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안정적인 수익 내는 코인 자동매매 봇 만들기 - 그리드전략 편
자동매매 봇
안녕하세요 강사님!아직 강의를 듣고 있는 중인데요.강의에 있는 자동 매매 봇을 만들면 컴퓨터를 계속 켜 놓고 계속 돌리면 자동으로 매매 매수 되는 걸까요?
-
해결됨프로덕션 레벨 실시간 채팅 서버 구축: 분산 처리부터 성능 최적화까지 (Kotlin & Spring)
엔티티는 Data Class로 작성하면 안되나요?
아직 코틀린에 익숙치 않은데 어떤 경우 Data class를 선언하고 어떤 경우 일반 class를 선언하는지 감이 안잡히네요.추가로 object나 compainon object는 어떤 경우 사용하게 되나요?
-
미해결유니티 머신러닝 에이전트 완전정복 (기초편)
env 환경경로 입력방법
안녕하세요! 9강에서 3d ball 학습할 때 적는 env 경로는 프로젝트에서 3d ball을 빌드한 다음에 적어야 하는 경로일까요?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Kafka 초기 Partition 개수 설정 관련 질문
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Kafka를 처음 설정할 때 Partition 개수를 1개로 두고 추후 확장하는 방식이 일반적인가요?아니면 초기에 적절한 Partition 개수를 여유롭게 미리 설정하는 것이 좋을까요?또한, 이러한 설정은 멀티 노드 Kafka 클러스터 구성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웹소켓/STOMP 채팅서비스(spring, vue, redis)
cors, csrf 직접 구현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뜬금없는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스프링 시큐리티 없이 cors 구현, csrf 차단 기능 만드는게 좀 더 복잡하고 러닝커브가 높을까요? 스프링 시큐리티가 자동으로 해주는 설정이 많아 어렵게 느껴질 때가 있어서요.
-
미해결[1.5탄] 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GetMapping은 단순 축약일까요? 다른 차이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를 듣다가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강의에서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GET)을 @GetMapping으로 축약할 수 있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이런 축약 어노테이션들이 단순히 가독성만을 위한 것인가요? 아니면 성능상의 차이도 있나요? 왜 굳이 이렇게 나뉘어져서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스프링빈과 Clock 클래스 관련
안녕하세요, 토비님. 좋은 강의 항상 감사드립니다.Clock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스프링에서 빈은 기본적으로 싱글톤으로 관리된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만약 Clock을 빈으로 등록하고 Clock.fixed...로 고정된 시계를 만든다면,여러 스레드가 동일한 Clock 인스턴스를 공유하게 될 텐데요.이 경우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Seprate Interface 패턴에 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Seperate Interface 패턴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오브젝트와 의존관계" 세션의 마지막 강의에서, DIP를 적용하기 위해 payment 패키지에 ExRateProvider 인터페이스를 두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exrate 패키지에서 구현한다고 알려주셨습니다. 저도 직접 코드를 따라서 작성해보니 훨씬 깔끔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요. 그런데 사실 제가 실무에서 개발을 하면서 저런 구조를 경험해보지 못했습니다. 저는 Spring MVC를 사용하는데, 흔히 사용하는 controller-service-repository 패키지 구조에서 repository 패키지 아래에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서 그대로 쓰거나(JpaRepository) 필요하면 구현체를 만들어서 쓰는 방식으로 개발을 해왔습니다. 그래서 다음 2가지가 궁금한데요.1) Spring MVC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알려주신 Separate Interface 패턴을 적용할 수 있나요? 아니면 프로젝트의 설계 자체가 달라져야 하는 것인가요?2) 실무에서도 Seperate Interface 패턴을 많이 적용하고 있나요?스프링을 더 잘 이해하고 코드를 더 잘 작성하고 싶었는데,강의 들으면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DDD
5년차 백엔드 개발자 이며 현재 섹션5.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사실과 오해를 학습하고 있습니다.현업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준비 하면서 어떤 아키텍처를 가져가는 것이 좋을지 고민중에 강의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 및 설계 단계에 있습니다. 제가 전부 리드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젝트 전반적인 부분을 개발 리드분에게 권한을 받고 저와 팀원 둘이서 백엔드 구조를 설계 하고 있습니다.수천만건 그 이상이 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서비스를 계획 및 설계하고 있는데, 자바 스프링으로 서버를 구축 하려고 하는데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저와 팀원은 경험 하지 못하였는데, 확장성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헥사고날 아키텍처 기반으로 어떤 구조 설계를 하는 것이 좋을지 ,,,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aws 프리티어 정책
안녕하세요 태현님!최근에 AWS 프리 티어 정책이 바뀐 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이번 강의 실습에서 사용하는 리소스들이 프리 티어 크레딧 안에서 모두 커버되는지 궁금합니다. 또 62강 내용도 여전히 적용될 수 있는 건가요?
-
미해결친절한 블렌더 - [LV.0] 입문 필수
블렌더 도구 사용 문의
실제 작업 자체에 문제가 있는 사항은 아닙니다만아무 버튼이나 누르다보면 이런 사항과 같이 로테이트가 안먹거나 특정 명령어가 시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작업 내역이 적으니 이 작업을 소거하고 새로 해도 무방합니다만 혹시 기존 설정된 유저의 상태값 혹은 옵션값을 초기화하는 형태의 명령어나 기능이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알고리즘 학습법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코딩테스트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코딩테스트를 공부할때 모르는 문제를 마주하면 AI를 통해서 알고리즘이나 순서에 관해 힌트를 얻는 편인데, 어떤 방식으로 공부해나가야 하는지 추천하시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후속 강의 출시 예정일 문의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파트2 강의는 언제쯤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디폴트 메서드를 사용한 리펙토링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코드 구조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현재 상황PostStrategy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3개의 구현체를 두어, 홈 피드에 게시글을 조회하는 전략을 분리했습니다.인터페이스에는 homePosts() 관련 메서드가 여러 버전으로 존재합니다. (homePosts, homePostsV2, homePostsV3 등)public interface PostStrategy { boolean isExecutable(UserContext userContext); boolean requiresAuthentication();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int size, Long cursorPostId, String username);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V2(int size, Long cursorPostId, String username);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V3(int size, Long cursorPostId, UserContext userContext); ... } 문제 상황구현체 중 ForYouPostStrategy만 V2와 V3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구현체에서는 homePosts()만 호출하는 식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단순했는데 버전이 늘어나면서 인터페이스가 점점 커지고 불필요한 코드가 많이 생긴 상황입니다. 궁금한 점PostStrategy 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서드를 정의해 공통 로직을 담고, 특정 전략에서만 필요한 부분을 오버라이드하는 방식으로 해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또는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리팩토링하는 것이 더 적절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기본편"
eslint 룰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실무에서 사용하는 자주 사용하는 eslint 룰 등이 있을까요? 자바의 경우 네이버 자바 컨벤션이나 구글 컨벤션이 있는데 eslint 룰도 컨벤션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
text2cypher 에 최적화된 llm은?
모델별 차이라던가, cypher 쿼리작성에 유리한 llm 모델은 무엇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Inner Join에서 쿼리 작성 시 ON 절 테이블 배치 순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Inner Join 시 ON의 조건을 선언하는 부분에서, FROM 절에 있는 테이블을 먼저 작성하고, 이후 Join 절에 있는 테이블을 작성한 것을 보았습니다.ex. select u.address from orders ojoin users u on o.user_id = u.user_id where o.order_id = 1 ; 여기서 u.user_id = o.user_id 라고 작성해도 동일한 결과를 반환하는데, o.user_id = u.user_id 형태로 쓴 것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인가요? 아니면 성능상의 이슈가 있는 건가요?
-
미해결빅데이터/텍스트마이닝 분석법 (LDA,BERTtopic,감성분석,CONCOR with ChatGPT)
심화 강의 개설 여부
안녕하세요! 강의를 계속 보다 빅데이터 분석 심화 관련 수업도 신청하고 싶은데, 혹시 향후 심화 수업도 개설할 의향이 있으신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
강의에서 배운 내용을 잘 적용해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에서 배운 내용들을 현업에서 좀 더 잘 적용해보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강의 자체로도 큰 도움이 되었지만 막상 코드로 작성하려니 잘 적용하고 있는지 자주 고민이 드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내용을 웹 프레임워크에 잘 적용시킬 수 있는 책이나 참고할만한 구조의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강의를 본 뒤에 추가로 공부할만한 자료들을 추천해주셨으면 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 혼자서 하루 만에 수익화 앱 출시하기
Cursor에서 모델 선택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강의에서 Claude 3.7로 진행을 하시지만 현재 강의를 듣는 시점에서는 Claude 4.5가 나온 상태여서 일단 4.5로 진행하다가 할당량을 다 쓰면 점점 낮은 버전의 Claude로 선택해서 이어나가고 있습니다.이제는 더 최신 모델도 많이 나왔으니까 Claude 선택을 고집하지 말고 Auto로 하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최신 모델 선택 우선순위가 변경된 게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