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슬라이싱 연습 마지막 앞 단어 관련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앞서 질문 사항 중 슬라이싱 연습 "마지막 앞 단어" 관련하여listbox[7:8]listbox[-2:-1]등으로 풀이 방법을 알려주셨는데요. listbox[-2] 해도 상관 없다는 답변을 앞서 질문 주신 분이 있어 확인하였습니다.추가로 print(listbox[7:8]) print(listbox[7]) print(listbox[-2]) print(listbox[-2:-1])위 처럼 조회 시, 아래와 같은 결과값이 나왔는데요.['공감'] 공감 공감 ['공감']결과값은 공감 이란 글자를 불러오는 건 맞지만 리스트 형태로 나오는 경우와 단순히 안에 값만 가져오는 경우로 나뉘는거 같은데요.동일한 타입으로 출력된다고 봐도 되는건지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
비주얼스튜디오에 파이썬이 안들어갑니다
다른 강의에서 배웠던 건 자동으로 파이썬이 들어갔었는데 이번에 새로 파일을 만들 때 마다 파이썬이 안 들어갑니ㅏㄷ.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 Boot 2.7.17 Java 11 버전 빌드 성공 한 build.gradle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빌드하다 머리털 빠질뻔해서 공유합니다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17'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0.15.RELEASE'}group = 'jpabook'version = '0.0.1-SNAPSHOT'java { sourceCompatibility = '11'}ext["hibernate.version"] = "5.6.5.Final"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repositories { mavenCentral()}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5.6' implementation group: 'com.fasterxml.jackson.datatype', name: 'jackson-datatype-hibernate5', version: '2.16.0'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p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Querydsl 추가, 자동 생성된 Q클래스 gradle clean으로 제거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yLogger 스코프
[질문 내용]requeste 스코프 예제 만들기 20:17초에 나오는 LogDemoService의 MyLogger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 스코프가 request니까 각 http요청당 하나씩 생성되고 종료되는 거로 알고 있습니다. 처음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MyLogger를 사용하고 그 다음 서비스에도 MyLogger를 사용하는데 이 때 컨트롤러에서 세팅한 값 MyLogger객체가 그대로 서비스에도 쓰이는 거 같은데 이게 어떻게 가능한거죠?? 컨트롤러와 서비스 코드 간에 같은 MyLogger 객체를 공유하는 어떤 기능이 있는 건가요? 동시에 100개의 http 요청이 들어왔을 때 구분을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Three.js로 시작하는 3D 인터랙티브 웹
scene에 camera add는 꼭 필요한 건가요?
renderer에서 camera를 render 해주는데, scene에 add가 꼭 필요한건지 궁금해요!scene.add(camera) 를 지웠을 때도 에러메세지 없이 잘 작동이 되는 것 같은데 필요한 코드인가요?만약 필요한 코드라면, scene에 add 된 light와 mesh는 왜 따로 render을 해주지 않는건가요?
-
미해결따라하면서 배우는 웹애플리케이션 만들기
Bitnami wamp 단종
bitnami wamp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가 불가능 한데 다른 대체 프로그램을 찾아봤더니,여러 프로그램이 있어서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하는지 추천해주세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와 관련있는 내용은 아니지만 자동으로 적합한 타입을 찾아주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내용에 관한 질문은 아닙니다만강사님 강의를 쭉보면서 궁금했던 것입니다.강사님은 사진처럼 어떻게 적합한 타입을 자동으로 찾아주는지 궁급합니다. 맵핑할때도 자동으로 찾아주던데 궁금합니다.
-
해결됨그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던 UXUI 필수 지식, 디자인 시스템
[버전관리관련] 김주희 수강생님 질문글에서 추가 질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감사히 들었습니다.같은 부분에서 궁금한 수강생입니다. 저도 유료 사용자입니다.강의에서는 ui kit origin을 복제 해 origin_copy에서 작업 한다.1) 작업 종료 후 origin_copy에서 업데이트 한 작업물들 잘라내기한다.2) origin으로 돌아가서 붙여넣는다.3) origin에서 변동사항에 대한 버전 히스토리 저장한다. (v2로 기재하여 버전 기록 됨)4) origin을 퍼블리시한다. -> 하면 관련 된 제품 프로덕트들에 모두 반영/동기화 됨5) origin_copy을 삭제 하고 origin으로 돌아온다.라고 이해했고 김주희 수강생님의 질의는 5번항목 같은데 맞나요?..강의와 다르게 답변주셔서(굳이 버전1에서 버전2로 옮겨가실 필요 없다)잘 이해가 안됩니다.[관련 추가 질의]'변동사항에 대한 작업을 copy한 페이지에서 작업하고 잘라내서 origin에 붙여넣어 반영한다.'위처럼 단계적으로 진행 되야하는 이유가 피그마는 실시간 클라우드 기반 저장이 되지만ui kit이라는 것이 디자이너의 소유물이아니라 "전사적+실시간으로 누구나 접근가능한(프로젝트 권한 허가에 따라 제한 있을 수도)리소스"이기 때문에보수적으로 작업변동사항이 반영 되야한다. 라고 이해하는게 맞을까요?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의존 관계 주입이 끝나는 시점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초기화 메서드는 의존 관계 주입이 끝난 후에 실행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의존 관계 주입 단계라는 구간은 정확히 언제까지인가요? 이 코드의 경우엔 setUrl()에서 의존 관계 주입이 일어나지만스프링이 초기화 메서드를 실행하려면 의존 관계 주입이 끝났다는 것을 정확히 파악해야 할 것 같은데 스프링은 다음 중 어떤 식으로 의존 관계 주입이 끝났다는 것을 판단하나요? 1) setUrl()이 호출된 이후, 즉시 의존 관계 주입이 끝났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2) networkClient() 메서드 호출이 완전히 끝날 때(return문의 실행이 끝나고 나서)까지가 의존 관계 주입이라고 판단한다.3) 기타.. 혹시 강의 때 말씀하셨었나요? pdf로 복습하는 중인데 이 부분이 궁금하네요..
-
해결됨[테디노트] 한 방으로 끝내는 판다스Pandas (전자책 포함)
한권으로 끝내는 판다스 노트
안녕하세요. 한권으로 끝내는 판다스 노트 전자책이 위키독스에서 볼 수 있던데프린트로 출력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이체중 예외 발생 테스트에서 롤백이 안되는 것 같아요
프로젝트 코드 : https://drive.google.com/file/d/11CCB36D9oTLIXMvT4LUcGoXfyXB9Pk0E/view?usp=sharing MemberSerivceV3_1Test, MemberSerivceV3_2Test 에서 이체중 예외 발생 테스트가 통과가 안됩니다.기대하는 바는 롤백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실제 값은 롤백이 적용되지 않는 8000원이 저장됩니다.PlatformTransactionManager을 적용한 코드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딱히 놓친 부분이나 잘못한 부분을 발견하기 힘들어서 도움을 요청드리고자 질문 올립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윈도우 shift + f6 을 해도 적용이 안돼요
shift + f6 을 해도 서비스에 적용이 안돼요 구글링해봐도아래와 같은 글 뿐인데 저는 안되네요 ㅠㅠ 뭐가 문제일까요? 맥 아닙니다!! 윈도우에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게임모드의 규격이 어떤걸 뜻하는 걸까요?
규격이라는게 어떤건지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어떤 플레이어로 입장할거냐 이런 말인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배열
배열 안에 자료형이 여러가지 된 숫자, 문자열 , 볼린 값들을 저장이 가능합니까?
-
해결됨디자인 시스템 with 피그마
디자인 시스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글자 폰트 설정하는거랑 행간 설정하는거 문의 드립니다!기존에 다른 타 기업들의 디자인 시스템을 보면 소수점이 아닌 40px, 32px, 이런식으로 딱딱 떨어지게 되어있는데요 scale로 1.333 배수로 지정할 경우 글자 뒤에 붙는 소수점이 알아볼 수 있게 적어놨을 때 한번에 인식이 잘 되지 않는데 이로 인한 문제는 전혀 없을까요?(그리고 아래처럼 그냥 딱 떨어지게 설정해서 토큰을 발행해도 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또 어떤 디자인 시스템을 보면 px / 옆에 rem으로 지정하는 곳이 있고 위처럼 em으로 지정하는 곳이 있는데 각각 어떤 이유로 단위를 변환해서 기재하는건지 알고 싶습니다. 행간의 경우 선생님 강의에서는 150% 160%이런 식으로 %로 주셨는데, 그렇다면 디자인 시스템을 표기할 때 이런식으로 표기가 들어가야 하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발자는 가공을 거쳐야 한다고 강의에서 말씀하셨는데, 그러면 회사에서 개발자가 json코드를 가공하는 방법을 모른다고 하면 강의처럼 디자인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는걸까요?답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프로젝트 설정 38분 질문있습니다.
강의 진행하는데는 크게 문제가 없는데Client프로젝트를 빌드하는 과정에서SimplatMath.h에서 938줄에 주석해놓은 부분에서 .inl파일을 못 찾는거같아임시용으로 경로 하드 코딩해서 넣어주었습니다.Engine 프로젝트 속성에서 C/C++ ->General에서 경로를 아래와 같이 추가적으로 더 넣었고 Linker -> Genral에서도 아래처럼 경로를 추가적으로 넣어주어도 SimpleMath.inl 파일 경로를 못찾던데 이럴경우 어떤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현재 솔루션 Dir/Engine폴더에 SimpleMath.h, SimpleMath.cpp, SimpleMath.inl같이 있습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ELB로 부하분산되고 있는 EC2의 서비스를 블루그린 배포하는 강의를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다름이 아니오라 ELB로 부하분산되고 있는 EC2의 서비스를 블루그린 배포하는 강의를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강사님, 오늘도 기분 좋은 하루 되세요~
-
미해결Flutter 중급 1편 - 클린 아키텍처
데이터가 수정되거나 추가될때 리스트를 최신화하는 부분의 질문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클린아키텍쳐를 구현중인데요 노트를 수정하는 플로우에서viewModel -> useCase.update -> repository.update -> remoteDatasource.update 의 과정을 거치고 노트리스트 조회의 플로우를 생각해보면viewModel -> useCase.getList -> repository.getList -> remoteDatasource.getLIst 처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updateapi를 성공했다면 리스트화면으로 돌아올때 데이터 최신화를 위해 다시한번 조회하는 의미없는 리소스를 없애고싶습니다. 혹은 화면 A,B에서 같은리스트를 보여주는 상황이라면 update 성공 하고나서 A,B화면에 어떤방식으로 notify를 해줄 수 있을까요? 클린아키텍쳐의 구조를 구현하기 전에는 SingleTon으로 구현된 Repository에서 stream을 열어서 viewModelA와 viewModelB 에서 같은 repository의 stream을 구독해서 state를 바꿔주는 방식으로 했는데 usecase를 사용하려고하니 해당구조는 어려움이 생겨서 어떻게 할지 고민하다가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emailArea가 안나와요..
package com.bokchi.mysolelife.auth import android.database.DatabaseUtils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widget.Toast import androidx.databinding.DataBindingUtil import com.bokchi.mysolelife.R import com.bokchi.mysolelife.databinding.ActivityIntroBinding import com.google.firebase.Firebase import com.google.firebase.auth.FirebaseAuth import com.google.firebase.auth.auth class Jo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private lateinit var binding: ActivityIntroBinding private lateinit var auth: FirebaseAuth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auth = Firebase.auth binding = DataBindingUtil.setContentView(this, R.layout.activity_join) binding.joinBtn.setOnClickListener { val email = binding.emailArea } // auth.createUserWithEmailAndPassword("abc@abc.com", "12341234") // .addOnCompleteListener(this) { task -> // if (task.isSuccessful) { // Toast.makeText(this, "성공", Toast.LENGTH_LONG).show() // } else { // Toast.makeText(this, "실패", Toast.LENGTH_LONG).show() // } // } } }여기 보면 선생님과 똑같이 했는데 emailArea을 이제 칠때 빨간색으로 뜨면서 안되요...<?xml version="1.0" encoding="utf-8"?> <layout> <LinearLayou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app="http://schemas.android.com/apk/res-auto"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tools:context=".auth.JoinActivity" android:orientation="vertical"> <LinearLayout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background="@color/mainColor" android:layout_height="150dp"> <TextView android:text="회원가입" android:gravity="center" android:textStyle="bold" android:textColor="@color/black" android:textSize="20sp"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50dp"/> </LinearLayout> <LinearLayout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layout_marginTop="50dp" android:orientation="vertical"> <EditText android:id="@+id/emailArea"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50dp" android:hint="email" style="@style/AuthEditText"/> <LinearLayout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background="#999999" android:layout_marginLeft="10dp" android:layout_marginRight="10dp" android:layout_height="0.5dp"/> <EditText android:id="@+id/passwordArea"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50dp" android:inputType="textPassword" android:hint="password" style="@style/AuthEditText"/> <LinearLayout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background="#999999" android:layout_marginLeft="10dp" android:layout_marginRight="10dp" android:layout_height="0.5dp"/> <EditText android:id="@+id/passwordArea2"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50dp" android:inputType="textPassword" android:hint="password check" style="@style/AuthEditText"/> <LinearLayout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background="#999999" android:layout_marginLeft="10dp" android:layout_marginRight="10dp" android:layout_height="0.5dp"/> <Button android:id="@+id/joinBtn" android:layout_margin="20dp" android:background="@drawable/background_radius_yellow" android:text="회원가입하기"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50dp"/> </LinearLayout> </LinearLayout> </layout> 여기 ID emailArea 적어져 있습니다 그런데 왜(?) 이런 오류가 뜨는 것일가요?? 알려주세요...ㅠㅠ
-
해결됨
주피터 얼굴인식
안녕하세요, 나도코딩님의 강의를 보다가 의도대로 되지 않아 질문 남깁니다. 나도코딩님의 얼굴인식 강의에서 with mp_face_detection.FaceDetection(model_selection=0, min_detection_confidence = 0.7) as face_detection:min_detection_confidence = 0.5 이걸로 얼굴인식 정확도를 올리던데 저는 이거를 0.5를 하던 0.7이나 1을 하던 정확성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혹시 몰라 모든 코드를 남기고 갑니다.import cv2 import mediapipe as mp #얼굴을 찾고, 찾은 얼굴에 표시를 해주기 위한 변주 정의 mp_face_detection = mp.solutions.face_detection # 얼굴 검출을 위한 face_detection 모듈을 사용 mp_drawing = mp.solutions.drawing_utils # 얼굴의 특징을 그리기 위한 drawing_utils 모듈을 사용 # 동영상 파일 열기 cap = cv2.VideoCapture('face_video.mp4') # 이미지 불러오기 image_right_eye = cv2.imread('right_eye.png') image_left_eye = cv2.imread('left_eye.png') image_nose = cv2.imread('nose.png') with mp_face_detection.FaceDetection(model_selection=0, min_detection_confidence = 0.7) as face_detection: while cap.isOpened(): success, image = cap.read() if not success: break # 보기 편하기 위해 이미지를 좌우를 반전하고, BGR 이미지를 RGB로 변환합니다. image = cv2.cvtColor(cv2.flip(image, 1), cv2.COLOR_BGR2RGB) # 성능을 향상시키려면 이미지를 작성 여부를 False으로 설정하세요. image.flags.writeable = False results = face_detection.process(image) # 영상에 얼굴 감지 주석 그리기 기본값 : True. image.flags.writeable = True image = cv2.cvtColor(image, cv2.COLOR_RGB2BGR) if results.detections: # 특징 6개 = 눈, 코 끝 부분, 입 중심, 귀(이주) for detection in results.detections: # mp_drawing.draw_detection(image, detection) # print(detection) # 특정 위치 가져오기 keypoints = detection.location_data.relative_keypoints right_eye = keypoints[0] left_eye = keypoints[1] nose_tip = keypoints[2] h, w, _ = image.shape right_eye = (int(right_eye.x * w), int(right_eye.y * h)) left_eye = (int(left_eye.x * w), int(left_eye.y * h)) nose_tip = (int(nose_tip.x * w), int(nose_tip.y * h)) # 양 눈에 동그라미 그리기 # cv2.circle(image, right_eye, 50, (255, 0, 0), 10, cv2.LINE_AA) # blue # cv2.circle(image, left_eye, 50, (0, 255, 0), 10, cv2.LINE_AA) # green # 코에 동그라미 그리기 # cv2.circle(image, left_eye, 75, (0, 255, 255), 10, cv2.LINE_AA) # yellow # 각 특징에 이미지 그리기 image[right_eye[1] - 50:right_eye[1]+50, right_eye[0]-50:right_eye[0]+50] = image_right_eye image[left_eye[1] - 50:left_eye[1]+50, left_eye[0]-50:left_eye[0]+50] = image_left_eye image[nose_tip[1] - 50:nose_tip[1]+50, nose_tip[0]-150:nose_tip[0]+150] = image_nose cv2.imshow('MediaPipe Face Detection', cv2.resize(image, None, fx=0.5, fy=0.5)) cv2.imshow('MediaPipe Face Detection', cv2.resize(image, None, fx=0.5, fy=0.5)) if cv2.waitKey(1) == ord('q'): break cap.release() cv2.destroyAllWind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