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실시간데이터베이스에 안떠요..6:15초
6분15초에서 하는 list를 누르면 파이어베이스에 뭔가 생기는데 저는 안생겨요..이렇게 생기지 않습니다.....package com.bokchi.mysolelife.contentsList import android.content.Intent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view.View import android.widget.Toast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GridLayoutManager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LinearLayoutManager import androidx.recyclerview.widget.RecyclerView import com.bokchi.mysolelife.R import com.google.firebase.Firebase import com.google.firebase.database.database class ContentListActivity : AppCompatActivity() { override fun onCreate(savedInstanceState: Bundl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activity_content_list) val database = Firebase.database val myRef = database.getReference("message") myRef.setValue("Hello, World!") val rv : RecyclerView = findViewById(R.id.rv) val items = ArrayList<ContentModel>() items.add(ContentModel("title1",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lYPPY%2Fbtq66v0S4wu%2FRmuhpkXUO4FOcrlOmVG4G1%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5")) items.add(ContentModel("title2",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znKK4%2Fbtq665AUWem%2FRUawPn5Wwb4cQ8BetEwN4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6")) items.add(ContentModel("title3",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tig9C%2Fbtq65UGxyWI%2FPRBIGUKJ4rjMkI7KTGrxtK%2Fimg.png","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7")) items.add(ContentModel("title4",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OYyBM%2Fbtq67Or43WW%2F17lZ3tKajnNwGPSCLtfnE1%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8")) items.add(ContentModel("title5",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kn5wI%2Fbtq66UlN4bC%2F8NEzlyot7HT4PcjbdYAINk%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39")) items.add(ContentModel("title6",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123LP%2Fbtq65qy4hAd%2F6dgpC13wgrdsnHigepoVT1%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0")) items.add(ContentModel("title7",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2KC3%2Fbtq64lkUJIN%2FeSwUPyQOddzcj6OAkPKZuk%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1")) items.add(ContentModel("title8",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Bh5u%2Fbtq651yYxop%2FX3idRXeJ0VQEoT1d6Hln3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2")) items.add(ContentModel("title9",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lOnja%2Fbtq69Tmp7X4%2FoUvdIEteFbq4Z0ZtgCd4p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3")) items.add(ContentModel("title10",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NrYR%2Fbtq64wsW5VN%2FqIaAsfmFtcvh4Bketug9m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4")) items.add(ContentModel("title11",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917N%2Fbtq64SP5gxj%2FNzsfNAykamW7qv1hdusp1K%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5")) items.add(ContentModel("title12",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EO4sy%2Fbtq69SgK8L3%2FttCUxYHx9aPNebNwkPcI21%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6")) items.add(ContentModel("title13",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dIKDG%2Fbtq64M96JFa%2FKcJiYgKuwKuP3fIyviXm9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7")) items.add(ContentModel("title14",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FtY3t%2Fbtq65q6P4Zr%2FWe64GM8KzHAlGE3xQ2nDjk%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49")) items.add(ContentModel("title15", "https://img1.daumcdn.net/thumb/R128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taMq%2Fbtq67OMpk4W%2FH1cd0mda3n2wNWgVL9Dqy0%2Fimg.png", "https://philosopher-chan.tistory.com/1250")) val rvAdapter = ContentRVAdapter(baseContext, items) rv.adapter = rvAdapter rv.layoutManager = GridLayoutManager(this, 2) rvAdapter.itemClick = object : ContentRVAdapter.ItemClick { override fun onClick(view: View, position: Int) { Toast.makeText(baseContext, items[position].title, Toast.LENGTH_LONG).show() val intent = Intent(this@ContentListActivity, ContentShowActivity::class.java) intent.putExtra("url", items[position].webUrl) startActivity(intent) } } } }메세지 나야되는거 적었습니다...그런데도 안떠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M_12100_2048(Easy)
안녕하세요 큰돌님! go 재귀 함수에 대해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제가 완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함수 호출에 대한 로직이 이해가 안되는 것 같습니다.질문Board d = c; 로 원본과 동일한 보드를 생성하고 d._move()하는 것 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 그런데 그 다음에 왜 d._rotate90();가 아닌 c._rotate90();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move한 다음 rotate, 또 다시 move한 다음 rotate 과정을 반복하려면 d._rotate90();가 되어야하는 것 아닌가요..? d._move();go(d, here + 1); c._rotate90();이 과정만으로 5번 이동시키는 완탐을 진행할 수 있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ㅜㅜ 혹시 함수 호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림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제가 생각한 완탐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함수 호출 순서가 go(d, here + 1); c._rotate90();인데 그러면 마지막 호출되는 함수가 return 되고 rotate과정이 진행되는게 아닌가요? rotate함수가 언제 실행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제가 생각하는 함수 호출 순서는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뭔가 그림이 카오스네요..큰돌님 코드void go(Board c, int here){ if(here == 5){ c.get_max(); return; } for(int i = 0; i < 4; i++){ Board d = c; // 동일한 구조체 생성 d._move(); go(d, here + 1); c._rotate90(); } return;}
-
해결됨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에도 잘 사용되나요?
러스트의 매력을 느껴서 학습 중에 있긴 한데 해당 언어가 웹 어플리케이션 만들 때에도 잘 활용될 수 있는지가 궁금합니다.국내에선 해당언어로 웹어플리케이션을 만들었다는 얘기를 거의 듣지는 못해서 좀 궁금하네요.가능하다면 해외에서는 어느정도로 활용되는지도 궁금해요!
-
미해결비전공자의 전공자 따라잡기 - 네트워크, HTTP
301 리다이렉트 관련 질문입니다!
만약, 리액트를 사용한다고 하면 서버에서 301로 응답이 왔을 때 프론트에서 useNavigation() 훅을 이용해서 응답에 맞게 이동시켜야 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변수가 초기화 되었는지 확인하는게 JIT컴파일러 인가요?
변수가 초기화 되었는지 확인하는게 JIT컴파일러 인가요?
-
해결됨[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1. 기본 문법편
제네릭에 never가 들어올 때 분배법칙
분배법칙의 작동방법 이해가 어려워 타입스크립트 교과서를 보던 중 모르는 부분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해당 내용은 타입스크립트 교과서 p.111에 있는 내용인데요type R<T> = T extends string ? true : false; type RR = R<never>; 이 코드의 설명 부분이 아래와 같이 되어 있습니다.RR 타입이 true가 아니라 never인 이유는 T가 never가 되면서 분배법칙이 일어났기 때문이다.never는 공집합과 같으므로 공집합에서 분배법칙을 실행하는 것은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는 것과 같다.따라서 결과는 never다.설명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분배법칙이 일어났다는 것은 never가 never|never로 유니언으로 분리되서 각각 타입검사를 하게 되는건가요?그렇다면 never extends string ? true : false 가 되어서 분배 되어 각각 타입검사를 해서 true | true 가 되고 최종적으로 true 가 되어야하지 않나요?공집합에서 분배법칙을 실행하는 것은 아무것도 실행하지 않는 것이라는 말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Redis 활용
subscriber, publisher 두개 같은 포트로 띄울 수 있나요?
이미 레디스 cli가 띄워져 있다고 해서요..
-
해결됨스프링 시큐리티
RoleHierarchy 강의 내용에서 계층 권한 설정에 대해 몇 가지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좋은 내용의 강의 감사드립니다. 이어 Spring Security 계층 권한 설정 방법에 대해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합니다. [질문 항목]DB를 사용해서 계층 권한 테이블을 선언하고 부모, 자식 관계의 권한 데이터(row)를 등록해 놓은 상황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게 되면 현재 이 계층 권한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에 한해서만 Security 권할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인가요? 만약, 추후 DB에 직접 새로운 계층 권한 정보가 등록된다면 해당 프로그램이 재시작되어야만 변경된 계층 권한 정보가 동기화되는 것인가요?1번 항목과 비슷한 맥락으로 한 회원이 서비스 이용중 자신의 권한이 사이트 관리자에 의해 변경되었다면 변경된 권한이 적용되는 시점에 대해서도 궁금합니다.Spring Security 기본 정책(?)상 계층 권한을 나타낼 때에는 문자열 형태로 권한 관계를 > 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이렇게 문자열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예를 들어 Map 등)로도 표기가 가능한가요? 만약, 이런 설정 방법이 존재한다면 가이드를 제공해주실 수 있을까요?아직 강의를 완강한 것이 아니기에 질문 내용이 부족한점 양해드리며,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이제 이 강의는 내 것입니다.
ㅎㅎㅎ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좌 : 프로토타입스코프
강좌 : 프로토타입스코프 9분에서싱글톤이랑 프로토타입을 같이 사용하지 말라는건 알겠는데 혹시 클라이언트빈과 싱글톤을 같이 사용하지 말라는건가요?
-
미해결파이썬(Python)으로 데이터 기반 주식 퀀트 투자하기 Part1
파일 설치시 오류 메세지
다음과 같은 오류메세지는 무슨 뜻인가요?학습을 진행하는데,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Thymeleaf 기본 객체들 강의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기본 객체들 중 request response session servletContent는 더이상 사용이 안된다고 에러 메시지가 나오던데요 확인 가능할까요? The 'request','session','servletContext' and 'response' expression utility objects are no longer available by default for template expressions and their use is not recommended. In cases where they are really needed, they should be manually added as context variables. at org.thymeleaf.standard.expression.StandardExpressionObjectFactory.buildObject(StandardExpressionObjectFactory.java:207) ~[thymeleaf-3.1.2.RELEASE.jar:3.1.2.RELEASE] 공식 문서를 보니깐 ctx.session 이런식으로 붙이라고 나와서 붙이니깐 에러는 안뜨는데 request response servletContent는 내용이 안뜨네요 세션은 뜨는데 좀 다르게 뜨고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헤더를 사용하지 않고 BeginPlay 동작 안하는 문제.
// Fill out your copyright notice in the Description page of Project Settings. #include "Game/ABGameMode.h" #include "ABGameMode.h" //#include "Player/ABPlayerController.h" AABGameMode::AABGameMode() { UE_LOG(LogTemp, Warning, TEXT("inflearn1")); static ConstructorHelpers::FClassFinder<APawn> ThirdPersonClassRef(TEXT("/Game/ThirdPerson/Blueprints/BP_ThirdPersonCharacter.BP_ThirdPersonCharacter_C")); if (ThirdPersonClassRef.Class) { DefaultPawnClass = ThirdPersonClassRef.Class; } static ConstructorHelpers::FClassFinder<APlayerController> PlayerControllerClassRef(TEXT("/Script/ArenaBattle.ABPlayerController")); if (PlayerControllerClassRef.Class != nullptr) { UE_LOG(LogTemp, Warning, TEXT("PlayerControllerClassRef.Class found: %s"), *PlayerControllerClassRef.Class->GetName()); PlayerControllerClass = PlayerControllerClassRef.Class; } else { UE_LOG(LogTemp, Error, TEXT("PlayerControllerClassRef.Class not found.")); } //PlayerControllerClass = AABPlayerController::StaticClass(); } 위 코드를 입력했을 때 실행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제가 경로를 잘못 넣었다기에는 수업자료를 그대로 복붙도 해보았으며 /Script/CoreUObject.Class'/Script/ArenaBattle.ABPlayerController'위 경로 또한 5초전에 레퍼런스를 복사해 온 경로입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프로젝트 재실행시 어떤 작업을 해주어야하나요?
프로젝트를 재실행하게 되면 월드세팅에서 GameMode를 바꾸어 설정해주었던 작업들이 모두 풀려버립니다콘텐츠 드로어(브라우저)에 클래스가 나타나지 않는 오류Ctril+Alt+F11을 입력하면 해결될까 싶어 시도했을때는 크래시가 발생하면서 진행할 수 없어집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while문 문제와 풀이 질문입니다(짝수 출력)
안녕하세요~이렇게 코드를 짜면 값이 안나오는데 왜일까요?num을 1로 했더니 결과가 안나와서 찾아보니int가 정수 라서 실행이 안된다길래int를 2로 잡고 돌렸는데도 값이 2만 나옵니다.뭐가 문제인가요? 그리고 코드를 이렇게 짰는데값은 강의 내용과 동일하게 나옵니다.강의에서는 num과 count 두 변수를 이용하던데이유가 있나요?코딩 강의 처음 들어보는 초보자라왕초보 기준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런 버튼 비활성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jdk 17, 스프링부터 3.2 모두 강의자료에 나온대로 설치 후 진행하는데, 동작확인 부분에서 실행(run)버튼이 안나옵니다.삭제 후 재설치 해도 안되는데뭐가 문제일까요? 무료버전입니다.
-
미해결멀티OS 사용을 위한 가상화 환경 구축 가이드 (Docker + Kubernetes)
수업전부 다 듣고 나서 질문이 생겼습니다!
virtual box랑 공식문서를 통해서만 진행했을때 오류 때문에 힘들었는데 수업에서 vagrant/terminus 랑 제공해주신 자료덕에 ( SSH private key 지연 문제는 있었지만 ..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조금 더 활용해 보고 싶어서 시도하다 질문 드립니다. 강의에서는 로컬에서 마스터 노드 , 워커 노드 2개를 한 컴퓨터 내에서 만들었는데 , 혹시 이걸 a 컴퓨터에서는 마스터 노드를 b 컴퓨터에서는 워커노드만 존재하도록 분리할 수 있을까요?? aws, gcp 같은 크동일 네트워크 대역. 가상환경으로만 진행했을때 가능한 지 궁금합니다!++ 수업내용과는 살짝 벗어나긴 했지만 관련해서 같은 네트워크 대역으로 연결할 때ingress , ingress controller , 스케쥴러 ? 들을 통해서 연결할 수 있는지 질문드립니다!( 구글링하다 알게된 개념들이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을것 같습니다 )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선생님 감사합니다
목소리도 나긋해서 듣기 좋았고강의 내용 구성도 알차서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덕분에 좋은 강의 듣고 시험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선생님께 배울 수 있어서 감사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를 따로 생성해주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roductOrderMain2package ref.ex; public class ProductOrderMai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roductOrder[] orders = new ProductOrder[3]; orders[0] = createOrder("두부", 2000, 2); orders[1] = createOrder("김치", 5000, 1); orders[2] = createOrder("콜라", 1500, 2); printOrders(orders); int totalAmount = getTotalAmount(orders); System.out.println("총 결제 금액: " + totalAmount); } static ProductOrder createOrder(String productName, int price, int quantity) { ProductOrder order = new ProductOrder(); order.productName = productName; order.price = price; order.quantity = quantity; return order; } static void printOrders(ProductOrder[] orders) { for (ProductOrder order : orders) { System.out.println("상품명: " + order.productName + ", 가격: " + order.price + ", 수량: " + order.quantity); } } static int getTotalAmount(ProductOrder[] orders) { int totalAmount = 0; for (ProductOrder order : orders) { totalAmount += order.price * order.quantity; } return totalAmount; } }왜 ProductOrder order = new ProductOrder();을 통하여 객체를 새로 생성 해주는지 궁금합니다.ProductOrder[] orders = new ProductOrder[3];를 통해 배열을 만들었고, 배열도 객체라고 기억하고 있습니다.위에서 배열(객체)를 만들었는데 왜 객체를 또 만들어주나요?배열은 객체의 참조값만 저장이 되기 때문에 객체를 따로 생성해서 따로 생성한 객체에 값을 넣어줘야하기 때문이라고 이해했는데,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을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RunTimeError가 발생하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cnt = sc.nextInt(); String pw = sc.next(); pw = pw.replaceAll("#","1").replaceAll("/*","0"); String answer = ""; for(int i=0 ; i<cnt*7 ; i+=7){ char target =(char)Integer.parseInt(pw.substring(i,i+7),2); answer +=target; } System.out.println("answer = " + answer); } }콘솔창 : IntellJ에서는 직접 값을 입력하면 잘 뜨는데 강사님의 채점 프로그램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뭐가 문제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