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코딩테스트 - it 대기업 유제
이렇게 풀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import java.util.*; class Node implements Comparable<Node>{ int time; char state; public Node(int time, char state){ this.time = time; this.state = state;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Node o){ if(this.time == o.time)return this.state - o.state; return this.time - o.time; } }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laser, String[] enter){ int answer = 0; ArrayList<Node> arr = new ArrayList<>(); for(String s:enter){ String t = s.split(" ")[0]; String l = s.split(" ")[1]; int start = Integer.parseInt(t.split(":")[0])*60 + Integer.parseInt(t.split(":")[1]); int end = start + laser[Integer.parseInt(l)]; arr.add(new Node(start, 's')); arr.add(new Node(end, 'e')); } Collections.sort(arr); int cnt = 0; for(Node x:arr){ if(x.state == 's')cnt++; else{ cnt--; answer = Math.max(answer, cnt);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olution T = new Solution();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0, 20, 25, 15}, new String[]{"10:23 0", "10:40 3", "10:42 2", "10:52 3", "11:10 2"}));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0, 20, 25, 15}, new String[]{"10:23 0", "10:40 3", "10:42 2", "10:52 3", "15:10 0", "15:20 3", "15:22 1", "15:23 0", "15:25 0"}));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0, 20, 25, 15}, new String[]{"10:20 1", "10:40 1", "11:00 1", "11:20 1", "11:40 1"}));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30, 20, 25, 15}, new String[]{"10:20 1", "10:20 1", "10:20 1", "10:20 1", "10:20 1"})); } } 입문강의 결혼식과 비슷한 문제로 생각해 이렇게 짰는데 답은 맞게 나왔습니다. 혹시 반례가 있을까요? 아니면 이 방법도 맞는 방법일까요?
-
해결됨[파이토치] 실전 인공지능으로 이어지는 딥러닝 - 기초부터 논문 구현까지
전처리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Detection 모델 같은 경우에는 라벨에 좌표가 들어 있습니다.Transform을 통해서 crop이나 rotate 같은 행위를 했을때 좌표도 변경이 되어야 하는데요 이런경우에 대한 해결책도 torch가 제공을 해주나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웹뷰에서 사이트로 넘어갈 때 오류가 납니다.
package com.example.mango_content import android.content.Intent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GridLayoutManager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LinearLayoutManager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RecyclerView class MainActivity : AppCompatActivity() { //데이터 넣을 리스트 변수 생성 private val items = mutableListOf<ContentsModel>()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main) // 리스트 데이터 // 데이터 클래스이기 때문에 차례대로 넣을 값만 넣어주면 된다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Quiver/shopPhotoList", "https://image.toast.com/aaaaaqx/rv/s4XU7ZHko4NjDEkULtFHbAA/231108173855775(0).jpeg", "퀴버(Quiver)" ) )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bistrogama/shopPhotoList?pickup-date=231207&pickup-time=0342", "https://image.toast.com/aaaaaqx/catchtable/shopinfo/s23522/23522_2221020170729696.jpg?detail750", "비스트로 가마" ) )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cucciolo_seoul/shopPhotoList?type=VISIT_RESERVATION&pickup-date=231207&pickup-time=0346", "https://ugc-images.catchtable.co.kr/rv/s7YDg2g4TxcuMPb-Eds2nKQ/4179dd6517aa48e1900c08e8c9c769a5", "쿠촐로 서울" ) )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schedule_seongsu/shopPhotoList?type=VISIT_RESERVATION&pickup-date=231207&pickup-time=0352", "https://ugc-images.catchtable.co.kr/rv/sXGZ4Ldt3lvBgj3V-4rxIsQ/e6ce38eef9ee412ca63da36dacabc57a", "스케줄 성수" ) )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Quiver/shopPhotoList", "https://image.toast.com/aaaaaqx/rv/s4XU7ZHko4NjDEkULtFHbAA/231108173855775(0).jpeg", "퀴버(Quiver)" ) )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bistrogama/shopPhotoList?pickup-date=231207&pickup-time=0342", "https://image.toast.com/aaaaaqx/catchtable/shopinfo/s23522/23522_2221020170729696.jpg?detail750", "비스트로 가마" ) )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cucciolo_seoul/shopPhotoList?type=VISIT_RESERVATION&pickup-date=231207&pickup-time=0346", "https://ugc-images.catchtable.co.kr/rv/s7YDg2g4TxcuMPb-Eds2nKQ/4179dd6517aa48e1900c08e8c9c769a5", "쿠촐로 서울" ) ) items.add( ContentsModel( "https://app.catchtable.co.kr/ct/shop/schedule_seongsu/shopPhotoList?type=VISIT_RESERVATION&pickup-date=231207&pickup-time=0352", "https://ugc-images.catchtable.co.kr/rv/sXGZ4Ldt3lvBgj3V-4rxIsQ/e6ce38eef9ee412ca63da36dacabc57a", "스케줄 성수" ) ) val recyclerview = findViewById<RecyclerView>(R.id.rv) val rvAdapter = RVAdapter(baseContext,items) recyclerview.adapter = rvAdapter // 아이템 클릭 처리 rvAdapter.itemClick = object : RVAdapter.ItemClick { override fun onClick(view: View, position: Int) { val intent = Intent(baseContext, ViewActivity::class.java) intent.putExtra("url", items[position].url ) startActivity(intent) } } recyclerview.layoutManager = GridLayoutManager(this,2) } }MainActivity.kt package com.example.mango_content import android.content.Context import android.view.LayoutInflater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view.ViewGroup import android.widget.ImageView import android.widget.TextView import androidx.appcompat.view.menu.MenuView.ItemView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RecyclerView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RecyclerView.ViewHolder import com.bumptech.glide.Glide //viewmodel을 받을 것임 class RVAdapter(val context: Context, val List: MutableList<ContentsModel>) : RecyclerView.Adapter<RVAdapter.ViewHolder>() { override fun onCreateViewHolder(parent: ViewGroup, viewType: Int): RVAdapter.ViewHolder { val v = LayoutInflater.from(parent.context).inflate(R.layout.rv_item, parent, false) return ViewHolder(v) } // 웹뷰 클릭 이벤트 생성 interface ItemClick { fun onClick(view : View, position: Int) } var itemClick : ItemClick? = null override fun onBindViewHolder(holder: RVAdapter.ViewHolder, position: Int) { if (itemClick != null) { holder.itemView.setOnClickListener { v -> itemClick!!.onClick(v, position) } } holder.bindItems(List[position]) } override fun getItemCount(): Int { return List.size } inner class ViewHolder(itemView : View) : RecyclerView.ViewHolder(itemView) { fun bindItems(item : ContentsModel) { val rv_img = itemView.findViewById<ImageView>(R.id.rvImageArea) val rv_text = itemView.findViewById<TextView>(R.id.rvTextArea) rv_text.text = item.titleText Glide.with(context) .load(item.imageUrl) .into(rv_img) } } } RVAdapter.kt package com.example.mango_content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webkit.WebView class ViewActivity : AppCompa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view) val webView = findViewById<WebView>(R.id.webView) webView.loadUrl(intent.getStringExtra("url").toString()) } }ViewActivity.kt<?xml version="1.0" encoding="utf-8"?>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dataExtractionRules="@xml/data_extraction_rules" android:fullBackupContent="@xml/backup_rules" android:icon="@mipmap/ic_launcher" android:label="@string/app_name" android:roundIcon="@mipmap/ic_launcher_round" android:supportsRtl="true" android:theme="@style/Theme.Mango_content" android:usesCleartextTraffic="true" tools:targetApi="31"> <activity android:name=".ViewActivity" android:exported="false" /> <activity android:name=".SplashActivity" android:exported="true"> <intent-filter> <action android:name="android.intent.action.MAIN" /> <category android:name="android.intent.category.LAUNCHER" /> </intent-filter> </activity> <activity android:name=".MainActivity" android:exported="true"></activity> </application> </manifest>manifest.xml실행 했을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일어납니다.망고플레이트가 서버 종료되어서 저는 캐치테이블 사이트를 이용하였습니다.오류 구글링하여 매니패스트에android:usesCleartextTraffic="true" 도 추가 하였는데 그대로 오류나서 질문 드립니다. ㅠㅠ
-
해결됨파이썬 셀레니움 고급편 (python selenium - 크롤링, 크롤러)
mouse listener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wsl2 ubuntu 환경에서 스크롤 녹화하는 실습 코드를 실행하는데 클릭하거나 스크롤을 해도 출력이 안되고 파일에 저장이 안되고 있습니다. 혹시 pynput라이브러리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하려면 추가로 설정 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모바일 웹 퍼블리싱 포트폴리오 with Figma
상품 상세페이지 아코디언 부분
/* Goods Accordion */ $('.goods-accordion .detail').eq(0).show() $('.goods-accordion .title').click(function(){ $(this).toggleClass('active') $(this).next().toggle() $(this).siblings('.goods-accordion .title').removeClass('active') })상품문의에 클레스가 들어가서 상품후기에 있는 엑티브가 빠졌는데상품문의 밑에 디테일은 안접혀졌어요 (영상강의캡쳐)이렇게 적을경우에 .title부분은 class가 빠져서 시블링이 되는데 .detail 부분은 접었다 펴는 토글이라서 계속클릭하면 .title +,- 와 .detail의 이미지가 안맞는데 이런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 ㅠ?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강의 소스코드 에러
지금 강의 소스 코드가 제대로 다운로드 되지 않습니다 문제 해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트랜잭션 동작 원리 정리
트랜잭션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 정리해봤습니다.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혹시 잘못 이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서비스 클래스의 메소드에 @Transactional 이 있으면 스프링은 해당 비즈니스 로직을 상속한 AOP 프록시 객체를 생성한 후, 이를 스프링 빈에 등록한다.클라이언트가 해당 프록시를 호출한다. (비즈니스 로직 자체를 호출하지 않는다)스프링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트랜잭션 매니저를 획득한다.트랜잭션 매니저의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을 호출하여 트랜잭션을 시작한다.트랜잭션 매니저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데이터 소스를 이용하여 커넥션을 생성한다.커넥션의 con.setAutoCommit(false) 호출로 수동 커밋 모드로 변환한다.생성하고 설정을 끝낸 커넥션을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한다.실제 서비스를 호출하면, 서비스의 비즈니스 로직과 리포지토리의 데이터 접근 로직이 수행된다.리포지토리의 데이터 접근 로직은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된 커넥션을 획득한 후 DB에 접근하여 SQL을 수행한다.비즈니스 로직이 끝나면서 AOP 프록시에서 커밋 또는 롤백을 통해 트랜잭션을 종료한다.트랜잭션을 종료함으로써 커넥션은 커넥션 풀에 반납된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프록시 객체 생성은 @Transactional 메소드 단위인가요?
프록시에 대해서 잘 모르는 상태로 질문드립니다.앞으로 다른 강의에서 나올 수 있는 내용이지만, 일단 큰 그림을 잡을 수 있게 간단하게 질문드립니다. 이번 강의에서 메소드에 @Transactional을 붙이면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진다고 배웠습니다.그렇다면 @Transactional가 붙어있는 메소드 단위로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지는 건지, 아니면 Service 클래스 단위로 프록시 객체가 만들어지는 건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 Service 클래스에 3개의 메소드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Transactional 메소드가 2개, 일반 메소드가 1개 있다면, 프록시 객체는 2개가 만들어지는 건가요? 아니면 한 개의 프록시 객체에 두 개의 메소드가 등록되는 건가요?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스탯 구조체 리플리케이션의 컨디션 설정
실습에선 BaseStat 과 ModifierStat은 각 입력 권한이 있는 클라이언트( 원격 Autonomous)에만 전달 되도록 Condition지정하는 의도로 COND_OwnerOnly를 하였는데요. condition을 COND_AutonomousProxy으로 하는건 또 달라 지는 건가요?? 설명으로는이렇게 나와 있는데, 이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라는 정의가 또 좀 헷갈리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서버에서 로컬 룰 Authority / 원격 AutonomousProxy 인 액터가 COND_OwnerOnly에 해당한다면 COND_AutonomousOnly에 해당하는 액터는 어떤 경우인가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컨트롤러가 뷰어인 경우가 어떤 상태인 건가요??
한번 다시 훑어보는 중에 액터의 상태가 "플레이어 컨트롤러가 뷰어인 경우"의 의미가 조금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액터의 최종 Owner가 플레이어 컨트롤러인 경우 라는 뜻인가요? 아니면 말그대로 플레이어 컨트롤러 = Viewer 라는 뜻인가요?플레이어 컨트롤러가 뷰어가 아닌 경우도 있는 건가요??
-
해결됨필요할 때 찾아 쓰는 SQL 쿼리북, Part I
urlcodemap.sql 파일 다운 받는곳이 없어요
urlcodemap.sql 파일 다운 받는곳이 없어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수업 자료 변경 요청
안녕하세요, 수업 자료를 다운받았는데 자바 기본편이 아닌 입문(기초) 관련 수업자료 입니다 확인 후 변경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언리얼 엔진4 입문 (C++ 기반)
비헤이비어트리질문
targeton이 한번대면 게속 targeton을 타게대는데거리멀어지면 target을 null로 줘서 targetoff를 타게하고싶으면c++로 task를 만들어서 하는방법만 있나요???한코드2줄이면 만들수있는 task라 이렇게 하나하나 만들어야하는게 맞나 궁금해서 질문남깁니답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12강에서 질문입니다.
BTTask_TurnToTarget.cpp에서ControllingPawn->SetActorRotation(FMath::RInterpTo(ControllingPawn->GetActorRotation(), TargetRot, GetWorld()->GetDeltaSeconds(), TurnSpeed));를 통해 부드러운 회전을 시키고 있는 것을 확인했는데요.해당 함수는 Tick을 돌려야 제대로 동작한다고 생각합니다. Execute_Task가 그 아래에서return EBTNodeResult::Succeeded; 해버리면그 Task는 그냥 종료되어 함수 한번 호출할 만큼인 딱 한번 회전을 찔끔 하고 말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Parallel 노드를 사용하여서 Attack이 끝나기 전까지 Turn task가 반복되어 실행이 되는 것인가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질문 물어본거 말고 다른거에 대한 답변이 AI로 달리는데...
유니티에서 bake를 해도 해당영역이 어디인지 보이지가 않고(NavmeshDisplay가 뜨지 않습니다)검색을 해도 도저히 못찾겠습니다...라고 질문했는데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NavMesh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을 때 문제 해결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NavMesh Agent:해당 게임 오브젝트에 NavMesh Agent 컴포넌트가 추가되었는지 확인해주세요.NavMesh Bake 설정:Navigation 패널을 열고, Bake 탭에서 올바른 옵션으로 베이킹을 진행했는지 점검해보세요.레이어 설정:베이킹 과정에서 Navigation Static이 체크된 레이어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래주세요.NavMesh Display 옵션:Unity 에디터 상단의 Navigation 창을 열고, Scene 뷰에서 ‘Show NavMesh’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에디터 버그 여부:때때로 Unity 에디터가 제대로 상태를 업데이트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에디터를 재시작하여 문제가 해결되는지 확인해보세요.위 단계를 모두 확인하셨는데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유니티 환경 설정의 문제일 수 있으므로 유니티 커뮤니티나 포럼에 질문을 올려 도움을 요청하시는 것이 좋습니다.강좌에 대한 자세한 지원이 필요하시면, ‘문의하기’ 옵션을 통해 직접 문의하실 수도 있습니다.인프런 강의 내용과 관련하여 강의 FAQ를 참조하시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라고 답변이 달렸습니다.그리고 그에 대한 질문을 다시 답변으로 달았는데 답변이 달리지 않고,다른 질문들에도 이미 해보고 안된다고 물어보는 질문을 남겼는데 또 이거 해봤냐고 물어보는 AI 답변이 달리는데(그리고 코드와 자료를 첨부한 질문도 AI는 보지도 않고 다른 답변을 답니다)어떤식으로 질문해야 제대로된 답변을 받을수 있나요?
-
해결됨
질문입니다 ㅠㅠ TypeError: Invalid attempt to spread non-iterable instance.
const [editText, setEditText] = useState(""); const addToDo = async () => { if (text === "") { return; } const newToDos = { ...toDos, [Date.now()]: { text, working, done: false, isEdit: false } }; setToDos(newToDos); await saveToDos(newToDos); setText(""); }; const edit = (key) => { const newTodos = [...toDos]; newTodos[key].isEdit = !newTodos[key].isEdit; setTodos(newTodos); }; const editToDos = (key) => { const newTodos = [...toDos]; newTodos[key].text = editText; newTodos[key].isEdit = false; setTodos(newTodos); seteditText(""); }; {toDos[key].isEdit ? ( <TextInput style={styles.editInput} onSubmitEditing={() => editToDos(key)} defaultValue={toDos[key].text} onChangeText={setEditText} returnKeyType="done" />) : ( <Text style={ toDos[key].done ? { ...styles.toDoText, textDecorationLine: "line-through", } : styles.toDoText } > {toDos[key].text} </Text> ) } <TouchableOpacity onPress={() => edit(key)}> <AntDesign name="edit" size={24} color="white" /> </TouchableOpacity> <TouchableOpacity onPress={() => deleteToDo(key)}> <Fontisto name="trash" size={18} color={theme.grey} /> </TouchableOpacity> </View> ) : null )} </ScrollView> 편집버튼을 누르면 edit함수를 실행시켜 isEdit을 true로 바꿔 편집을 하는 기능을 만들고 있습니다.첫번째 문제는 원래 있던 todo의 text와 똑같은, 편집에 대한 textinput의 text가 떠있습니다.그리고 원래는 편집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에 있는 편집에 대한 text에 textinput 창이 띄워지고왼쪽에 있는 text는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done을 눌러도 오류가 떴었구요.코드를 좀 수정했더니 지금은 편집버튼을 누르기만 해도TypeError: Invalid attempt to spread non-iterable instance.In order to be iterable, non-array objects must have a [Symbol.iterator]() method., js engine: hermes이러한 오류가 발생합니다.deletetodo는 제대로 작동하고 있습니다.어디가 문제인걸까요 ..ㅠ아래는 import 와 style 에 관한 코딩을 제외한 전문입니다. export default function App() { const [working, setWorking] = useState(true); const [text, setText] = useState("");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 const [editText, setEditText] = useState(""); useEffect(() => { loadToDos(); loadMode(); }, []); const travel = () => { setWorking(false) saveMode(false) }; const work = () => { setWorking(true) saveMode(true) }; const edit = (key) => { const newTodos = [...toDos]; newTodos[key].isEdit = !newTodos[key].isEdit; setTodos(newTodos); }; const editToDos = (key) => { const newTodos = [...toDos]; newTodos[key].text = editText; newTodos[key].isEdit = false; setTodos(newTodos); seteditText(""); }; const onChangeText = (payload) => setText(payload); const saveMode = async(mode) => { try { await AsyncStorage.setItem("@mode",JSON.stringify(mode)) } catch(error) { console.log(error); } }; const loadMode = async () => { const m = await AsyncStorage.getItem("@mode") setWorking(JSON.parse(m)) }; const saveToDos = async (newToDos) => { try { await AsyncStorage.setItem(STORAGE_KEY, JSON.stringify(newToDos)); } catch(e) { alert("Error!") } }; const loadToDos = async () => { const s = await AsyncStorage.getItem(STORAGE_KEY); console.log(s); setToDos(JSON.parse(s)) }; const addToDo = async () => { if (text === "") { return; } const newToDos = { ...toDos, [Date.now()]: { text, working, done: false, isEdit: false } }; setToDos(newToDos); await saveToDos(newToDos); setText(""); }; const changeDone = async (key) => { const newToDos = { ...toDos, [key]: { ...toDos[key], done: !toDos[key].done }, }; setToDos(newToDos); await saveToDos(newToDos); }; const deleteToDo = (key) => { Alert.alert("Delete To Do", "Are you sure?", [ { text: "Cancel" }, { text: "I'm Sure", style: "destructive", onPress: () => { const newToDos = { ...toDos }; delete newToDos[key]; setToDos(newToDos); saveToDos(newToDos); }, }, ]);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StatusBar style="auto" /> <View style={styles.header}> <TouchableOpacity onPress={work}> <Text style={{ ...styles.btnText, color: working ? "white" : theme.grey }} > Work </Text> </TouchableOpacity> <TouchableOpacity onPress={travel}> <Text style={{ ...styles.btnText, color: !working ? "white" : theme.grey, }} > Travel </Text> </TouchableOpacity> </View> <TextInput onSubmitEditing={addToDo} onChangeText={onChangeText} returnKeyType="done" value={text} placeholder={ working ? "What do you have to do?" : "Where do you want to go?" } style={styles.input} /> <ScrollView> {Object.keys(toDos).map((key) => toDos[key].working === working ? ( <View style={styles.toDo} key={key}> {toDos[key].done ? ( <TouchableOpacity onPress={() => changeDone(key)}> <Fontisto name="checkbox-active" size={18} color="red" /> </TouchableOpacity> ) : ( <TouchableOpacity onPress={() => changeDone(key)}> <Fontisto name="checkbox-passive" size={18} color={theme.grey} /> </TouchableOpacity> )} <Text style={styles.toDoText}>{toDos[key].text}</Text> {toDos[key].isEdit ? ( <TextInput style={styles.editInput} onSubmitEditing={() => editToDos(key)} defaultValue={toDos[key].text} onChangeText={setEditText} returnKeyType="done" />) : ( <Text style={ toDos[key].done ? { ...styles.toDoText, textDecorationLine: "line-through", } : styles.toDoText } > {toDos[key].text} </Text> ) } <TouchableOpacity onPress={() => edit(key)}> <AntDesign name="edit" size={24} color="white" /> </TouchableOpacity> <TouchableOpacity onPress={() => deleteToDo(key)}> <Fontisto name="trash" size={18} color={theme.grey} /> </TouchableOpacity> </View> ) : null )} </ScrollView> </View> ); }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필수실습문제 해답
챕터14 필수실습문제UI와 기능으로 나눠서 세 정수를 입력 받아 최대 값 구하는 문제를 혼자 해보고있는데해답 파일이 찾아봐도 없는거 같아서요 ! 강사님이 작성하신 해답 예시와 비교해보고 싶은데 알려주실 수 있나요? 저는 이렇게 했는데 맞게 한건지 모르겠습니다 ㅜ 코드는 잘 돌아갑니다 그리고 숫자입력을 받는 부분에서 반복문을 사용할 수도 있을까요?for문을 사용할 수 있을거 같아서 시도 해보는 중인데 중간에 막혀서 궁금합니다.막히는거보니 반복문을 쓸 수 없는 부분인거 같기도 해서요 ㅜㅜ숫자 입력 받는 부분을 반복문으로 줄일 수 있을까요?
-
해결됨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대화형 시스템
이 강의 2:01 부분에서 말씀하신대화형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 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응답시간이 짧은 것을 목표로 합니다.에서 대화형 시스템이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1 - Llama 2 Fine-Tuning 해보기
autotrain advanced 질문
autotrain advanced 사용시 --use_peft 옵션을 사용하면 어떤 peft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건가요?autotrain advanced 사용시 LoRA, Prefix Tunning 등 특정 방식으로 학습하도록 선택이 가능한가요?autotrain advanced에서 --use_peft 등 parameter 값들에 대한 사용법이나 정보를 어디서 얻을 수 있나요? document 페이지를 찾아보려고 하는데 내용이 잘 없는것같아서요.autotrain advanced는 유료인가요? 이런 페이지를 봤습니다. https://huggingface.co/docs/autotrain/cost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타입스크립트 몰라도 진도 나가는데 영향 없을까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092347/types-ts-%ED%8C%8C%EC%9D%BC%EC%9D%B4-%EC%95%88%EC%83%9D%EA%B9%81%EB%8B%88%EB%8B%A4%E3%85%A0%E3%85%9C-ai-%EB%8B%B5%EB%B3%80%EC%97%90%EB%8F%84-%EB%AF%B8%ED%95%B4%EA%B2%B0-%EC%A4%91%EC%9E%85%EB%8B%88%EB%8B%A4%E3%85%A0%E3%85%A0%E3%85%A0 위의 글을 올렸었는데 해결이 아직 안되어 차라리 건너뛰고 마이웨이를 해야 하는 부분인지 여쭤봅니다... 거의 일주일 째 진도를 못나가고 있습니다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