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char str[]과 char * str 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22:16초에서 char str[]을 쓰시는데 평소에 []이런식으로 안에 아무것도 할당되어있지 않은 배열의 역할과 포인터와의 차이가 너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포인터 알기를 겉핥기로 알고있어서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ProtoPie Master Courses (프로토파이 마스터 클래스)
타이머 만들기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타이머를 만들려고 하는데요. 00:00:00 (시:분:초)에서 시간이 계속 올라가게요! 계좌에 잔고는 정해져있는 값이 있어서 숫자가 올라가게 할 수 는 있겠는데 이건 감이 안와요..ㅠ혹시 쉽게 만들 수 있는 팁이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이렇게 풀어도 괜찮을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섹션 2.API Gateway Service 중 Spring Cloud Gateway-프로젝트 생성 부분 중 수행이 안됩니다.
강의와 똑같이 수행했다고 생각은 하는데, http://localhost:8081/first-service/welcome과 localhost:8082/second-service/welcome 를 개별적으로 호출했을 떄는 문제 없이 호출됩니다.그런데 http://localhost:8000/first-service/welcome을 호출하면 404로 문구가 나오네요.강의를 계속 봤는데 다른 부분 찾기가 어렵네요.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났는지 확인이 가능할까요? firstController.java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first-service") public class FirstServiceController { /* RequestMapping과 GetMapping이 조합이 되어서 호출됨 */ @GetMapping("/welcome") public String welcome(){ return "Welcome to the First service"; } } secondController.java@RestController @RequestMapping("/second-service") public class SecondServiceController { /* RequestMapping과 GetMapping이 조합이 되어서 호출됨 */ @GetMapping("/welcome") public String welcome(){ return "Welcome to the Second service"; } } apigateway-service 프로젝트의 pom.xml<?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s://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parent>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parent</artifactId> <version>2.4.2</version> <relativePath/> <!-- lookup parent from repository --> </parent> <groupId>com.example</groupId> <artifactId>apigateway-service</artifactId> <version>0.0.1-SNAPSHOT</version> <name>apigateway-service</name> <description>Demo project for Spring Boot</description> <properties> <java.version>17</java.version> <spring-cloud.version>2023.0.0</spring-cloud.version> </properties>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starter-gateway-mvc</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client</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devtools</artifactId> <scope>runtime</scope> <optional>true</optional>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optional>true</optional>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est</artifactId> <scope>tes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dependencies</artifactId> <version>${spring-cloud.version}</version> <type>pom</type> <scope>impor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build> <plugins> <plugin>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maven-plugin</artifactId> <configuration> <excludes> <exclude>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exclude> </excludes> </configuration> </plugin> </plugins> </build> </project> apigateway-service 프로젝트의 application.ymlserver: port: 8000 eureka: client: register-with-eureka: false fetch-registry: false service-url: defaultZone : http://localhost:8761/eureka Spring: application: name: apigateway-service cloud: gateway: routes: - id: first-service url: http://localhost:8081/ predicates: - Path=/first-service/** - id: second-service url: http://localhost:8082/ predicates: - Path=/second-service/**
-
해결됨그림으로 배우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livenessProbe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하기]안녕하세요 강사님! 양질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바로 본론으로 넘어가 livenessProbe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질문]initialDelaySeconds와 periodSeconds가 함께 있으면 initialDelaySeconds시간이 지나고, periodSeconds 시간이 추가적으로 지나고 난 뒤 첫번째 Liveness Probe가 실행되는 것이 맞을까요? 제가 실제로 해당 코드에서 initialDelaySeconds: 10를 주석 처리하지 않는 경우 첫번째 검사까지 20초가 걸렸고, 만약 initialDelaySeconds: 10를 주석처리하는 경우 첫번째 검사까지 10초가 걸렸습니다. 이에 여러 래퍼런스를 찾아보니 initialDelaySeconds가 끝나는 즉시 첫번째 probe가 수행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왜 첫번째 실패까지 20초가 걸리는지 의문이 들어 질문 남깁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PostConstruct어노테이션의 초기화 콜백 메서드에 대해서 확답이 필요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초기화 콜백에 관한 강의를 듣고 정리해본 결과 지금 예제에서는 외부에서 주입 받는 객체가 없기 때문에 의존성 주입은 없고 url필드의 값 주입만 있는 것 같습니다.그런데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의 역할은 설정 정보에 있는 빈 객체가 생성되고, 빈 간에 의존성이 모두 주입된 직후 실행될 초기화 콜백 메서드를 지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이때 예제에서처럼 실질적으로 의존성이 존재하지 않아도 해당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 메서드가 있다면, 빈 생성 후 필드 값 주입을 마치고 똑같이 초기화 콜백을 수행하는 것이 맞나요?그리고 @PostConstruct어노테이션의 쓰임으로는 어떠한 의존성이나 필드에 대해서 생성자로 초기화하기 까다롭거나 적절하지 않을 때, 혹은 그래야만 하는 상황에(앞서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는 의존성(필드)일 때) 추가적으로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걸로 이해해도 될까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Test Results 만 뜹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스프링 부트 3.2.0을 사용하고 있고요,pdf를 보고 주의 주신 대로 Gradle로 맞추었는데요 강사님처럼 이렇게 하위로 테스트가 개별 통과되었는지 보이지 않고,저는 위와 같이 Test Results만 뜨는 상황인데요..! 개별 메서드도 확인할 수 있게 바꿀 방법이 없을까요..?ㅠㅠ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새 일기 등록이 안됩니다..(Uncaught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date'))
새 일기를 쓰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해결해보려고 했는데 어떻게 손대야할지 막막하더라구요ㅠ코드를 뒤져보고 강의도 몇번씩 돌려보고 깃헙 소스코드랑 비교도 해봤습니다... 어떤식으로 에러를 해결해야하는지 찾는 방법도 함께 알려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아래는 제가 작성한 소스코드입니다!Home.jsimport { useContext,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DiaryStateContext } from "../App"; //components import MyButton from "./../components/MyButton"; import MyHeader from "./../components/MyHeader"; import DiaryList from "../components/DiaryList"; const Home = () => { const diaryList = useContext(DiaryStateContext); const [data, setData] = useState([]); // 날짜 저장 state const [curDate, setCurDate] = useState(new Date()); const headText = `${curDate.getFullYear()}년 ${curDate.getMonth() + 1}월`; useEffect(() => { if (diaryList.length >= 1) { const firstDay = new Date(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1).getTime(); const lastDay = new Date(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 1, 0).getTime(); setData(diaryList.filter((it) => firstDay <= it.date && it.date <= lastDay)); } else { setData([]); } }, [diaryList, curDate]); // useEffect(() => { // console.log(data); // }, [data]); const increaseMonth = () => { setCurDate(new Date(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 1, curDate.getDate())); }; const decreaseMonth = () => { setCurDate(new Date(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 1, curDate.getDate())); }; return ( <div> <MyHeader headText={headText} leftChild={<MyButton text={"<"} onClick={decreaseMonth} />} rightChild={<MyButton text={">"} onClick={increaseMonth} />} /> <DiaryList diaryList={data} /> </div> ); }; export default Home; App.jsimport React, { useReducer, useRef } from "react"; import "./App.css"; import { BrowserRouter, Route, Routes }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pages/Home"; import New from "./pages/New"; import Edit from "./pages/Edit"; import Diary from "./pages/Diary"; const reducer = (state, action) => { let newState = []; switch (action.type) { case "INIT": { return action.data; } case "CREATE": { newState = [action.data, ...state]; break; } case "REMOVE": { newState = state.filter((it) => it.id !== action.targetId); break; } case "EDIT": { newState = state.map((it) => (it.id === action.data.Id ? { ...action.data } : it)); break; } default: return state; } return newState; }; export const DiaryStateContext = React.createContext(); export const DiaryDispatchContext = React.createContext(); const dummyData = [ { id: 1, emotion: 3, content: "오늘의 일기 1번", date: 1702273692142, }, { id: 2, emotion: 2, content: "오늘의 일기 2번", date: 1702273692143, }, { id: 3, emotion: 5, content: "오늘의 일기 3번", date: 1702273692144, }, { id: 4, emotion: 1, content: "오늘의 일기 4번", date: 1702273692145 }, { id: 5, emotion: 4, content: "오늘의 일기 5번", date: 1702273692146, }, ]; function App() { const [data, dispatch] = useReducer(reducer, dummyData); const dataId = useRef(0); // CREATE const onCreate = (date, content, emotion) => { dispatch({ type: "CREATE", date: { id: dataId.current, date: new Date(date).getTime(), content, emotion, }, }); dataId.current += 1; }; // REMOVE const onRemove = (targetId) => { dispatch({ type: "REMOVE", targetId }); }; // EDIT const onEdit = (targetId, date, content, emotion) => { dispatch({ type: "EDIT", data: { id: targetId, date: new Date(date).getTime(), content, emotion, }, }); }; return ( <DiaryStateContext.Provider value={data}>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value={{ onCreate, onEdit, onRemove }}> <BrowserRouter> <div className="App">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new" element={<New />} /> <Route path="/edit/:id" element={<Edit />} /> <Route path="/diary/:id" element={<Diary />} /> </Routes> </div> </BrowserRouter>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DiaryStateContext.Provider> ); } export default App;DiaryList.js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useNavigate } from "react-router-dom"; import MyButton from "./MyButton"; import DiaryItem from "./DiaryItem"; const sortOptionList = [ { value: "latest", name: "최신순" }, { value: "oldest", name: "오래된 순" }, ]; const filterOption = [ { value: "all", name: "전부 다" }, { value: "good", name: "좋은 감정만" }, { value: "bad", name: "안좋은 감정만" }, ]; const ControlMenu = ({ value, onChange, optionList }) => { return ( <select className="ControlMenu" value={value} onChange={(e) => onChange(e.target.value)}> {optionList.map((it, idx) => ( <option value={it.value} key={idx}> {it.name} </option> ))} </select> ); }; const DiaryList = ({ diaryList }) => { const navigator = useNavigate(); const [sortType, setSortType] = useState("latest"); const [filter, setFilter] = useState("all"); const getProcessedDiaryList = () => { const filterCallBack = (item) => { if (filter === "good") { return parseInt(item.emotion) <= 3; } else { return parseInt(item.emotion) > 3; } }; // 비교함수 const compare = (a, b) => { if (sortType === "latest") { return parseInt(b.date) - parseInt(a.date); } else { return parseInt(a.date) - parseInt(b.date); } }; const copyList = JSON.parse(JSON.stringify(diaryList)); const filteredList = filter === "all" ? copyList : copyList.filter((it) => filterCallBack(it)); const sortedList = filteredList.sort(compare); return sortedList; }; return ( <div className="DiaryList"> <div className="menu_wrapper"> <div className="left_col"> <ControlMenu value={sortType} onChange={setSortType} optionList={sortOptionList} /> <ControlMenu value={filter} onChange={setFilter} optionList={filterOption} /> </div> <div className="right_col"> <MyButton type={"positive"} text={"새 일기쓰기"} onClick={() => navigator("/new")} /> </div> </div> {getProcessedDiaryList().map((it) => ( <DiaryItem key={it.id} {...it} /> ))} </div> ); }; DiaryList.defaultProps = { diaryList: [], }; export default DiaryList;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DB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전 강의인 Jdbc강의는 따라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셔서 h2 데이터베이스 관련 라이브러리 추가와 연결 설정 추가만 따라하고 이 강의로 넘어왔습니다. 이번 강의 전까지는 문제없이 실습을 따라했는데 이번 강의부터 따라하던 중 막힌 부분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5:53 쯤에 회원가입만 테스트 돌렸을 때 h2 데이터베이스에 남아있어야하는데 저는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습니다. Jdbc를 따라하고 넘어왔어야하는걸까요?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 8080 Whitelable Error Page 에러발셍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View 환경설정 강의 따라하고 있는데 localhost:8080은 잘 동작 하지만 localhost:8080/hello 는 오류 발생하네요.동일 오류 발생한 사람들의 사례를 찾아봤지만,도저히 해결방법을 모르겠어서 올립니다ㅜㅜ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파이썬 데이터 분석 (쉽게! 전처리, pandas, 시각화 전과정 익히기) [데이터분석/과학 Part1]
10:37 doc_final_country = doc_final_country[cols] 문법 해석
10:37 doc_final_country = doc_final_country[cols] 이 구문의 의미는변수 doc_final_country가 doc_final_country[cols] 를 가리키는 의미가 아닌가요...? 그러면 doc_final_country가 Series 형태인 doc_final_country[cols] 만 출력되어야 하는데, 어째서 doc_final_country에서 iso2의 위차만 변경되어서 나타나는지 궁금합니다 ``
-
해결됨[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cjs방식인 이유가 있으신가요? require, import
강의에 나온대로 require()로 따라하던 중 import가 더 최신방식이라는 이야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구글링을 해보니require()를 쓰는 쪽은 CommonJS(CJS)이고 import 쓰는 쪽이 ESM이라는 걸 알게되었습니다Es6(2015)부터 import를 쓸 수 있던거 같은데그 이후에 나온 강의가 require를 쓰게된 이유가 있을까요?사용되는 패키지의 호환성 이슈인지 다른 이유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gcTime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이전 노드버드 강의부터 z.com까지 강의 유익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섹션3 [react-query를 쓰는 이유와 fresh, stale, inactive] 강의 수강 중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강의에서 react-query의 데이터가 inactive 상태가 아니더라도 gcTime이 경과되면 gc가 이뤄진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래서 staleTime을 gcTime보다 길게 설정하더라도 실제론 gcTime을 넘을 수 없다고도 연이어 설명해주시는 내용이 나옵니다. 제가 이전에 react query 블로그에서 본 gcTime 관련 설명에는 'The duration until inactive queries will be removed from the cache.' 라고 적혀있었는데요, 이 내용을 보고선 inactive된 데이터만 gc가 이뤄지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혼란스러워 문의드립니다. ㅠㅠ gcTime 관련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읽어봤습니다.https://tkdodo.eu/blog/practical-react-query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에셋 블러올시 Material 텍스쳐링크가 다깨져있는데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다시따라가며 공부하고있습니다. 에디터를끄고 강의자료를 다운받아 제 프로젝트 폴더에 복사붙여넣기 진행하였는데요... 스크린샷처럼 링크가 다끊어져있습니다...마켓플레이스에서 받은 에셋들은 모두 정상인것을보니복사붙여넣기할때 이렇게 끊어지는거 같은데요. 혹시 해결방법을 아실까요?? 잘 알려지지 않은 문제인지 구글에 쳐봐도 나오질 않네요 ㅠㅠ.. 이전강의까진 제가 Material만들고 진행했는데 더이상 진행이 불가해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수업 외에 확장해 게임을 만들생각이라 프로젝트 명을 다르게 했는데 문제가 될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참조가 없으므로 UML도 잘못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섹션4. 엔티티 매핑 -44p"참조가 없으므로 UML도 잘못됨"UML은 찾아보니 특정한 다이어그램들을 나타내는 것 같은데, 참조가 없는것과 UML은 무슨 연관이 있으며, 이로인해 UML이 잘못되었다는게 어떤 의미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해결됨SwiftUI의 Property Wrapper(@State, @Binding...)
안녕하세요 @EnvironmentObject를 RequestInterceptor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이 부분을 듣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제 프로젝트에서 Alamofire를 사용 중인데 RequestInterceptor를 활용해서 JWT 관리 로직을 다루려고 하고 있습니다.궁금한 점은 로직 중에 JWT가 만료되거나 사라지면, 로그인/회원가입 뷰로 돌아가게 만들고 싶은데 RequestInterceptor에서 EnvironmentObject를 접근해서 변경할 수 있나요?변경할 수 없다면, 어떤 방식을 사용하면 JWT가 변경됐을 때 뷰를 다시 그릴 수 있을까요?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프레임 제한 코드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윈도우api 메인 루프 부분에서 프레임 제한을 위해 적은 코드의 원리를 모르겠습니다. uint64 prevTick = 0; uint64 now = ::GetTickCount64();if(now - prevTick >= 10) // 요부분!{ // TODO prevTick = now;} sumTick 을 만들어서 특정 시간이 되면 if 문으로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현재틱-이전틱 이 일정값 이상으로 조건을 걸어주는게 어떻게 프레임을 제한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swap 함수 작성하기
홍 선생님께선 swap 함수에서 temp를 선언하실 때 정수형 자료형으로 선언하셨는데 저는 정수형 포인터 변수로 선언하고자 했어요.void swap(int* a, int* b){ int* temp = NULL; *temp = *a; *a = *b; *b = *temp; }이렇게 함수를 작성해서 코드를 실행하려고 하는데 빌드는 성공했지만 실행은 실패했어요.다만 함수를 아래처럼 고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더군요.void swap(int* a, int* b){ int c; int* temp = &c; *temp = *a; *a = *b; *b = *temp;}혹시 첫 번째 코드에서 temp 변수의 주소를 NULL로 초기화 한 부분이 문제였을까요?
-
미해결최신 딥러닝 기술과 객체인식
평가 지표 실습(4) IoU와 mAP 질문
1분 쯤에 나오는 표에서 conf는 임계치가 아닌 confidence score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강의 내용과 오른쪽 P-R curve는 conf를 임계치로 생각하고 말씀을 해주시는데, 제가 헷갈린건지 아니면 오류가 있는건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 또 헷갈리는게 있는데, 만약 AP를 계산할 때 IoU 임계값에 따른다고 하면 confidence 임계 값은 고정을 하고 계산하는거겠죠? 그렇다면 논문 마다 mAP를 계산하는 방식이 다른데 이는 논문에서 계산방법을 보통 알려주나요?
-
해결됨최신 딥러닝 기술과 객체인식
평가 지표 실습 (3) PR curve와 mAP 질문
안녕하세요!강의에서 Precision-Recall를 구할 때 Confidence score를 기준으로 내리차순 한 뒤 P, R을 구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근데 실제 구현에서는 바로 tp,fp,tn,fn 을 구한 뒤 P,R을 구하는게 훨씬 빠를 것 같은데 해당 방식은 왜 나온건가요? 사람이 직접 구할 때 조금 더 직관적으로 보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식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