는 기준이 있는건가요? 너무 깊숙히 생각하는 것 같지만, 시간복잡도가 끝없이 늘어나는 건지 걱정이 되서 질문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죄송합니다. 오늘 마지막 질문 입니다^^;(해결됨)
나름 열심히 따라 갔는데, 또 결제하기 버튼 누르면 결제를 실패했다는 스냅카드만 계속 뜹니다. 그래서 print(e) 를 해서 원인을 물어보니,type 'Null' is not a subtype of type 'String' in type cast라고 나오는데요, 제가 오류를 못찾는 걸수도 있겠지만, 여러 영상을 다시 뒤로 샅샅이 찾아가며 원인을 찾는데 못찾겠습니다..왜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지 않을까요? null값 때문이라면 어떻게 처리를 해야 할까요?// order_provider.dartimport 'package:flutter_riverpod/flutter_riverpod.dart'; import 'package:level2/order/model/post_order_body.dart'; import 'package:level2/user/provider/basket_provider.dart'; import 'package:uuid/uuid.dart'; import '../model/order_model.dart'; import '../repository/order_repository.dart'; final orderProvider = StateNotifierProvider<OrderStateNotifier, List<OrderModel>>( (ref) { final repo = ref.watch(orderRepositoryProvider); return OrderStateNotifier( ref: ref, repository: repo, ); }, ); class OrderStateNotifier extends StateNotifier<List<OrderModel>> { final Ref ref; final OrderRepository repository; OrderStateNotifier({ required this.ref, required this.repository, }) : super([]); Future<bool> postOrder() async { try { final uuid = Uuid(); final id = uuid.v4(); final state = ref.read(basketProvider); final resp = await repository.postOrder( body: PostOrderBody( id: id, products: state .map( (e) => PostOrderBodyProduct( productId: e.product.id, count: e.count, ), ) .toList(), totalPrice: state.fold<int>( 0, (p, n) => p + (n.count * n.product.price), ), createdAt: DateTime.now().toString(), ), ); return true; } catch (e) { print(e); return false; } } } ------------------------------------------------------이것도 앱을 지웠다가 다시 까니까 갑자기 되네요;반복될 가능성도 없진 않지만, 실제로 앱을 구현할 경우 이 문제가 계속 반복될 경우 그때마다 지웠다 다시 깔았다를 반복할 수 없을것 같은데.. 일단 이 문제는 이렇게 해결하고 넘어가기로 하겠습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시간초과
아무리 해도 시간 초과 나고 심지어 강의 코드 그냥 똑같이 써도 시간초과가 나네요. 심지어 ret2 안구하고 그냥 ret5만 구해서 계산해도 시간초과입니다.ios_base::sync_with_stdio(false);cin.tie(NULL); cout.tie(NULL); 이거 안썼다고 시간초과 난다고 틀렸다고 하는건 비정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실제 프로그래밍할 때 써야하는 것도 아니고 무슨 저거 썼는지 안썼는지 확인을 하는지 어이가 없네요. ㅋㅋ 이게 무슨 알고리즘 테스트인지.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1~v5에서 어느정도까지 알고넘어가야하는지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ㄴ[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네[질문 내용]v5까지 강의를 진행했는데요코드를 다 따라하긴했는데 v3부터 각 코드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이건 왜 이렇게 되는지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는게 힘드네요..ㅠㅠ v1~v5까지는 mvc의 변화과정이니까 세세하게 코드를 이해하려 하지 말고 그냥 여기서는 왜 이렇게 바꾸는지, 이전 버전과 다른건 뭔지 등 큰 틀만 알고 넘어가도 큰 문제 없을까요?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unsigned가 없는 float에 부호가 0인 이유
16:50을 보면 실수에는 unsigned가 없기 때문에 무조건 부호 비트가 들어간다는 설명이 있습니다. unsigned가 양수를 나타내는 것, signed가 음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음수인 1이 부호비트에 들어가야 하는 것 아닌가요?부호비트에 0이 들어가는 건 1. 2의 보수법 표현 때문아니면 unsigned int에 대한 자료형이 없을 뿐 unsigned int에 대해 저런 식으로 표기하기 때문 1,2 중 어떤 case인지, 아님 기타의 case 때문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