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코드 질문 있어요!
#Bingo Game import random class BingoBoard: def __init__(self,name): self.name=name self.board=[] def create(self, pool): self.board= random.sample(pool,k=25) def __repr__(self): out=self.name+'\n' for i,k in enumerate(self.board): out += f"{k:3} " if i % 5 == 4: out += '\n' return out def update(self,num): self.num=num if self.num in self.board: self.board[self.board.index(self.num)] = 0 def getLinesCompleted(self): self.result=[] for i in range(5): self.result.append(self.board[6*i:5*(i+1)].count(0))#가로 self.result.append(self.board[i::5].count(0))#세로 self.result.append(self.board[0::6].count(0))#대각선 우하향 self.result.append(self.board[4:-1:4].count(0))#대각선 좌상향 return self.result #길이12 #0을 카운트 한 숫자,,? 각 가로줄에 0이 몇 개 (총 5줄)... 총 12개의 숫자 반환. 5가 반환되면 줄 하나 완성 def next(self): #지우고 싶은 숫자를 선택 pass class HumanBingoBoard(BingoBoard): def next(self): a=int(input('지우고 싶은 숫자 입력: ')) return a class ComputerBingoBoard(BingoBoard): def next(self): cand = [x for x in self.board if x > 0] #0이 아닌 숫자만 고르게 됨. return random.sample(cand, k=1)[0] #리스트 형 숫자 반환이라 0번째 숫자를 인덱싱 해줌 class MyBingoBoard(BingoBoard): def next(self): # 빙고판 중앙 선택 if self.board[12] != 0: return self.board[12] # 각 라인에서 0의 개수를 계산, 각 라인을 리스트에 담아둠. lines = [ self.board[0::6].count(0), # 대각선1 self.board[4:-1:4].count(0) # 대각선2 ] dia_lines=[ self.board[0::6], # 대각선1 self.board[4:-1:4] # 대각선2 ] lines2 = [ self.board[0:5].count(0), self.board[5:10].count(0), self.board[10:15].count(0), self.board[15:20].count(0), self.board[20:25].count(0) ] hor_lines=[ self.board[0:5], self.board[5:10], self.board[10:15], self.board[15:20], self.board[20:25] ] lines3 = [ self.board[0::5].count(0), self.board[1::5].count(0), self.board[2::5].count(0), self.board[3::5].count(0), self.board[4::5].count(0) ] ver_lines = [ self.board[0::5], self.board[1::5], self.board[2::5], self.board[3::5], self.board[4::5] ] if max(lines) !=5: a=max(lines) elif min(lines) !=5: a=min(lines) else: a=-1 #게임이 끝나기 전 두 대각선이 먼저 완성되었을 경우 대각선이 게임에 방해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if max(lines2) !=5: b=max(lines2) else: for i in range(5): if lines2[i]==5: lines2[i]=-1 b=max(lines2) if max(lines3) !=5: c=max(lines3) else: for i in range(5): if lines3[i]==5: lines3[i]=-1 c=max(lines3) def dia(): selected_index = lines.index(max(lines)) #대각선에서 숫자고르기 selected_line = dia_lines[selected_index] for i in range(5): if selected_line[i] !=0: return selected_line[i] def hor(): #가로 selected_index = lines2.index(max(lines2)) selected_line = hor_lines[selected_index] for i in range(5): if selected_line[i] != 0: return selected_line[i] def ver(): #세로 selected_index = lines3.index(max(lines3)) selected_line = ver_lines[selected_index] for i in range(5): if selected_line[i] !=0: return selected_line[i] if a==b and b==c: return dia() elif a==b and b>c: dia() elif a==b and b<c: ver() elif a==c and c>b: dia() elif a==c and c<b: hor() elif b==c and c>a: ver() elif b==c and c<a: dia() elif b>c: if a>b: dia() else:#가로 hor() elif c>b: if a>c: dia() else:#세로 ver() else: # 특별한 무언가가 없는 경우 cand = [x for x in self.board if x > 0] #0이 아닌 숫자만 고르게 됨. return random.sample(cand, k=1)[0] class BingoGame: def __init__(self): self.pool = list(range(1, 26)) self.user = MyBingoBoard('player1') self.com = ComputerBingoBoard('player2') self.user.create(self.pool) self.com.create(self.pool) # Refactoring: 동작은 유지, 코드만 개선 def run_by(self, bot): bot_input = bot.next() self.user.update(bot_input) self.com.update(bot_input) ucl = self.user.getLinesCompleted().count(5) ccl = self.com.getLinesCompleted().count(5) if ucl >= 4 and ccl < 4: #print(self.user.name, 'wins') return 0 elif ccl >= 4 and ucl < 4: #print(self.com.name, 'wins') return 1 elif ccl >= 4 and ucl >= 4: #print('draw') return 2 else: return -1 def run(self): while True: out = self.run_by(self.user) if out >= 0: break out = self.run_by(self.com) if out >= 0: break return out stat = [0, 0, 0] for k in range(1000): game = BingoGame() stat[game.run()] += 1 print(stat) 빙고 게임 만드는 코드입니다. 빙고 게임을 실행 시키면 생성된 두 빙고판이 MyBingoBoard와 ComputerBingoBoard를 활용해서 게임을 하게 되고, 약 1000판에서 승리, 패배, 무승부 횟수를 출력하게 끔 해뒀습니다. 제 목표는 MyBingoBoard를 활용하는 빙고판이 게임을 압도적으로 이기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긴 했는데, 파이썬을 접한 지 얼마 안 되어서 최적화하는 것도 어렵고 나중에 헷갈릴까봐 하나하나 대입한 감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이런 건 무시해 주시고 MyBingoBoard 클래스만 건드려서 좀 더 압도적으로 이기게 끔 할 수 없을까요? 들은 걸론 900회 이상을 이기게 끔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아무리해도 550회를 넘기는 게 힘드네요.. 처음 이 사이트를 사용해서 실수한 게 있다면 지적해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앨런 iOS 앱 개발 (15개의 앱을 만들면서 근본원리부터 배우는 UIKit) - MVVM까지
Swift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iOS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를 듣는중에 궁금한점이 있어 이렇게 질문을 올립니다.해당 강의에서 Swift의 동작방식이라던가, selector등을 배웠다고 말씀하시면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 다뤄지지 않는데 이러한 설명들은 어디에서 들을 수 있는건가요??참고로 저는 인프런에서 iOS 프로그래밍 강의만 구매해서 듣고 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update"/>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roperty name="hibernate.hbm2ddl.auto" value="update"/>create / create-drop 은 잘 됩니다. 하지만 update는 이상한점을 발견을 했습니다. 이유를 알고 싶어서 이런 질문 드립니다.update를 value에 작성을 한뒤에 Member class 에서 A - private int age x B - private Integer o 위 와 같이 작성을 하고 나서 실행을 해보면 A는 오류가 발생하지만 B는 정상적으로 작동이 됩니다.이유를 알려주세요.
-
미해결윤재성의 자바 기반 안드로이드 앱개발 Part 1 - UI Programming
20강 android view.View 자동 임포트 관련 질문입니다.
강의 18분쯤에 Button의 Click 리스너 클래스를 생성 중 class ButtonClickListener1 implements OnClick까지 입력 후 자동 임포트를통해 android view.View를 임포트하라고 하셨는데 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android.content.DialogInterface 만 자동 임포트 창에 떠있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웹 게임을 만들며 배우는 Vue
webpack-dev-server 설정 후 에러 발생 처리 도와주세요.
강의자님이 세팅하신 대로 webpack-dev-server 관련 세팅을 한 뒤 npm run dev를 하니 아래와 같이 생성자를 생성할 수 없다는 에러가 뜨고 있습니다.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세팅 상태에러 내용
-
해결됨핵심만 쉽게, 모두의 SQL 데이터 분석
교안 pdf
안녕하세요.교안pdf는 따로 받을 수 없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f1 스코어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이진분류 문자에서 f1 사용시 pos_label을 사용하라고 하셨습니다. 예측의 양성이 되는 문자를 구별하기 위함인데 그렇다면 이때도 roc_auc_score와 같이 pred값을 뽑아낼 때 pred[:,1]과 같이 양성 값만을 추출해야되는거 아닌가요?아니면 이 코드는 자동으로 양성값만을 예측하는 것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랜덤포레스트 튜닝 후 평가지표 질문
안녕하세요~랜덤포레스트에서 n_estimators, max_depth 값을 바꾸면서, f1스코어를 뽑으면, 값이 항상 같게 나옵니다.무엇이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강의에서는 뎁스값을 달리할 때마다 f1값이 달라지는데,실제 코랩환경에서 제가 뎁스값을 바꾸며 실행해보면, 값이 계속 고정입니다.감사합니다.뎁스설정x뎁스설정o
-
미해결CloudNet@ - Amazon EKS 기본 강의
Secondary ENI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수강생입니다. 다른 분들은 다 이해하셨겠지만, 순전히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VPC CNI 강의에서 노드에 ENI가 있고 슬롯개수따라 Secondary IP를 가지고 해당 Secondary IP는 Pod에 부여된다. 그리고 Secondary IP가 부족하면 Secondary ENI를 추가한다.로 이해했습니다. 그 후 강의 중 '기본 네트워크 환경 강의(1),(2)'에서 'coredns는 노드 수에 상관없이 두개의 노드에 스케줄링된다.' 했을 때, 두개의 노드에 대해서 처음부터 Secondary ENI가 있는건 coreDNS로 인해 POD가 늘어났기 때문이고 이로 인해, 노드 3의 경우는 새로운 POD가 스케줄링 될 때 Secondary ENI가 부여됐다고 이해했습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게... 그렇다면, 이전에 Secondary IP는 다 부여가 되었으니 새로운 ENI를 할당한거라고 생각하는데...그 Secondary IP들은 다 어디에 부여된걸까요...? POD는 owide로 확인해봐도 부여된게 안보이는데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다른 컴포넌트에 부여가 되는건지 아니면 강의에서 얘기했을 수도 있는데 제가 앞부분이라서 못들은거라면, 해당 내용에 대한 세션 좀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test results가 안뜹니다.
강사님처럼 이렇게 뜨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뜨는데 묘하게 거슬려서요.. 따로 설정해야하는 부분인가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AcceptEx, ConnectEx 사용에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비동기, 논블록 환경의 IOCP 서버를 구현하고 있습니다.문제는 AcceptEx, ConnectEx 호출 후 GetQueudCompletionStatus 를 호출하면 정상적으로 TRUE 의 값이 출력됩니다.하지만 서버에서 AcceptEx 를 호출하고, 완료 통보를 받았다면 서버가 클라이언트 소켓을 받아야 하는데 정상적으로 처리 되지 않는거 같습니다. 위 문제에 대한 코드에서 어떻게 해결 방안을 받거나 선생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왜냐하면 AcceptEx -> GetQueudCompletionStatus -> setsockopt 에서 AcceptEx 에 들어오는 소켓의 옵션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고 마이크로 소프트 공식 문서에 써져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하지만 옵션을 바꿔주기 전에 accept 소켓이 연결되어야 하는 상태인데 WSAENOTCONN 의 오류를 반환 받았습니다.하단 링크는 구글 드라이브 공유 링크입니다.문제가 있는 솔루션입니다.참고한 문서들은,소켓 오류 :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win32/winsock/windows-sockets-error-codes-2Github C 로 구현한 IOCP 비동기 논블록 서버 : https://github.com/YDYDWang/libiocpsocket/blob/master/sock.c#L335기본적인 IOCP 내용 블로그 : https://narakit.tistory.com/m/category/Computer%20Science%20%EA%B8%B0%EB%B3%B8%20%EC%A7%80%EC%8B%9D/%EC%86%8C%EC%BC%93%20%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AccpetEx 에 대한 마이크로 공식문서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mswsock/nf-mswsock-acceptexLink : https://drive.google.com/file/d/1s8na3xe-o5nPPb8W6xuLMdl27XRfNChQ/view?usp=drive_link감사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섹션 7 - 옵션 처리] 전체 테스트 중 CoreApplicationTests 클래스의 contextLoads 테스트 실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게시판을 둘러보니 비슷한 오류가 나시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해결되신 분이 없는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개발 환경Spring Boot : 3.2.0운영체제 : Mac OS XIDE : IntelliJ IDEA Ultimate 2023.2.5JDK : JDK 17빌드 툴 : Gradle 8.4문제강의를 따라가던 도중 전체 테스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CoreApplicationTests 클래스의 contextLoads 테스트가 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오류를 발생시키며 실패합니다.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특이한점으로 GitHub에 올려놓은 코드를 내려받은 후 실행하면 테스트가 통과하고, 지금까지 했던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테스트가 실패합니다.테스트가 성공한 프로젝트도 아래처럼 컨텍스트를 주입받아 MemberRepository를 getBean으로 받아오는 테스트를 해보면 오류가 납니다.@SpringBootTest class CoreApplicationTests { @Autowired ApplicationContext ac; @Test void contextLoads() { MemberRepository bean = ac.getBean(MemberRepository.class); }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로그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컴포넌트 스캔으로 등록한 빈과, AppConfig를 통해 등록한 빈이 겹치는 것 같습니다.아래는 유추한 내용입니다.컴포넌트 스캔이름을 변경해서 확인해봤습니다.다시 테스트를 돌려보면 로그가 아래처럼 찍힙니다.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메모리멤버레포지토리,memberRepository@Bean이름을 변경해서 확인해봤습니다.테스트를 돌려보면 로그가 아래처럼 찍힙니다.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메모리멤버레포지토리,앱콘피그에있는메모리레포지토리컴포넌트 스캔을 이용하여 MemberRepository 빈을 등록했는데 AppConfig 에서 @Bean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서드의 반환 객체도 빈으로 중복 등록 되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의문점AutoAppConfig 에서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는 스캔의 대상에서 제외를 했는데 왜 중복해서 등록이 된 것일까요?검증을 위해 스프링 부트 통합 테스트를 진행해보았더니 AppConfig 가 빈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SpringBootTest class CoreApplicationTests { @Autowired ApplicationContext ac; @Test void contextLoads() { AppConfig bean = ac.getBean(AppConfig.class); System.out.println(bean); } }hello.core.AppConfig$$SpringCGLIB$$0@37df14d1AppConfig 클래스의 코드입니다.@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System.out.println("Call - AppConfig.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System.out.println("Call -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컴포넌트 스캔을 CoreApplication 으로 옮겨도 똑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추가 질문만약 위 의문이 해결되어 AppConfig 에서 생성한 객체들이 빈으로 등록되지 않고, 컴포넌트 스캔을 통하여 빈을 등록한다면 MemoryMemberRepository 는 memoryMemberRepository 이름으로 빈으로 등록됩니다. 그렇다면 MemberServiceImpl 에서는 memberRepository 를 주입받아야 하는데, 빈의 이름이 달라 주입이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이 경우에는 @Component("memberReository") 로 수정해줘야 할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minmaxscaler 사용 문
minmaxscaler 사용에 있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는데 오류가 뜹니다.. 원인 및 해결방법을 알고싶습니다. 키값 길이가 다르다는 것 같은데 잘 모르겠습니다ㅠㅜ에러내용: Columns must be same length as key# Missing keys in columns are represented as -1 c_cols = ['embarked','sex'] X_train[c_cols] = pd.get_dummies(X_train[c_cols]) X_test[c_cols] = pd.get_dummies(X_test[c_cols])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Exec exit status not zero. Status [125], unstable 오류
도원님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강의를 보고 젠킨스에서 빌드 후 조치에 위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하니 아래와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쉘에서 명령어(docker run -p 8080:8080 --name mytomcat cicd-project:latest)를 입력하면 빌드가 되고 웹페이지에 접속이됩니다. 하지만 젠킨스에서 빌드를 하면 ERROR: Exception when publishing, exception message [Exec exit status not zero. Status [125]]... 오류가 발생하였고 웹페이지에 접속이 되지 않았습니다. 혹시 의심가는 부분이 있는지 알려주시면 제가 다시 해보겠습니다.매번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drop 질문(inplace =True 써야할까요?)
질문 : drop할 때 inplace=True 써야할까요? train.drop('customerID', axis=1, inplace=True)여기서 inplace는 drop할 때 기존의 데이터프레임인 train을 customerID가 drop된 데이터프레임으로 대체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업 때 종종 inplace가 나오긴 하는데, 어떻게 적절히 사용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시험이 다가오니 사소해 보이는 것도 확인 받고 싶네요 ㅠㅠ 매번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1~3 관련 질문
선생님 안녕하세요! 선생님께서 지금시간 기준으로 지금까지 올려주신 강의를 모두 듣고나서 원래 갖고있던 궁금증이 많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그래도 좀더 궁금한것이 있어 여쭤봅니다 😃 만약 작업형1에서 앞에서 몇 프로 데이터 활용이 아닌, 뒤에서 몇 프로 활용이면 어떻게 해야할까요??만약 뒤에서 70%라면, df.iloc[int(len(df) * 0.3):, :]로 하면 될까요?? 그간 앞에서만 나왔는데 뒤에서부터 잘라내는 문제가 나올것을 생각해 여쭤봅니다 기출6 작업형1에서 3번에 연도를 찾는 문제를 만약 datetime형식으로 바꾸게 된다면df['날짜'] = pd.to_datetime(df['날짜'], format='%Y년%m월') 로 해보았는데 에러가 떠서 혹시 date형식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선생님께서 분산분석 때 df.melt() 처리에 대해 말씀해주신 것을 확인했는데요. melt()작업이 필요한 때가 정확히 어떤 경우일까요? 일원분산분석 편처럼 독립,종속변수가 명확히 나와있지 않을 때 하면 될까요?? 분류문제와 회귀문제를 구별하는 것을 지금까지 평가지표로 구별했는데 평가지표가 안나올수도있을까요?? 또는 제출 예시를 보고 0.xxx 등의 확률 등이 아닌 숫자가 크고 다양하게 나온다면 회귀문제로 생각해도 될까요?? 선생님께서 캐글에 올려주신 작업형3을 공부해보고 있는데요! 그중에 포아송분포 관련 질문드립니다!- 하루에 적어도 2명의 고객이 잡지를 구매할 확률 : print(1 - poisson.cdf(1, lambda)) 로 풀이를 적어주셨는데 cdf(1, lambda)인 이유는 적어도 (2명 - 1)을 해서 그런걸까요?? lightgbm을 인코딩 처리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astype('category') 사용 없이 인코딩 등의 사전처리를 하고나서 사용하여도 성능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랜덤포레스트와 해당 모델을 시험에서 사용하고싶어서요! 선생님께서 캐글에 올려주신 작업형1을 풀고 있는데요!result = df['StartTime'].dt.date.value_counts().index[0]print(result.strftime('%Y-%m-%d'))여기서 만약 result값으로 2011-01-01 이라는 답을 알았다면 이제는 이렇게 프린트문으로 하지 않고 바로 답안을 제출해도 될까요?? 그리고 value_counts는 무조건 숫자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해서 보여주는지도 여쭤봅니다! 선생님께서 보너스 강의로 작업형3의 C()를 묶는 것에 대해 말씀해주셨는데, 로지스틱회귀와 회귀문제의 경우 문자로된 범주형이거나 숫자로 되어있지만 명시가 되어있거나 누가봐도 범주형인 부분을 묶으라고 하셨는데요! 회귀분석 파트의 범주형 강의에서는 C()를 묶는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냥 적어도 된다고 하신걸로 이해했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언리얼엔진5 crash
LoginId:ebefb15d4a41fcfbd9f0d19329778528EpicAccountId:91a6d7e499ba484bb30b7d42f941c5baFatal error: [File: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UObject\Private\UObject\UObjectGlobals.cpp] [Line: 4332] Bad path name: /Script/Engine.SkeletalMesh'/Game/Characters/Mannequins/Meshes/SKM_Quinn.SKM_Quinn, missing ' or an incorrect formatUnrealEditor_CoreUObject!ConstructorHelpers::StripObjectClass()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UObject\Private\UObject\UObjectGlobals.cpp:4335]UnrealEditor_ArenaBattle!AABCharacterBase::AABCharacterBase() [D:\ArenaBattle\Source\ArenaBattle\Character\ABCharacterBase.cpp:32]UnrealEditor_CoreUObject!UClass::CreateDefaultObject()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UObject\Private\UObject\Class.cpp:4136]UnrealEditor_CoreUObject!UObjectLoadAllCompiledInDefaultProperties()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UObject\Private\UObject\UObjectBase.cpp:832]UnrealEditor_CoreUObject!ProcessNewlyLoadedUObjects()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UObject\Private\UObject\UObjectBase.cpp:917]UnrealEditor_CoreUObject!TBaseStaticDelegateInstance<void __cdecl(FName,bool),FDefaultDelegateUserPolicy>::ExecuteIfSafe()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Public\Delegates\DelegateInstancesImpl.h:739]UnrealEditor_Core!TMulticastDelegate<void __cdecl(FName,bool),FDefaultDelegateUserPolicy>::Broadcast()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Public\Delegates\DelegateSignatureImpl.inl:975]UnrealEditor_Core!FModuleManager::LoadModuleWithFailureReason()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Core\Private\Modules\ModuleManager.cpp:591]UnrealEditor_Projects!FModuleDescriptor::LoadModulesForPhase()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Projects\Private\ModuleDescriptor.cpp:696]UnrealEditor_Projects!FProjectManager::LoadModulesForProject()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Projects\Private\ProjectManager.cpp:62]UnrealEditor!FEngineLoop::LoadStartupModules()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Launch\Private\LaunchEngineLoop.cpp:4188]UnrealEditor!FEngineLoop::PreInitPostStartupScreen()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Launch\Private\LaunchEngineLoop.cpp:3523]UnrealEditor!GuardedMain()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Launch\Private\Launch.cpp:154]UnrealEditor!GuardedMainWrapper()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Launch\Private\Windows\LaunchWindows.cpp:107]UnrealEditor!LaunchWindowsStartup()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Launch\Private\Windows\LaunchWindows.cpp:244]UnrealEditor!WinMain() [D:\build\++UE5\Sync\Engine\Source\Runtime\Launch\Private\Windows\LaunchWindows.cpp:282]UnrealEditor!__scrt_common_main_seh() [D:\a\_work\1\s\src\vctools\crt\vcstartup\src\startup\exe_common.inl:288]kernel32ntdll 이러한 오류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고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UFUNCTION을 붙여주는 이유, 필요한이유?
강의내용에 UFUNCTION에대한 설명은 없는거 같은데.그냥 단순히 함수이름을 검색하기 위해 있는것일까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스프링 부트 2.x 버전 지원 중단
안녕하세요! 최근에 강의를 수강하게 된 학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강의에서 말씀해주신 SpringBoot 2.7.6 버전을 설치하려고 하는데 start.spring.io에는 3.x버전들 밖에 보이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spring-cli를 사용해서 설치하려고 했으나 Initializr service call failed using 'https://start.spring.io' - service returned Bad Request: 'Invalid Spring Boot version '2.7.6', Spring Boot compatibility range is >=3.1.0'라는 문구와 함께 설치가 되지 않아 공식 깃허브를 찾아보았더니 2.x 버전에 대해서는 지원이 중단되었다고 적혀있었습니다.https://github.com/spring-io/start.spring.io/issues/1357Commercial support에 대해서는 25년까지 가능하다고 되어있는데, Commercial support(유료 지원?)이라는 것이 정확하게 어떤 것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Commercial support와 SpringBoot 3.1.6 버전을 설치하는 것 둘 중에 어떤 것이 더 나을지 질문드립니다ㅠㅠ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최신 프로젝트(spring boot 3버전)로 생성하는 법
프로젝트는 spring initializr를 사용해서 만들어서h2 database, spring data jpa(hibernate)를 추가했습니다.persistence.xml도 jakarta로 수정해서 사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