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LEndTickCount를 중복검사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요즘에도 답 달아주시는지 궁금하네요.ㅎㅎDoGlobalQueueWork()랑 JobQueue::Execute()에서 LEndTickCount를 검사하는데 굳이 DoGlobalQueueWork()에서도 검사해야 할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기본편
업데이트된 코드 오류 ? 제품 리스트 가져오기 실패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실전 강의를 결제했습니다 실전 강의 전에 기본 강의 부터 듣고 있었는데, 네이버 상품 무안 스크롤 편을 보다가 업데이트된 코드를 그대로 작성했습니다 페이지에 있는 제품 리스트를 모두 가져와야 하는데, 제품 리스트 딱 하나만 가져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lock과 비동기화
SendAsync를 상위 참조에서 lock을 사용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일반 Send를 사용하는 상황과 마찬가지로 비동기화의 강점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아닌가요?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callback 함수 사용에 있어 궁금증
bool pending = _listenSocket.AcceptAsync(args); if (pending == false) OnAcceptCompleted(null,args);해당 코드는_listenSocket.AcceptAsync(args);에서 이미 call back 함수를 사용하여 해당 비동기 작업이 실행될 때 까지 기다린 다음 위에서 정의해준 call back 함수인 OnAcceptCompleted를 호출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그런데 굳이 return을 bool형인 peding으로 받아 보류인지 아닌지 확인하여 바로 peding이 false이면 직접적으로 OnAcceptCompleted 함수를 호출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이는 멀티 쓰레드 상황을 대비한 사항인가요?보류를 확인하여 바로 통과 하였다면 직접적으로 함수를 호출하는것은 속도 측면의 이유에서 추가하는 것인가요?그렇지 않다면 굳이if(pending == false) OnAcceptCompleted(null, args);부문을 해당 코드에서 삭제해도 무관하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
해결됨Flutter 앱 개발 기초
flutter와 spring 조합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flutter를 이용한 앱 개발에 관해 궁금한게 있어서 글 올려드립니다. 2024년에 flutter를 이용해 가계부 앱을 하나 만들어 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현재 제가 다니는 회사의 backend가 java/spring 조합이기에웬만하면 익숙한 java/spring를 그대로 이용해 앱의 비즈니스 로직을 구현하고 싶어서요 즉, 아래의 조합으로 앱을 개발하고 싶은데요(web은 생각하지 않고 오직 모바일 app만 생각중입니다.)front-end : flutter / back-end : spring 혹은 spring-boot 혹시 제가 말씀드린 조합을 이용해 flutter app을 개발하는 것이 흔한(?) 경우인지 궁금합니다.google이나 youtube에 이와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니까 어느정도 나오기는 하는데원하는 만큼의 자료를 얻지 못 해서혹시 제가 생각하는 조합이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어서 그런 것인지 의문이듭니다.오히려 'flutter nodejs' 로 검색을 하니까 유의미한 내용이 더 많이 나오더라고요 강사님 의견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추가로 front, backend 와는 별개로 DB는 postgresql 혹은 mongoDB 중 하나를 고민중인데SQL과 NoSQL이라 상반된 DB이긴 한데애초에 구상하고 있는 app이 그렇게 복잡하거나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는 것이 아니기에 SQL과 NoSQL의 특성까지 고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해서 후보군을 postgresql과 mongoDB로 좁혔는데이것 중 하나를 사용해도 무방한 개발 스펙일지도 궁금합니다! (혹시 몰라 말씀드리면 아직 커리큘럼 중 firebase 관련 강의는 듣지 않은 상태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단순 호기심으로 인한 질문입니다!
서블릿은 의존관계가 필요가 없는가?고찰 : 1번질문은 사실 질문을 올려봤는데 질문에 대한 답변이없어서 묻힌거같아 한번더올려봅니다!영한님께서도 다른분이 질문하셨을때 서블릿은 의존관계가 필요없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 이유를 한번 생각해봤는데, 의존관계라는게 쉽게말하면 객체가 다른객체를 알고있음을 말하는거같습니다. 서블릿도 결국 java기반의 웹프로그래밍을 동적으로 도와주는 객체라는것입니다. 다시말하자면 서블릿과 서블릿끼리 의존관계라는게 요청을 의미하는데 사용자가 다른사용자의 요청을 알고있어도 그냥 무덤덤하게 "아 저사람은 저걸시켰구나"라고 넘어갈수도있지만, 개인정보이기때문에 굳이 의존관계가 없어도됨을 나타내는거같습니다. 2.현업에 계신분들이 봤을때 메모리용량을 얼마나 설정해야하는지?고찰 : 서블릿에 대하여 요청당 하나의 스레드라고 알고있습니다. 사용자의 요청을 서블릿1이라고 했을때, 사용자2는 서블릿2 .... 사용자3000은 서블릿3000이라고했을때 @Controller는 선언될때 객체자체는 heap영역에 생성되지만 class정보는 method area영역에 생성이되고 결국 thread는 힙이든 메소드든 공유를하기때문에 수십만건의 쓰레드가와도 controller를 공유하여 처리할수있다는점입니다. servlet는 singleton이기때문에 사용자의 정보를 알고있어 요청이 끊기기 전까지 알고있어야합니다. 이때, 2-1)DB에 수천만 또는 수억의 사용자들이 요청이온다면 정보를 저장해야할텐데 DB가 그정도까지 지원하나요?2-2) 2-2번질문은 제가 질문하다가 떠오른생각인데 요청이끊긴다고해서 개인정보가 삭제되는것이아니라 일정활동이 없으면 휴먼계정으로 판단되어 DB에서 삭제가되는거였군요.. 방금 게임에 대한 정보를 생각했답니다 1번은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와 2-1)번은 단순히 현업에 제가있지않아봐서 호기심으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동기화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유익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이번에 동기화 단원을 듣게 되면서, 몇가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A 프로세스 혹은 쓰레드가 임계구역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다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이때 cpu가 지정한 타임 슬라이스를 초과하여 cpu를 사용하였고, 임계 구역에서의 진행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타이머 인터럽트가 발생하였다고 가정을 하겠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약 새로운 프로세스 B가 해당 임계구역에 접근을 하게 된다면, 이에 대한 부분은 어떻게 처리가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기존의 공유 자원이 업데이트 되지 않은 상태로 진행이 되게 되면, 분명히 레이스 컨디션이 발생할 수 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세마포의 경우에는 임계 구역에 진입할 수 있는 프로세스의 개수, 즉 사용 가능한 공유 자원의 개수를 전역변수로 설정하여 여러 개의 공유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세마포의 경우에는 각 공유자원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는 할 수 없는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것이 세마포의 단점? 이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운영체제는 처음 공부해 보는 것이라서 질문이 좀 난잡하고 불명확할 수 있다는 점 죄송합니다.열정적인 강의 덕분에 재미있게 공부를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항상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pring webflux 와 spring data jpa Transaction 사용 시 문제
토이프로젝트를 하다 어쩌다 보니 spring webflux를 사용하게 되고 spring data jpa 는 reactive 환경에서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모른 채 개발하다가...@SpringBootTest 에서 @Transactional 을 쓴 테스트에서 롤백이 되지 않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TRACE 로 설정해 두고 실행시켜본 결과...```2024-01-11T00:54:00.058+09:00 INFO 18764 --- [ Test worker] c.s.o.s.StockMarketDataServiceTest : Started StockMarketDataServiceTest in 10.371 seconds (process running for 11.483)2024-01-11T00:54:00.124+09:00 DEBUG 1876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com.stock.oppenheimer.service.StockMarketDataServiceTest.testAddByStockName]: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2024-01-11T00:54:00.125+09:00 DEBUG 1876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2129901484<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0.132+09:00 DEBUG 1876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7b5f886d]2024-01-11T00:54:00.606+09:00 DEBUG 1876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Found thread-bound EntityManager [SessionImpl(2129901484<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0.606+09:00 DEBUG 1876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2024-01-11T00:54:00.606+09:00 TRACE 187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com.stock.oppenheimer.service.StockMarketFacadeService.addStockMarketData]2024-01-11T00:54:00.607+09:00 DEBUG 1876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Found thread-bound EntityManager [SessionImpl(2129901484<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0.607+09:00 DEBUG 1876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Participating in existing transaction2024-01-11T00:54:00.607+09:00 TRACE 187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com.stock.oppenheimer.service.StockDataService.addStockData]2024-01-11T00:54:00.628+09:00 TRACE 187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com.stock.oppenheimer.service.StockDataService.addStockData]2024-01-11T00:54:00.629+09:00 TRACE 18764 --- [ Test worker]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com.stock.oppenheimer.service.StockMarketFacadeService.addStockMarketData]2024-01-11T00:54:02.705+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2024-01-11T00:54:02.706+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576234319<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2.706+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183cb66b]2024-01-11T00:54:02.706+09:00 TRACE 18764 --- [ctor-http-nio-2]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2024-01-11T00:54:02.749+09:00 TRACE 18764 --- [ctor-http-nio-2]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2024-01-11T00:54:02.749+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2024-01-11T00:54:02.749+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ommi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576234319<open>)]2024-01-11T00:54:02.758+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576234319<open>)] after transaction2024-01-11T00:54:02.759+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com.stock.oppenheimer.service.MarketDataService.fetchMarketData]: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2024-01-11T00:54:02.759+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222446599<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2.759+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7a4f5e33]2024-01-11T00:54:02.759+09:00 TRACE 18764 --- [ctor-http-nio-2]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com.stock.oppenheimer.service.MarketDataService.fetchMarketData]2024-01-11T00:54:02.760+09:00 TRACE 18764 --- [ctor-http-nio-2]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com.stock.oppenheimer.service.MarketDataService.fetchMarketData]2024-01-11T00:54:02.761+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2024-01-11T00:54:02.761+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ommitting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222446599<open>)]2024-01-11T00:54:02.761+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losing JPA EntityManager [SessionImpl(222446599<open>)] after transaction2024-01-11T00:54:03.536+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Creating new transaction with name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 PROPAGATION_REQUIRED,ISOLATION_DEFAULT2024-01-11T00:54:03.537+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1744980953<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3.537+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Exposing JPA transaction as JDBC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HibernateConnectionHandle@364f6c3d]2024-01-11T00:54:03.537+09:00 TRACE 18764 --- [ctor-http-nio-2] o.s.t.i.TransactionInterceptor : Get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2024-01-11T00:54:03.546+09:00 TRACE 18764 --- [ctor-http-nio-2] o.s.t.i.TransactionInterceptor : Completing transaction for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SimpleJpaRepository.save]2024-01-11T00:54:03.546+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Initiating transaction commit```이러한 상황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2024-01-11T00:54:02.706+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576234319<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2.759+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222446599<open>)] for JPA transaction2024-01-11T00:54:03.537+09:00 DEBUG 18764 --- [ctor-http-nio-2]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Opened new EntityManager [SessionImpl(1744980953<open>)] for JPA transaction기존에 쓰이던 엔티티매니저가 없어지고 계속 새로운 엔티티 매니저가 오픈이 되고 있었습니다. 2024-01-11T02:01:18.229+09:00 DEBUG 25524 --- [ Test worker] o.s.orm.jpa.JpaTransactionManager : Rolling back JPA transaction on EntityManager [SessionImpl(1495319789<open>)]하지만 마지막에 롤백 되는 엔티티메니저는 [Test worker thread] 에서 소환한 엔티티매니저 단 하나였습니다. 해당 부분을 소환하는 코드는 이렇습니다.. @Transactional public Flux<MarketData> saveMarketData(MktDataDTO marketDataDTO, StockData savedStockData) { MarketData marketData = conversionService.convert(marketDataDTO, MarketData.class); marketData.setStockData(savedStockData); marketDataRepository.save(marketData); return Flux.just(marketData); } 골이 당겨 오네요 ㅜㅜㅜ..r2dbc 로 마이그레이션을 하지 않고 transaction 설정을 잘 이용해서 이 상황을 해결할 방법이 있을지 한번 여쭤봅니다.코드 전문은 kimseunghyun-kr/oppenheimer at VolumeProfile (github.com)여기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est void connection() { Connection connection = DBConnectionUtil.getConnection(); assertThat(connection).isNotNull();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H2 DB 연결확인후 테스트 코드 package hello.jdbc.connection;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Slf4j class DBConnectionUtilTest { @Test void connection() { Connection connection = DBConnectionUtil.getConnection(); assertThat(connection).isNotNull(); } }실행시.무한 러닝 응답없음 터미널 창 상태mone@moneui-MacBookAir bin % ./h2.sh [14.589s][warning][os,thread] Failed to start thread "Unknown thread" - pthread_create failed (EAGAIN) for attributes: stacksize: 2048k, guardsize: 16k, detached.[14.590s][warning][os,thread] Failed to start the native thread for java.lang.Thread "H2 TCP Server (tcp://localhost:9092) thread-2006"Exception in thread "H2 TCP Server (tcp://localhost:9092)" java.lang.OutOfMemoryError: unable to create native thread: possibly out of memory or process/resource limits reachedat java.base/java.lang.Thread.start0(Native Method)at java.base/java.lang.Thread.start(Thread.java:798)at org.h2.server.TcpServer.listen(TcpServer.java:273)at org.h2.tools.Server.run(Server.java:647)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29)6시간 삽집...
-
해결됨게임 수학의 이해
책 159페이지 벡터 함수
여기서 왜 벡터를 입출력으로 사용하는 선형성을 가지는 함수가 (ax, by)로 설계되는게 아니라 (ax + by, cx + dy)로 설계되나요?벡터는 (x, y) 형태로 알고 있는데 갑자기 왜 x와 y를 더하는 지 모르겠어요
-
미해결Flutter로 SNS 앱 만들기
provider등록중 에러 발생 되었어요.
(사진)
-
해결됨[보안] Wazuh+ELK(SIEM)를 활용한 위협헌팅(Threat Hunting) 시스템 구축 및 운영실습 (기초)
local_rules.xml 설정했는데 "Microsoft Office Product Spawning Windows Shell" 로만 뜹니다
<!-- Rules from https://github.com/Neo23x0/sigma/tree/master/rules/windows/sysmon @smtszk updated by @nissy34 --> <!-- Sysmon Wazuh Rules version 1.0--> <group name="local,syscheck,"> <!-- Rule for ZEROMINI_RANSOM_NOTE.txt --> <rule id="100001" level="10"> <decoded_as>json</decoded_as> <field name="syscheck.path">>/ZEROMINI_RANSOM_NOTE.txt</field> <description>ZEROMINI_RANSOM_NOTE.txt file detected.</description> </rule> <!-- Rule for .koyange extension --> <rule id="100002" level="10"> <decoded_as>json</decoded_as> <field name="syscheck.path">\.koyange$</field> <description>File with .koyange extension detected.</description> </rule> </group> <group name="sysmon,sysmon_process-anomalies,"> <rule id="300001" level="13"> <if_group>sysmon_event1</if_group> <field name="win.eventdata.Image">calc.exe</field> <description>Calc process started (possible ransomware simulation)</description> </rule> <rule id="300002" level="13"> <if_group>sysmon_event1</if_group> <field name="win.eventdata.CommandLine">vssadmin delete shadows</field> <description>Shadow copy deletion command detected (possible ransomware simulation)</description> </rule> <rule id="300003" level="13"> <if_group>sysmon_event1</if_group> <field name="win.eventdata.TargetFilename">ZEROMINI_RANSOM_NOTE.txt</field> <description>Ransom note detected (possible ransomware activity)</description> </rule> <rule id="300004" level="13"> <if_group>sysmon_event1</if_group> <field name="win.eventdata.parentImage">python.exe</field> <description>File with python extension detected (possible ransomware activity)</description> </rule> <rule id="300005" level="13"> <if_group>sysmon_event1</if_group> <field name="win.eventdata.CommandLine">ping 8.8.8.8</field> <description>Ping to 8.8.8.8 detected (possible network test or exfiltration attempt)</description> </rule> </group>이대로 추가 하고 재기동 후 정상작동 확인했는데Windows에서 실행하고 나서 wazuh에서 확인해보니 선생님처럼 "Ping to 8.8.8.8 detected"로 뜨는게 아니라 그냥 "Microsoft Office Product Spawning Windows Shell"로 뜨네요 ㅠㅠ 뭐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한입리액트 섹션 6 - 페이지 구현 - 홈(/) 코드
// Home.js import { useState, useContext,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 DiaryStateContext } from "../App"; import MyButton from "./../components/MyButton"; import MyHeader from "./../components/MyHeader"; import DiaryList from "./../components/DiaryList"; const Home = () => { const diaryList = useContext(DiaryStateContext); const [data, setData] = useState([]); const [curDate, setCurDate] = useState(new Date()); const headText = `${curDate.getFullYear()}년 ${curDate.getMonth() + 1}월`; useEffect(() => { if (diaryList.length >= 1) { const firstDay = new Date( 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1 ).getTime(); const lastDay = new Date( 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 1, 0 ).getTime(); setData( diaryList.filter((it) => firstDay <= it.date && it.date <= lastDay) ); } }, [diaryList, curDate]); useEffect(() => { console.log(data); }, [data]); const increaseMonth = () => { setCurDate( new Date(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 1, curDate.getDate()) ); }; const decreaseMonth = () => { setCurDate( new Date(curDate.getFullYear(), curDate.getMonth() - 1, curDate.getDate()) ); }; return ( <div> <MyHeader headText={headText} leftChild={<MyButton text={"<"} onClick={decreaseMonth} />} rightChild={<MyButton text={">"} onClick={increaseMonth} />} /> <DiaryList diaryList={data} /> </div> ); }; export default Home; // DiaryList.js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sortOptionList = [ { value: "latest", name: "최신순" }, { value: "oldest", name: "오래된 순" }, ]; const ControlMenu = ({ value, onChange, optionList }) => { return ( <select value={value} onChange={(e) => onChange(e.target.value)}> {optionList.map((it, idx) => ( <option key={idx} value={it.value}> {it.name} </option> ))} </select> ); }; const DiaryList = ({ diaryList }) => { const [sortType, setSortType] = useState("lastest"); return ( <div> <ControlMenu value={sortType} onChange={setSortType} optionList={sortOptionList} /> {diaryList.map((it) => ( <div key={it.id}>{it.content}</div> ))} </div> ); }; DiaryList.defaultProps = { diaryList: [], }; export default DiaryList; // App.js import React, { useReducer, useRef } from "react"; import "./App.css"; import { BrowserRouter, Routes, Route }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pages/Home"; import New from "./pages/New"; import Edit from "./pages/Edit"; import Diary from "./pages/Diary"; const reducer = (state, action) => { let newState = []; switch (action.type) { case "INIT": { return action.data; } case "CREATE": { const newItem = { ...action.data, }; newState = [newItem, ...state]; break; } case "REMOVE": { newState = state.filter((it) => it.id !== action.targetId); break; } case "EDIT": { newState = state.map((it) => it.id === action.data.id ? { ...action.data } : it ); break; } default: return state; } return newState; }; export const DiaryStateContext = React.createContext(); export const DiaryDispatchContext = React.createContext(); const dummyData = [ { id: 1, emotion: 1, content: "오늘의일기 1번", date: 1704809815768, }, { id: 2, emotion: 2, content: "오늘의일기 2번", date: 1704809815769, }, { id: 3, emotion: 3, content: "오늘의일기 3번", date: 1704809815770, }, { id: 4, emotion: 4, content: "오늘의일기 4번", date: 1704809815771, }, { id: 5, emotion: 5, content: "오늘의일기 5번", date: 1704809815772, }, ]; function App() { const [data, dispatch] = useReducer(reducer, dummyData); console.log(new Date().getTime()); const dataId = useRef(0); // CREATE const onCreate = (date, content, emotion) => { dispatch({ type: "CREATE", data: { id: dataId.current, date: new Date(Date).getTime(), content, emotion, }, }); dataId.current += 1; }; // REMOVE const onRemove = (targetId) => { dispatch({ type: "REMOVE", targetId }); }; // EDIT const onEdit = (targetId, date, content, emotion) => { dispatch({ type: "EDIT", data: { id: targetId, date: new Date(Date).getTime(), content, emotion, }, }); }; return ( <DiaryStateContext.Provider value={data}>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value={{ onCreate, onEdit, onRemove }}> <BrowserRouter> <div className="App">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new" element={<New />} /> <Route path="/edit" element={<Edit />} /> <Route path="/diary/:id" element={<Diary />} /> </Routes> </div> </BrowserRouter>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DiaryStateContext.Provider> ); } export default App; 해당 강의 23분경부터 계속 막힙니다. 아무리 정렬을 바꿔도 정렬이 변경되지 않아요. 따라친다고 따라쳤는데 어디가 틀린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Console창 로그 문제
🚨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꼭 읽고 질문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하시기 전에 꼭 확인해주세요- 질문 전 구글에 먼저 검색해보세요 (답변을 기다리는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코드에 오타가 없는지 면밀히 체크해보세요 (Date와 Data를 많이 헷갈리십니다)- 이전에 올린 질문에 달린 답변들에 꼭 반응해주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만 받으시고 쌩 가시면 속상해요 😢)질문 하실때 꼭 확인하세요- 제목만 보고도 무슨 문제가 있는지 대충 알 수 있도록 자세한 제목을 정해주세요 (단순 단어 X)- 질문의 배경정보를 제공해주세요 (이 문제가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어디까지 시도해보셨는지)- 문제를 재현하도록 코드샌드박스나 깃허브 링크로 전달해주세요 (프로젝트 코드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답변이 달렸다면 꼭 확인하고 반응을 남겨주세요- 강의의 몇 분 몇 초 관련 질문인지 알려주세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1강 부터 듣고 있는데 CodeSandBox에서 1강이 끝나고 나와 있는 링크를 따라 CodeSandbox를 연결하였는데 console.log를 찍어도 아무런 반응도 없네요.어디가 문제인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static 메서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findPay 메서드가 static이면 이 안에서 호출되는 메서드는static이어야 하는것 아닌가요? equals 메서드는 String 메서드로 단지 option에만 쓰여서 해당되지 않는 건가용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m.clear() , em.clos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eam team = new Team();team.setName("TeamA");em.persist(team); em.flush();em.clear(); 1차 캐시 비우기em.close(); 영속성 컨텍스트 종료로 알고 있는데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ln("team = " + team.getId());System.out.println(" =============== ");이 team.getId() 값이 null이 아니라 해당 id 값이 출력될 수 있는 이유가 persist 할떄 team id 필드에 초기화 되서 인건가요?
-
미해결이득우의 꼭 배워야하는 게임 알고리즘
알고리즘 확인(?) 질문
아직 아리까리해서 확인 질문드립니다 ㅜㅜ... 강의 예시 부분에서 주황색영역(AABB체크할 영역)에 포함되는 노드를 찾아 검사대상에 올리는데요. 깊이3 쿼드트리 노드 85개 전체를 돌면서 주황생영역이 포함된 노드를 찾게 되는 것일까요? 그런다음 검사대상인 노드만 돌면서 노드에 등록된 물체에 대해 AABB충돌체크를 진행 하게 되는걸까요?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LosdShaderFromFile 매개변수 string(2)
삼각형 띄우기 31분 쯤 나오는 LosdShaderFromFile함수 작성시에 저는 string 헤더 추가하라고 오류가 뜹니다. (물론 추가 하는게 문제는 아닌데,)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파일을 보니 별도로 추가 되어있지 않아서요,,,, 궁금해서 올려봅니다(너무 하찮은 질문이지만...ㅜㅜ ) 근데 using namespace std; 는 이미 pch에 저도 추가되어 있습니다...ㅠㅠㅠ선생님 파일을 받아서 열어보아도 저와 같이 오류가 뜹니다. 저는 현재 VS 2022를 쓰고 있습니다. VS 설정이나 기타 확장도구, 템플릿 등의 문제일까요? ㅜㅜ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실행(F9)을 하면 자꾸 응답없음이 뜹니다.
sasm 삭제하고 다시깔아봐도 헬로월드 실행이 안되네요.. 무슨 문제일가요? 자꾸 응답없음이 뜹니다.
-
해결됨HTML+CSS+JS 포트폴리오 실전 퍼블리싱(시즌1)
툴팁을 요소의 정중앙에 위치시키기 질문
안녕하세요.실전 퍼블리싱 파트1 강의 중 마우스오버 시 툴팁 나타나게 하는 부분 듣고 있는데요, span 태그의 transform 속성을 이용해서 툴팁이 아이콘의 너비에 상관없이 아이콘의 정중앙에 오게 하는 방법이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강의에 보면 left: 50%; transform: translateX(-50%);위와 같이 속성을 부여하면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translateX 속성은 span 태그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위치를 바꾸는 것이라 이게 왜 아이콘의 중앙에 툴팁을 위치시킬 수 있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추가적인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