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진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 기초부터 고급까지
코드 샌드박스 소스 입력시 콘솔이 계속 반응하는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코드 샌드박스 소스 입력시소스를 입력할때마다 console.log()가 계속 반응하는 것같은데소스입력할때마다 반응하는 것을 멈출수 있을가요? 혹시.. 코드샌드박스 적응이 아직 안되었으면.. 비쥬얼 코드로 공부해도 큰 문제없을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도 상속이라는 말을 사용하나요?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가 BeanFactory 외에도 여러가지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아서 사용하는데 사실상 기능을 상속한다기 보다 메서드 시그니쳐만 물려주고 구현체에서 실제로 기능 구현을 하는게 아닌가 해서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문제1번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문제1번을 풀었는데 좀 달라서요..답은 나오는데 역시 틀렸다고 보는게 맞겠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 하한 바운드(super)의 활용 사례
안녕하세요. 제네릭 하한 바운드(super)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상한 바운드(extends) 같은 경우에는 현재 실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데요.다만 하한 바운드는 실무에서 한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습니다.하한 바운드는 결국 Object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기 때문에 이점이 없다고 생각하고, 보통은 상한 바운드로 해결이 되었기 때문인데요.혹시 하한 바운드에 대한 활용 사례를 간단히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 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Thread의 yield함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Thread 의 yield 함수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양보를 할지 말지 에 대한 hint만 주는것이고 스케쥴링이 알아서 양보 여부에 대해 정한다고 하셨는데 만약에 양보를 하게되면 que의 제일 뒤로 가게 되는건가요? 만약에 que에 10개의 일이 쌓여있으면 양보를 하게되면 10개가 다 끝나고 실행 되는 건지아니면 1~~n개가 실행되고 그다음에 실행 되는 건지는 모르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BlockingQueue와 Semaphore는 언제 각각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 FIFO 순서 보장과 동기/비동기 흐름의 차이로 구분할 수 있을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BlockingQueue는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하였을때 동시성 제어를 위한 자료 구조인데 세마포어 개념도 동시에 스레드가 접근 하였을때 가능한 스레드 수를 제어하는 개념인 것을 공부하였습니다. 어떤 상황에서 BlockingQueue 를 쓰고 어떤 상황에서 세마포어를 쓰는게 더 좋을까요?락을 획득하였을떄 Queue 는 FIFO 구조이므로 순서를 보장해주고 싶을 떄 BlockingQueue 를 쓰는게 좋나요? 세마포어는 스레드가 직접 자원을 획득하기 전까지 기다리니까 동기이고 비동기는 큐에 넣고 다른 일을 하러 가는 즉 호출한 함수가 처리 결과를 기다리지 않는 비동기여서 동기/ 비동기 차이를 구분하고 싶을때 쓰는게 둘을 구분해서 쓰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main 스레드.sleep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생겨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스레드의 생명 주기 - 코드 강의 파트에서 Thread.sleep(1000);를 입력하여 메인 스레드를 잠시 멈추는데, 메인 스레드의 이름이 Thread라서 Thread.sleep을 하는 것일까요 ? 아니면, sleep 메서드가 static이어서 이렇게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주소값에 실제로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
강의 주제와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거지만.. 실제 주소값으로 접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가? 입니다 아무리 배열이 인덱스의 실제 주소값을 한번에 계산해서 찾는 구조라고는 해도 결국 그 주소까지 이동하는건 시간이 걸릴거같은데요예를들어 그게 10억 번째 인덱스라면 거기까지 순간이동 할수는 없잖아요?? 그래서 인덱스 번호에 비례해서 시간이 더 걸리긴 할거같은데..이건 너무 인간의 관점에서 생각하는거고 실제로 컴퓨터는 다르게 동작하는 걸까요?? 제가 생각해도 너무 무식한 질문이긴한데 의문을 해소하고자 질문 드립니다 ㅠㅠ ============================ 수강을 더 진행하다보니 실제 성능 설명 파트에서 메모리 접근에 대한 얘기를 해주셔서 의문이 자연스럽게 해결됐습니다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날짜와 시간 문제 2번.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ckage time.test; import java.time.LocalDate; import java.time.temporal.ChronoUnit; public class TestLoopPlu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calDate startDate = LocalDate.of(2024, 1, 1); for (int i = 0; i < 5; i++) { LocalDate nextDate = startDate.plus(2 * i, ChronoUnit.WEEKS); System.out.println("날짜" + (i + 1) + ": " + nextDate); } } } 반복문 안에서 nextDate로 받는것도 불변 객체 아닌가요?불변객체이면 새로운 변수로 받아야 하는 게 아닌가해서 반복문 안의 코드가 이해가 잘 안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DataOutputStream관련하여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DataOutputStream은 앞에 2바이트로 문자길이가 저장되고 뒤에는 실제 문자 데이터가 저장된다고 하셨는데요, 길이가 2바이트가 넘어가는 문자를 저장하게 되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AS 연산3 강의 질문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 여러 스레드가 정말 완벽하게 동시에 실행되는 경우임의의 두 스레드 A, B가 정말 완벽하게 동시에 실행되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현재 atomicInteger의 value가 0에서 1로 증가해야하는 상황입니다.A와 B 모두 getValue의 값은 0입니다.A와 B 모두 result의 값은 true가 될 것이며 getValue는 0에서 1로 증가합니다. A와 B 모두 1을 return 합니다. (결괏값: 1)이런 경우는 절대로 없는 건가요?2. sleep 사용 시 타 스레드 간섭이 증가하는 이유sleep 사용 시 타 스레드 간섭이 증가하는 이유를 제 나름대로 생각해 보았는데, sleep(100)이라 하더라도 모든 스레드가 100ms 후에 완벽하게 동시에 깨어나지는 않기 때문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프로세스와 스레드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해당 강의를 듣고 질문이 있는데요,우리가 일반적으로 자바/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맥북으로 인텔리제이로 실행한다면 어떻게 프로세스가 이루어지는지 알 수 있을까요? 제가 생각해본건 아래와 같습니다. 프로세스 1자바(강의 내용중에, 자바를 실행하면 자바도 하나의 프로세스라고 하셔서 추가했습니다) 프로세스 2JVM(그리고 이 JVM이 가상 컴퓨터이니까 그 컴퓨터의 프로세스 내부에서 스프링부트가 실행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프로세스 3인텔리제이 이렇게 생각하고 있는 게 맞는 내용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배열의 가장 앞쪽에 요소를 추가할때 의문점
배열의 가장 앞쪽에 요소를 추가할때, 기존의 요소를 전부 한 칸씩 오른쪽으로 옮기고 나서 확보된 빈 공간에 추가해야한다는건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그냥 배열자체의 시작 주소값을 한칸 앞으로 당기고 거기다가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면 빅오 표기법상 O(1)? O(2)? 가 되는거 아닌가요? 예를들면 int[]의 기존 주소값이 x100이었다면 x96으로 옮기고 새로운 요소를 거기다 추가해주는거죠 주소값 자체를 명시적으로 할당하는 문법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쨋든 내부적으로는 그렇게 작동하도록 언어를 구현할수도 있는거아닌가요?? 그런데 당연히 이렇게는 안되니까 안하는것일텐데, 몇시간동안 생각해봐도 안되는 이유가 안떠올라서 질문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트레이딩 파트1: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위한 파이썬 데이터 분석
VM 생성 시, Size 관련 문의 (quotas)
강의에서 설명해주신 대로 Spot quotas 리밋을 16으로 올리려고 했으나 계속 거부 메시지가 옵니다. 현재 제가 가진 subscription으로는 Spot VM을 16까지 늘릴 수 없다고 합니다. spot의 다른 지역 Korea, Japan, East US 등 다 해봤는데 똑같습니다. 이 때문에 강의에서 보여주신 Standard_D16as_v5 - 16 vCPUs, 64 GiB memory $0.08480/hour 옵션 대신, 훨씬 비용이 높은 Standard_D16as_v5 - 16 vCPUs, 64 GiB memory US$619.04/month 옵션밖에 선택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강의와 동일한 VM 환경으로 실습을 진행할 수 있을까요? 일단 Azure의 서포트에 아래와 같은 메시지로 문의를 남겼으나 답변이 매우 늦는 상태입니다:I wanted to increase my spot limit to 16 and then want to create a VM using the 'Standard_D16as_v5 - 16 vCPUs, 64 GiB memory $0.08480/hour' option. However, since this is my first time using it, I'm only seeing the option labeled 'Standard_D16as_v5 - 16 vCPUs, 64 GiB memory US$619.04/month'. Could you please help me resolve this issue? Azure의 Help + support 섹션에서 아래와 같은 응답이 계속 표시됩니다:QMS Update - Status: ResourceType: crpCores { Quota Bucket: TotalLowPriorityCores Status Description: Due to very high rates of Spot consumption, Microsoft is unable to approve additional quota at this time State: SpotVMNotAllowedForPayGCustomer Current Quota: 3 New Quota: 16 } Properties: [location, koreacentral]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나 대체 방안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스크린샷 첨부하였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계산과 형변환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질문 1int result = (int) 10.0 + 1;에서 (int)10.0 이 먼저 형변환 된채로 연산을 하는건()소괄호의 연산자 우선순위가 1순위인것과 관련 있는건가요?질문 2double intValue = 2 / 1 ;double doubleValue = 2.0 / 1 ;intValue 의 2가 int형인 이유가 이전 강의에서 숫자 리터럴은 int형으로 판단한다고 말씀해주셔서 2가 int형으로 연산되었다고 예상했는데doubleValue 의 2.0은 같은 리터럴인데 왜 double로 판단 후 연산이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더 연습해보고 싶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접근제어자 문제까지 풀었습니다. 잘 풀리는 문제들도 있고 부분부분 막히는 문제들도 있는데, 혹시 이런 비슷한 예제들을 풀어볼 수 있는 사이트나 문제모음은 없을까요? 요구사항을 보고 어떻게 코드를 구성하면 좋을지 더 고민해보고 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interrupt() 호출 후 출력 결과 질문있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처음 예제 작성했을 때 출력 결과가 이렇게 나왔었는데, (강의 5분 10초, 10분 50초 참고)work] 작업 중 work] 작업 중 main] 작업 중단 지시 thread.interrupt() work] work 스레드 인터럽트 상태2 = false main] work 스레드 인터럽트 상태1 = true work] interrupt message=sleep interrupted work] state=RUNNABLE work] 자원 정리 work] 작업 종료이 상황에서는 main스레드에서 interrupt() 후 바로 work 스레드가 예외 처리해서 work 스레드의 인터럽트 플래그가 false 로 됐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main스레드에서 work 스레드의 인터럽트 플래그가 true가 출력되었는데 어떻게 false가 아닌 true가 출력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다운로드 소스코드 삭제 방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혹시 다운받은 소스코드 삭제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강의 중 헷갈리는 개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9:12초 정도에 블록 내부에서 외부는 접근 가능하다고 했는데 블록 외부에서 생성된 변수가 블록 내부에 접근 가능한 게 아닌가요?
-
미해결코틀린 함수형 프로그래밍 - 입문편
API 응답 처리 커스터마이징 vs Result 클래스 활용의 차이
안녕하세요! 제네릭 활용 실사례 학습 자료 중 API 응답 처리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API 응답 처리 시 ApiResponse<out T> 와 같은 sealed class를 만들어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하는 것이 이점이 있을지, 아니면 이미 코틀린 내장 클래스로 존재하는 Result 클래스 활용하는 것이 나을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sealed class ApiResponse<out T> data class Success<out T> (val data : T, val message : String) : ApiResponse<T>() data class Error(val message : String) : ApiResponse<Nothing>() fun <T> handleResponse(response: ApiResponse<T>) { when (response) { is Success -> println("Success: ${response.message}") is Error -> println("Error: ${response.message}") } }위처럼 커스텀하면 장점은 클라이언트 측과 통신할 때 서로 합의한 방식과 원하는 데이터를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Result에서 제공하는 함수형 메서드(fold,map등)를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반대로 Result를 사용하면 제공되는 함수형 메서드도 활용할 수 있지만, 응답 json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이처럼 각자의 장단점이 있다보니, 장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계층에서 Result를 반환하고 이를 컨트롤러에서 ApiResponse로 타입 변경하는 것은 어떤가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위반하진 않는지 궁금합니다.둘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최선인지,, 각각 상황에 맞춰 써야하는 것인지 잘 느낌이 오지 않아 질문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