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이용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용호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회원 도메인 개발

단일 Impl 사용과 다중 구현 시 명명 전략 문의

작성

·

63

·

수정됨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강의 8분 5초 부분에서 "구현체가 하나만 있을 때는 구현 클래스 뒤에 Impl (예: MemberServiceImpl)을 관례상 많이 쓴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이 설명을 바탕으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1. 만약 인터페이스에 대한 구현체가 여러 개 존재한다면, 이때는 각 구현 클래스명 뒤에 Impl 접미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2. 그렇다면, 예를 들어 MemberService 인터페이스에 대해 JPA를 사용하는 구현, Redis를 사용하는 구현, 그리고 기본 구현이 있다면, 각각 JpaMemberService, RedisMemberService, DefaultMemberService와 같이 각 구현체의 특징이나 전략을 나타내는 이름으로 명명하는 것이 적절한 방식일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이용호님.

질문 주신 내용은 소프트웨어 설계 시 명명 전략과 관련된 부분으로 이해됩니다.

  1. 구현체가 여러 개 있을 때의 명명:

    • 구현체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 각 구현체의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로 인해 클래스 이름만으로도 어떤 구현을 제공하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Impl이라는 접미사보다는 구체적인 이름을 사용하여 각 구현체를 명확히 나타내는 것이 좋습니다.
  2. 구체적인 구현체 명명 예시:

    • 여러 구현체가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때는 접근 방식이나 사용 기술을 드러내는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MemberServic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들이 아래와 같다면:
      • JpaMemberService: JPA로 구현된 서비스
      • RedisMemberService: Redis를 사용하는 서비스
      • DefaultMemberService: 기본 (디폴트) 구현을 제공하는 서비스

이러한 명명 규칙은 읽기에 좋은 코드와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팀 간의 협업에서도 명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관련된 유사 질문과 답변들이 아래 링크에 추가적인 참고 자료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명명 규칙은 팀이나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팀 내의 코딩 컨벤션을 참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이용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용호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