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SortMain2 클래스의 DescComparator 메서드 return 부분이 수정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영한님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Comparator를 공부하며 혼자 이것저것 해보던 중에 SortMain2 클래스의 DescComparator 메서드가 3,2,1 배열을 정렬하면 오름차순 으로 정렬되는 것을 확인하여 문의 드립니다.static class DescComparator implements Comparator<Integer> { @Override public int compare(Integer o1, Integer o2) { System.out.println("o1=" + o1 + " o2=" + o2); return (o1 < o2) ? -1 : ((o1 == o2) ? 0 : 1) * -1; } }강의에서는 오름차순 정렬된 1,2,3 배열을 내림차순 정렬해서 정렬이 문제가 없었지만만약 3,2,1 배열을 내림차순 정렬 하게 된다면, return (o1 < o2) ? -1 : ((o1 == o2) ? 0 : 1) * -1;첫번째 삼항 연산자 부분에서 앞에 o1, o2를 비교하고 -1 이 반환되며 오름차순으로 정렬 되는 것 같습니다.리턴 부분이 전체 비교 값에 -1이 곱해질 수 있도록return ((o1 < o2) ? -1 : ((o1 == o2) ? 0 : 1)) * -1; 로 수정 되어야 할 것 같아 문의 드립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노션이 사라졌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혹시 노션 기간이 있는걸까요??? 갑자기 사라졌습니다. 다시 초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C++로 만들면서 배우는 게임 개발과 알고리즘 with Windows API
소리 크기 조정 문의
안녕하세요. 앞으로 강의가 많이 기대가 됩니다.다름이 아니라 강의 소리가 매우 작은데, 조만간 개선 계획이 있으시다면 꼭 반영 해 주셨으면 합니다.자막을 키지 않고는 수강이 어려울 정도입니다. 앞으로도 좋은 강의 잘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명절 잘 보내세요 ㅎㅎ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2110번 문제 ispossible 함수 내부에서 조건문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파라매트릭 서치 2110 풀다가 오답처리된 코드에 궁금한 점 생겨 질문드립니다. 정답처리된 코드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P2110 { static int N, C; static long result; static int[] home; static long parametricSearch() { long left=0; long right=home[N-1]-home[0]; long mid = (left+right)/2; while(left<=right) { if(isPossible(mid)) { left = mid+1; result = mid; } else { right = mid-1; } mid = (left+right)/2; } return result; } static boolean isPossible(long mid) { //그리디한판단 : 맨 첫번째를 두는게 이득 + 거리 mid만큼 떨어진 바로 다음 집에 두는게 이득 int cnt=1; int lastIdx=0; for (int i = 1; i < N ; i++) { if(home[i]-home[lastIdx]>=mid) { lastIdx=i; cnt++; } } return C<=c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home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home[i]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ays.sort(home); System.out.println(parametricSearch()); } } 75%에서 오답처리된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P2110 { static int N, C; static long result; static int[] home; static long parametricSearch() { long left=0; long right=home[N-1]-home[0]; long mid = (left+right)/2; while(left<=right) { if(isPossible(mid)) { left = mid+1; result = mid; } else { right = mid-1; } mid = (left+right)/2; } return result; } static boolean isPossible(long mid) { //그리디한판단 : 맨 첫번째를 두는게 이득 + 거리 mid만큼 떨어진 바로 다음 집에 두는게 이득 int cnt=1; int lastIdx=0; for (int i = 1; i < N ; i++) { if(home[i]-home[lastIdx]>=mid) { lastIdx=i; cnt++; } if(cnt==C) return true; } return fals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home = new int[N]; for (int i = 0; i < N; i++) home[i] = Integer.parseInt(br.readLine()); Arrays.sort(home); System.out.println(parametricSearch()); } } 다른 부분은 전부 동일하고최소거리가 mid일 때 공유기 C개를 두는 것이 가능한지 판별하는 isPossible 내부에서 return만 다릅니다.for (int i = 1; i < N ; i++) { if(home[i]-home[lastIdx]>=mid) { lastIdx=i; cnt++; } if(cnt==C) return true; } return false;설치할때마다 cnt를 증가시키고, cnt==C가 되는 시점에 도달하면 어차피 현재의 mid로 공유기 C개를 두는게 가능하단 의미니까 true를 리턴해서 끝내고, cnt==C에 도달하지 못한다면 C보다 적은 개수만 설치할 수 있으니 false를 리턴한다고 작성했습니다.반면에 강의안으로 제공해주신 코드에서는 반복문 안에서 판단해서 리턴하는 것이 아니라, 반복문 전부 돈 결과인 cnt와 C를 비교해서 리턴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정답풀이가 맞는 방식이라는 점은 이해가 가는데 오답풀이가 어떤 반례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반복문 강의에서
반복문 강의에서 다중반복문을 단축키로 한번에 만드시던뎅..어떤 단축키를 사용해야 하나요? c에서는 '*' 사용해서 했던 것 같은데.. 가물가물...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백준 2110문제
def is_possible(k): # return True if k이상이 가능하면 global N, C, arr bef_idx = 0 cnt = 1 for idx in range(1, N): if arr[idx] - arr[bef_idx] >= k: bef_idx = idx cnt += 1 return (cnt >= C) 파라매트릭문제인 2110문제에서k가 1이라면cnt는 5가되는거고(예제기준으로) cnt >= C라는기준이사용해야하는 공유기 갯수(cnt) 그리고 주어진공유기 갯수(C)로 해석하면cnt가 C보다 크거나 같으면 주어진공유기보다 많이사용한거니까 false가 나와야하지않나요??? 그러면k=1일때는 공유기가3개주어졌는데 5개를써야하는데 k가 2일때부터 설명을 해주셔서 k=1일때의 설명이 없는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답을 보면서 공부하는 게 좋을까요?
가끔 어려운 거는 답을 봐도 왜 이게 답인지 모르겠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요 여튼 코테 문제를 풀 때 너무 답이 안 나오면 답을 보는 게 좋을까요 아니면 붙잡는 게 좋을까요? 사람마다 다 이야기가 달라서 혼동이 됩니다.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고급 BFS, DFS 는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하반기 채용 때문에 코딩테스트 찾아보다가 제가 너무 원했던 강의라서 결제 후에 개념 위주로 빠르게 보는 중입니다.요약하자면 코딩테스트에서 DFS나 BFS 문제들이 나올 시에 기본적인 내용 + 문제해결력(테크닉) 으로 나오는 것 같은데테크닉 적인 부분은 어떻게 공부를 해야될까요? 가령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32 풀이를 찾아보면 3차원(checked)으로 풀면 풀리긴 하는데, 제 직관으로는 각 그래프 경로를 분리해낸다는 컨셉이 당연하게 느껴지지가 않더라구요. 이런 까다로운 문제를 상대하려면 어떤 부분이 잘 준비되어 있어야 할까요? 강의 중에 비슷한 문제가 있다면 그부분 해설강의 꼼꼼히 봐보려고 합니다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강의에 있는 c++ 자료는 공개 예정이 없나요?
c++로 코딩 테스트를 준비해야 되는데, 파이썬이라도 괜찮다고 생각해 결제하긴 했지만, 동영상에 c++ 자료가 보여서 혹시 질문 드립니다! 현재 노션에는 싹 빠져있는 것 같아서요 따로 공개는 되지 않나요?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공간 복잡도 1mb = 100만개 질문 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int 자료형이 4바이트로 알고 있는데 보통 1바이트라고 하셔서 제가 오개념을 알고 있는 것 같은데 아무리 생각해도 맞지 않는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int 자료형인데 왜 1바이트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브루트 포스 BOJ 1182번에 관한 질문이 있습니다!
풀이 1번 (기본)에서 대부분의 코드를 이해했습니다.그런데# 인덱스가 lev인 원소 선택 Xsearch(lev + 1)에서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혹시 lev이 0일 경우인가요?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중반부부터 후반부까지의 거의 모든 영상이 다음과 같이 흰 영상으로만 보입니다.
누적합 알고리즘부터, 상당 수 강의가 다음과 같이 보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클래스는 타입매개변수를 통해 타입을 결정하는데 이 타입을 메인에서 전달받는다면 의존성 주입과 IoC로 볼수 있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제네릭클래스는 타입매개변수를 통해 타입을 결정하는데 이 타입을 메인에서 전달받는다면 의존성 주입과 IoC로 볼수 있나요?제가 생각하는 IoC는 한 오브젝트에서 무언가를 결정해야하는데 이것이 다른 오브젝트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이때 제 기준으로는 제네릭클래스는 내부적으로 타입을 결정해야하지만 이 타입이 메인과 같은 함수에 의해 타입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타입으로 타입을 결정하므로 IoC에 부합한다고 생각합니다.또한 외부에서 타입을 주입받으므로 의존성 주입에도 부합하다고 생각합니다.혹시 제 생각이 틀렸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해시 충돌 구현 링크드리스트 사용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께서 링크드 리스트를 사용하시는 이유를 설명해주셨는데 잘 이해가 안가서 질문을합니다!어레일이스트를 사용하는것보다 링크드 리스트를 사용하는 이유가.. 충돌?이 덜나서라고 하셨는데 이부분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실수있나요? 잘 이해가 안가네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String[]에서 for-each가 작동하는 이유는 뭔가요?
[섹션 11. 순회, 정렬, 전체 정리] 강의를 들으면서 학습 자료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었습니다. "자바는 It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에 대해서 향상된 for문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근데, String[]에는 Iterable 인터페이스가 구현되어 있지 않은 것 같은데 어떻게 for-each를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다익스트라 코드 중에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def dijkstra(graph, start, final): costs = {} # 방문 여부 pq = [] # 우선순위 큐 heapq.heappush(pq, (0, start)) # 시작 노드 추가 while pq: cur_cost, cur_v = heapq.heappop(pq) if cur_v == final: return cur_cost if cur_v not in costs: # 방문여부 확인 costs[cur_v] = cur_cost # 인접 노드 탐색하면서 비용 업데이트 for next_v, cost in graph[cur_v]: # 현재노드와 연결된 인접노드와 그 비용 next_cost = cur_cost + cost heapq.heappush(pq, (next_cost, next_v)) return costs[final]정말 사소한건데요, while pq: 내용 중 for cost, next_v in graph[cur_v]: 를 for next_v, cost in graph[cur_v]: 로 고쳐도 되는지 묻고 싶습니다. 우선순위 큐는 비용을 기준으로 하니까 (E,V)가 맞는거 같은데요. 그래프가 G=(V,E) 수식을 따르다 보니까 그래프로 초기화할 때도 ("A", 3)과 같이 노드와 비용 순서대로 하잖아요? 그래서 이러한 논리를 for문에도 적용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이 듭니다. (아! 이건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코드를 고쳐달라고 요구를 하는 건 절대 아닙니다 😅)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14719
텐트 세우기 문제 백준 14719 이 문제를어떤 식으로 접근해서 누적합으로 풀어야할지 가이드 좀 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제공해주신 문제 풀이가 시간초과가 되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실전 문제풀이1 : BOJ 3085 사탕 게임] 문제에서 선생님이 제공해주신 "풀이1-O(N^4)" 으로 python3 답을 제출했는데 시간 초과가 되는 걸로 나옵니다. 시간 복잡도가 O(N^4)인데 왜 시간 초과가 나는 것인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인텔리제이 먹통
인텔리제이 무료버전이 다 끝나서 다시 지우고 무료료 쓸 수있는 학생버전으로 깔았는데 그 다음부터 김영한님의 파일들이 잘 작동이 안됩니다. 일텔리제이 버전은 아래와 같습니다:IntelliJ IDEA 2024.2.1 (Ultimate Edition)Build #IU-242.21829.142, built on August 29, 2024Licensed to xxSubscription is active until September 2, 2025.For educational use only.Runtime version: 21.0.3+13-b509.11 aarch64 (JCEF 122.1.9)VM: OpenJDK 64-Bit Server VM by JetBrains s.r.o. 김영한님의 폴더를 오픈하면 소스 파일이 안뜨고 이런식으로 뜹니다 또 어쩔때는 소스파일이 다 뜨지만 run을 하면 run이 실행되고 다시 프로젝트 목록의 소스파일들이 다 사라집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어떻게 오버라이딩된 toString()의 형식으로 출력되는지 헷갈립니다ㅠ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위의 코드에서 WildCardEx.printGenericV1(dogBox); 의 결과로 T = Animal{name='멍멍이', size=100} 이렇게 Animal에 오버라이딩한 toString의 형태가 출력되는지 궁금합니다...ㅠㅠ printGenericV1() 메서드에서는 box.get()을 사용하고 있지만, get() 메서드는 return 으로 그저 Dog 객체를 반환하는데 어떻게 오버라이딩 된 toString()의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는지 헷갈립니다ㅠ 기본적인 질문을 드려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