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태그매니저 태그설정 및 탐색 보고서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오늘 첫 강의 수강하게 된 수강생입니다.이런 강의가 있는줄 모르고 여러가지 유튜브 보면서 태그매니저, 구글애널리틱스, 구글애즈 연동을 한 상황인데요. 질문1) 제가 들었던 강의에서 태그마스터-> 구글애즈 연동시에 태그-> 태그구성에서 태그유형선택->구글애널리틱스->구글애널리틱스:ga4 이벤트를 선택하라고 해 GA4에 연동된 이벤트는 다 그렇게 설정되었습니다. 물론 트리거도 별도로 설정해놓았구요. 강사님께서는 태그관리자에서 GA4연동시 구글태그 유형을 선택하라고 하신 것 같은데 이렇게 해도 되고 , 저렇게 해도 되는 개념인지 아니면 제가 틀린방식으로 한건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질문2)탐색-> 방문페이지+쿼리문자열 부분에서 다 같은데 웹사이트 주소의 뒷부분이 하나는 /surl/P/14 , 하나는 /surl/P/14/ 이렇게 둘로 나누어지더라구요. 제가 보통 웹사이트.com/ surl/P/14/?utm_source= ### 형식으로 광고를 돌리는데 paid search부분이 모두 /surl/P/14 로 나오는데 여기서 궁금한 것은 위의웹사이트.com/ surl/P/14/?utm_source= ### 가 탐색보고서의 방문페이지에서 /surl/P/14 로 나오는게 맞는지, 그럼 탐색보고서에 /surl/P/14/로 나오는 경우는 어떤경우인지 궁금합니다. 질문3) 저는 paid search 사용자가 그나마 많아서 어떤 방문페이지를 어떤 기기를 통해 왔는지 찾아보았는데요.모바일로 들어온 186명정도의 사람들이 모두 ios 사용자로 나와서 이게 가능한가 싶은데이게 제대로 된건지 확인하는 방법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무료]기초 텍스트마이닝: 앱 리뷰 분석 with 파이썬(40분 완성)
앱 리뷰 크롤링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크롤링 영상 참고해서 앱 리뷰를 수집중입니다. 앱리뷰가 만건이상 아주 많은 앱이라서 기간을 분할해서 조금씩 모으려고 하는데..데이터 설정기간을 과거 특정 시점부터 특정시점까지만 설정해서(예를 들어 2023. 1.1 부터 3.31 까지) 하면 수집건이 자꾸 0으로만 나오는데 시간이나 변수설정을 바꿔보아도 계속 0이 나오는데 방법은 없는 걸까요? ㅠㅠ 죄송하지만 관련해서 도움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모두의 한국어 텍스트 분석과 자연어처리 with 파이썬
안녕하세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선생님대학교에서 캡스톤디자인을 수행하고 있는 학생입니다.판결문에서 사건의 원인,판결 결과,가중·감소 처벌 요소,키워드를 추출하고 싶은데 어떤 기술을 사용해야할지 막막하여 질문올리게 되었습니다. 거대언어모델은 지양하라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ㅜ조언을 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GA4 마스터하기
강의 자료 다운로드 관련
안녕하세요!강의 자료 다운로드 관련하여 문의 드립니다. 강의 PPT나 엑셀 파일 등은 혹시 어디서 다운로드 할 수 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이벤트 텍소노미' 등의 자료 다운 받고 싶은데, 대시보드 단에서는 확인이 안되어서요.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초보자를 위한 BigQuery(SQL) 입문
5-6 JOIN 연습문제 6번
수업을 들으며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5-6번 JOIN 연습문제 5번까지 풀이가 있고,6번은 없었습니다ㅠㅠ 어디서 확인 할 수 있을까요? 답변 부탁드립니다!(문제)각 배틀에서 참가한 두 플레이어의 이름과 승자의 이름을 출력해 주세요.
-
미해결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 지표정의하기 연습문제
안녕하세요 카일님 🙂 지표에 대해 항상 어렵게 생각하였는데, 쉽게 강의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연습문제에 대한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각 기능들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을 하려면 CTR(클릭률) 대비 메인page > 상세page로 가는 PV의 전환률의 퍼센트가 높은지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페이지 전환률이 높다면 해당 기능이 잘 작동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고객이 검색이란 ACTION 이후 나온 필터된 페이지 내에서 CTR(클릭률)이 높다면 검색 기능에 만족했다고 생각합니다. 기능에 불만족 스러웠다면 스크롤 후 백그라운드로 이동 또는 스크롤 후 재검색 또는 앱이탈 비율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검색필터기능의 활성화 지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검색 후 나온 페이지 내 필터 클릭률(CTR / PV)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고객이 필터를 몇 번 클릭했는지에 따라 필터 기능이 잘 사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리텐션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셀러(가게), 바이어(이용자), 중간업체(배송대행사)가 유지되어야 해당 서비스가 꾸준하게 이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용자의 리텐션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배송의 퀄리티, CS, 음식의 퀄리티)를 유지해야 구매율도 유지되고 서비스 제공자(가게, 배송대행사)도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알고리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서비스 대비 추천 알고리즘의 클릭률(CTR)/PV과 구매전환률을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알고리즘이 정확하지 않다면 해당 영역을 클릭하거나 구매로 전환될 가능성이 적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리텐션, WAU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쿠팡' 또는 '유튜브' 서비스를 빗대자면 고객이 일주일에 1번 이상은 들어와야 서비스를 해지하지 않고 사용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 확인해야 할 지표는 체류시간과 가입전환율을 볼 것 같습니다. 온보딩 과정 중 온보딩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튜토리얼 퍼널을 조사해볼 것 같습니다. 슬랙을 예시로 들자면 어느 단계에서 사람들이 스킵을 하는지, 이탈률이 생기는 지를 확인하여 지표를 볼 것 같습니다.
-
미해결GA4 마스터하기
실습 사이트 접속 불가 관련
안녕하세요.섹션 3. 이벤트 데이터 이해에서 'Data Layer Inspector' 설치 관련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하기 사이트 검색하여도 접속이 불가하여 강의에서 안내주신 실습 내용을 따라할 수 없는데요. https://baeumkok.co.kr/ 혹시 제가 알고 있는 주소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아니라면 웹사이트 자체 접근이 현재는 불가한 것 일까요?그렇다면 해당 부분의 경우 어떻게 실습을 따라가면 될지 안내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강 지표 정의하기 연습문제 답변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4-8강 연습문제에 대한 답변을 조심스레 올려봅니다.. ㅎㅎ냉철하고 날카로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1.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해당 기능 클릭 이벤트 → 클릭에 맞는 화면의 뷰 이벤트 퍼널을 만들고 그 전환율을 확인해서, 전환율이 99.5% 이상이면 잘 동작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다면 해당 기능을 클릭하고 그에 맞는 화면이 떠야하기 때문에 기능 클릭 이벤트와 화면 뷰 이벤트는 사실상 100% 전환율이 나와야하지만,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누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감안하여 99.5% 정도의 전환율이라면 기능이 정상 작동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검색 만족도 지표사이에 아무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검색 결과 뷰 → 가게 클릭 퍼널을 만들고 그 전환율을 확인할 것 같습니다.고객이 검색기능에 만족했다는 것은 검색 후 아무런 추가 액션 없이 본인이 원하는 가게를 찾았다는 것을 의미하기에 검색 결과 화면을 확인 후 얼마나 추가 이벤트 없이 가게 클릭을 했는지의 전환율을 확인하면 고객의 검색 기능 만족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3. 필터 기능의 활검색성화 지표일반적으로 검색할 때 필터를 설정하고 검색하기도 하고, 검색을 하고 필터를 설정하기도 하기 때문에 두 경우를 모두 포괄하기 위해 검색 기능이 있는 페이지 뷰 → 필터 클릭 → 필터 설정 완료 클릭 퍼널을 이벤트 사이에 이벤트 존재를 허용해서 만들어서 각 퍼널 별 전환율을 확인할 것 같습니다.뷰 → 필터 클릭 퍼널의 전환율은 유저가 필터의 필요성을 얼마나 느끼는 지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필터 클릭 → 필터 설정 퍼널의 전환율은 실제로 필터의 필요성을 느끼는 유저가 실제로 원하는 필터를 찾아서 활용하는 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이 두 지표를 조합하면 필터의 필요성을 느끼는 유저들의 비율과 필터를 실제 활용하는 유저들의 비율을 알 수있기 때문에 필터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세밀하게 구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이후 액션 플랜을 수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필터 자체를 클릭을 많이 안한다면,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추가 분석을 해봐야 할 것 같고, 클릭은 많이 하지만 설정을 잘 안한다면 유저들이 원하는 필터가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되서 추가 분석이나 유저 인터뷰를 진행하면 좋을 듯 합니다. 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배달 건수 & 건당 이익(매출 -비용) 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익을 내는 것이고, 이익은 기본적으로 수량 x 한계 이익이기 때문에 배달 건수(수량) x 건당 이익(한계 이익)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배달 서비스의 특징을 고려할 때 굉장히 다양한 품목을 배달하고, 유저층도 다양하기 때문에 통합된 하나의 지표로 배달 건수와 건당 이익을 계산하기 보다는 품목별, 유저별 등 서비스 특성에 맞는 코호트를 만들어서 해당 맥락에 맞는 지표들을 구하고 의사결정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두 지표를 합쳐서 총 이익으로 보지 않고 구분하는 이유는 전체적인 흐름을 참고해서 의사결정 하기 위함입니다. 예컨데 배달건수는 엄청 많은데 건당 이익이 마이너스라면, 현재 시점에서는 배달 건수가 늘면 늘수록 적자폭이 커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수익성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건당 이익은 높은데 배달 건수가 너무 작다면 충분한 유저들이 앱을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므로 마케팅에 집중하거나, 유저들을 위한 신규 기능 개발을 목표로 전략을 세우는 등 두 지표를 한꺼번에 확인 함으로써 서비스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도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배달 건수와 이익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실 당연하지만 기본에 충실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배달을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는 맛있는 음식을 편하게 먹고 싶기 때문입니다. 맛있는 음식을 먹기 위해서는 라이더가 잘 배치되서 음식이 식기 전에 배달이 되어야하고, 가격 부담이 적을수록 보다 편하게 음식을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배달비가 합리적인 수준에 책정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즉 이런 유저들의 니즈를 충족시켜주기위해 라이더들 확보 및 적절한 배치와 동선 효율화를 이뤄내야하고, 그 과정에서 비용 구조 혁신을 통해 유저들이 배달비에 부담스런 비용을 지불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5.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 지표기본적으로 이커머스 서비스의 목표는 유저들에게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추천 알고리즘 역시 이 부분에 기여를 해야합니다. 따라서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추천 제품의 클릭율 & 클릭 후 구매 전환율 두 지표를 파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우선 추천 제품의 클릭율이라는 것은 추천 알고리즘이 유저가 원하는 범주의 제품을 추천해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알고리즘이 유저의 성향을 어느정도 파악하는데 성공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다만, 성향을 파악했다고 해서 유저가 꼭 그 제품을 마음에 들어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예컨데, 알고리즘이 유저에게 폼클렌징을 추천해주어서 유저가 제품을 클릭은 했는데, 실제 구매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추천의 범주는 어느정도 맞췄지만, 구체적인 상품 추천에는 실패했다는 것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판매에는 기여하지 못한 케이스가 됩니다. 이러한 케이스를 파악하기 위해 두 개의 지표로 구분해서 해당 지표들을 바탕으로 이후의 액션플랜을 수립해야 합니다. 6.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의 지표저는 Discord 앱을 자주 활용하는데, 이 서비스에서 핵심지표는 활성 유저수 x 활성 유저당 이익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4번 문제에 대한 답과 유사한데, 결국 모든 서비스는 이익을 창출해야 존속할 수 있고, 그렇기 위해서는 수량 x 한계 이익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활성 유저를 기준으로 지표로 보고자 한 이유는 실제 앱을 꾸준히 쓰는 사람들이 얼마나 앱에 돈을 내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전체 유저를 대상으로 지표를 집계하는 것 보다 더 제품의 현황을 정확하게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추가적으로 확인해야하는 지표 2가지를 뽑는다면 WAU와 Weekly Retention을 뽑겠습니다. 제품과 관련하여 이익적인 부분을 제외하면, 제품 자체의 매력도와 힘을 지표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Discord의 경우 이를 대표적으로 잘 보여주는 것이 WAU와 Weekly Retention이라고 생각합니다. DAU나 Daily Retention이 아닌 이유는 제가 디스코드를 사용해본 경험상 매일매일 들어가기보다는 일주일에 두어번 정도 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주일을 기준으로 지표들을 보는게 좀 더 유저 행동을 정확하게 볼 수 있다고 생각 했습니다. 이 두 지표는 기본적으로 유저들이 앱을 얼마나 많이, 자주 쓰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들이기 때문에 해당 지표들을 바탕으로 앱의 매력도와 힘의 현황을 꾸준히 파악할 것 같습니다. 7.퍼널 개선 프로젝트저라면 A/B Test를 통해 기존 가입 퍼널과 온보딩을 더 진행하는 기능이 추가된 가입퍼널의 최종 가입 전환율을 비교 할 것 같습니다.목표 지표는 최종 가입 전환율이지만, 온보딩을 진행하는 과정에 이벤트들을 심어서 각 온보딩 진행 구간 별로 유저들의 전환율이 어떻게 되는지 확인해서 이후 액션에 참고 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온보딩을 더 진행하는 것 자체는 유저들이 관심을 가져서 전환이 이루어졌으나, 그게 실제로 가입 전환에는 도움이 안되는 경우 온보딩을 추가하는 기획 자체는 남겨두고 온보딩을 더 발전시키는 형태로 추가 액션을 가져가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bigquery-public-data 프로젝트 연동이 안되어 ga4_obfuscated_sample_ecommerce 테이블이 안보이는 경우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었을때 강좌와 같이 bigquery-public-data프로젝트가 추가되어 있지 않았습니다.아마도 강의 이전 영상이 있었을거 같은데 잘린 것이거나 기본 프로젝트 구성이 달라진게 아닌가 싶습니다.검색을 하니 링크로 연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링크를 남깁니다.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bigquery-public-data가 연동됩니다.https://console.cloud.google.com/bigquery?p=bigquery-public-data&d=ga4_obfuscated_sample_ecommerce&t=events_20210131&page=table 참고한 가이드 문서도 남깁니다.https://console.cloud.google.com/bigquery?p=bigquery-public-data&d=ga4_obfuscated_sample_ecommerce&t=events_20210131&page=table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https://에 대한 정규식과 관련해 문의 드립니다
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https://에서 //도 \/\/로 표기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GA4에서는 첫단에 사용되는 https://의 특수 문자 처리는 하지 않는 것인지요?강좌 "4가지 조회방식_2_탐색리포트와 정규식의 활용" 마지막 부분의 예시 영상에서 사용 방식에 대해 혼란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강좌를 거의 다 학습하고 있습니다. 다른 강좌들이 궁금합니다.
정말 많은 유료 강좌를 인프런에서 구매했는데, 상당히 만족스러운 강좌였습니다.업데이트에 대해 지속적으로 강좌 업데이트를 해주시는 것 뿐만 아니라, 질문에 대해서도 허투로 답해주시지 않는 모습에 너무 감사하다 느꼈습니다. 구글 광고와 관련해서 강좌는 출시 예정이 없으신가요?개인적으로 제일 바라는 부분이라 매우 궁금합니다. 혹은 다른 강좌 준비하시는게 있으시다면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초보자를 위한 BigQuery(SQL) 입문
쿼리 생산성 도구 에러
안녕하세요! 덕분에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espanso까지 설치하고, 윈도우라 메모장으로 열어서 템플릿을 입력하고 저장을 하면 첨부된 이미지와 같이 에러가 뜹니다. 이럴 경우, 뭐가 문제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초보자를 위한 BigQuery(SQL) 입문
쿼리 작성 템플릿과 생산성 도구 사용
espanso 설치까지 했습니다. 이후 터미널에서 쿼리를 작성하라는게 무슨 뜻인지 잘모르겠어요.터미널에서 espanso edit을 입력하면 메모장이 켜지네요 ㅠㅠ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purchase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많이 사용하는 세그먼트 10가지 만들어보기_2를 보고 있습니다.purchase가 구매 이력이 있는 모든 사용자를 의미하는게 아닌가요?매개변수에 event_count > 0을 설정하여 이벤트가 1 이상의 범위를 설정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이 설정 없이 purchase만 설정하면 어떤 조건의 사용자들이 선택되어 지는건지요? 참조사용 > 구매자를 눌러 템플릿 내용을 보면, 이 곳에서의 purchase는 매개변수가 없는 조건이라 혼돈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전환이 주요 이벤트로 변경이 된다고 하는데 사용자와 세션 전환율은 어떻게 하나요?
전환이 측정항목으로 선택이 안되어 검색을 해보니전환 > 주요 이벤트로 이름이 바뀌었다 하더라고요그런데 세션 전환율이나 사용자 전환율은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 가늠이 안되어서 문의 드립니다. 이벤트라 치면사용자당 이벤트 수세션당 이벤트가 나오는데 이 항목들을 대체하면 될까요?혹시나 해서 넣어보니 백분율이 아닌, 소수점 단위의 숫자가 나옵니다.그리고 이벤트 값과 이벤트 수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유저 아이디
현재 웹 사이트를 운영중인데 사용자 속성에서 unknown이 많이 잡혀있습니다.이 부분은 user_id 보내기를 이용해야할까요? 해당 강의 챕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유저도 role 구별이 개발단에서는 되어있는데, 태그매니저에서 설정하는 부분 강의도 있으면 챕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현재 순차적으로 보고있긴한데 해당 세팅부터 먼저 해놔야 실제 적용하면서 해볼 수 있을 것 같아서요
-
해결됨초보자를 위한 BigQuery(SQL) 입문
수강 다짐
강의 목적💡 이 강의를 통해서 얻고 싶은 3가지는?여러 테이블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불편하지 않게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실제 데이터 추출에서 이런 SQL 쿼리를 쓰면 되겠다라고 판단이 들고 싶다.실제 프로젝트에서 이제 어떻게 쿼리문을 작성하면 되겠다라고 판단이 들고 싶다. 💡 그걸 위해 내가 할 노력은?생각의 흐름을 먼저 정리하고 → 쿼리 문으로 옮기기47문제 중에서 상,중,하로 판단하여 어려웠던 쿼리 문만 모아서 2회독 하기47문제 중에서 자주 쓰이고 필요한 SQL 치트 시트 표 만들기💡 수강한 이후 내가 생각하는 나의 변화는?2회독을 하여, 여러 테이블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쿼리문을 작성할 수 있는 능력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hat gpt없이)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네이버 유입 검색어 및 이전 검색어 이벤트 세팅
선생님 안녕하세요,알찬 GA4 수업 감사합니다!다름이 아니라, GA4와 태그매니저에서 자사몰로 유입된 네이버 검색어 및 이전 검색어에 대한 이벤트 세팅을 하고 결과를 보고서로 보고 싶은데, 여러 글들을 보면서 따라해보았지만(주로 글들은 유니버셜 애널리틱스 기준) 계속 실패하고 있습니다ㅜ 어떻게 하면 좋을지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참고했던 링크)https://ogaeng.com/googleanalytics-previous-query/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수강목표
🤔 P: 현업에서 사용하는 지표는 무엇이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떤 지표를 사용해야할지 판단이 가지 않는다.S: 관련 강의섹션 4. 성과 측정을 위한 지표(Metric) 정의섹션 5. 결제 전환율 개선 프로젝트 - 문제 정의, 데이터 기반 프로젝트 진행 Process섹션 6. 데이터 로그 설계, 데이터 QA 💡 이 강의를 통해서 얻고 싶은 3가지는?현업에서 사용하는 지표의 종류와 내용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데이터를 수집할 때 어떤 지표를 기준으로 수집할지 설명할 수 있다.프로젝트를 할 때 데이터를 보고 어떤 지표를 봐야할지 설명할 수 있다.💡 그걸 위해 내가 할 노력은?지표에 대한 개념을 하나 알게 되면 데이터를 구해서 적용해보기예시: PV(Page View)를 배웠으면 이커머스 데이터로 적용해보기💡 수강한 이후 내가 생각하는 나의 변화는?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어떤 지표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석해야할지 판단이 선다. 우선 목표를 작게 잡고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진행해보겠습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GA4 이벤트 만들기 질문 드립니다.
GA4의 이벤트를 만드는 과정에서 저의 경우는 리스트 화면은 계속 무한 로딩 상태이고 만들기를 해도 에러로 인해 만들수 없다고 뜨는 현상이 계속 발생되고 있습니다.혹시나 하여 다른 브라우저로 접속해도 동일한 현상이 반복되는데, 저만 이런 것인지 아니면 현재 GA4의 문제로 발생되는 것인지 알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다른 환경을 만들어 테스트 하기 어려워 혹시 강사님도 지금 그런 현상이 발생되는지 확인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