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Kafka 클라이언트 To VM kafka 연결 질문
안녕하세요.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제가 회사에서 강의를 보고 있어서 그런데 강의 세팅과 조금 다르게 진행해서 연결에서 막힙니다. 일단 저는, 개인 PC로 IP - 192.168.100.170 인 서버 컴퓨터로 원격 연결을 하고그 안에서 VB로 ubuntu VM을 생성했습니다.VM의 고정 IP는 192.168.88.111로 설정했습니다.이후 편한 환경을 위해 putty같은 프로그램으로 ssh 연결을 했습니다.VM의 Port Forwarding으로ssh는 192.168.100.170:27722 -> 192.168.88.111:22192.168.100.170:29092 -> 192.168.88.111:9092 으로 진행했고 성공했습니다.이후 개인 PC에서 Intelij로 SimpleProducer 실습을 진행하는데, props.setProperty(ProducerConfig.BOOTSTRAP_SERVERS_CONFIG, "192.168.100.170:29092");로 나름 머리를 써서 작성했습니다. 물론, VM의 server.properties에서 외부 연결을 허용하도록 했습니다만, 정확한지 확신은 없습니다. 이후, 코드를 실행했더니, socket timeout 에러가 나오고 카프카 컨슈머에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Log를 자세히 보니 분명히 kafka topicId를 인지하는 걸 보니 연결은 된 것 같은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Starting Gradle Daemon... Gradle Daemon started in 1 s 324 ms > Task :producers:compileJava UP-TO-DATE > Task :producers:processResources NO-SOURCE > Task :producers:classes UP-TO-DATE > Task :producers:SimpleProducer.main() [main] INFO org.apache.kafka.clients.producer.ProducerConfig - ProducerConfig values: acks = -1 batch.size = 16384 bootstrap.servers = [192.168.100.170:39092] buffer.memory = 33554432 client.dns.lookup = use_all_dns_ips client.id = producer-1 compression.type = none connections.max.idle.ms = 540000 delivery.timeout.ms = 120000 enable.idempotence = true interceptor.classes = [] key.serializer = class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StringSerializer linger.ms = 0 max.block.ms = 60000 max.in.flight.requests.per.connection = 5 max.request.size = 1048576 metadata.max.age.ms = 300000 metadata.max.idle.ms = 300000 metric.reporters = [] metrics.num.samples = 2 metrics.recording.level = INFO metrics.sample.window.ms = 30000 partitioner.class = class org.apache.kafka.clients.producer.internals.DefaultPartitioner receive.buffer.bytes = 32768 reconnect.backoff.max.ms = 1000 reconnect.backoff.ms = 50 request.timeout.ms = 30000 retries = 2147483647 retry.backoff.ms = 100 sasl.client.callback.handler.class = null sasl.jaas.config = null sasl.kerberos.kinit.cmd = /usr/bin/kinit sasl.kerberos.min.time.before.relogin = 60000 sasl.kerberos.service.name = null sasl.kerberos.ticket.renew.jitter = 0.05 sasl.kerberos.ticket.renew.window.factor = 0.8 sasl.login.callback.handler.class = null sasl.login.class = null sasl.login.connect.timeout.ms = null sasl.login.read.timeout.ms = null sasl.login.refresh.buffer.seconds = 300 sasl.login.refresh.min.period.seconds = 60 sasl.login.refresh.window.factor = 0.8 sasl.login.refresh.window.jitter = 0.05 sasl.login.retry.backoff.max.ms = 10000 sasl.login.retry.backoff.ms = 100 sasl.mechanism = GSSAPI sasl.oauthbearer.clock.skew.seconds = 30 sasl.oauthbearer.expected.audience = null sasl.oauthbearer.expected.issuer = null sasl.oauthbearer.jwks.endpoint.refresh.ms = 3600000 sasl.oauthbearer.jwks.endpoint.retry.backoff.max.ms = 10000 sasl.oauthbearer.jwks.endpoint.retry.backoff.ms = 100 sasl.oauthbearer.jwks.endpoint.url = null sasl.oauthbearer.scope.claim.name = scope sasl.oauthbearer.sub.claim.name = sub sasl.oauthbearer.token.endpoint.url = null security.protocol = PLAINTEXT security.providers = null send.buffer.bytes = 131072 socket.connection.setup.timeout.max.ms = 30000 socket.connection.setup.timeout.ms = 10000 ssl.cipher.suites = null ssl.enabled.protocols = [TLSv1.2, TLSv1.3] ssl.endpoint.identification.algorithm = https ssl.engine.factory.class = null ssl.key.password = null ssl.keymanager.algorithm = SunX509 ssl.keystore.certificate.chain = null ssl.keystore.key = null ssl.keystore.location = null ssl.keystore.password = null ssl.keystore.type = JKS ssl.protocol = TLSv1.3 ssl.provider = null ssl.secure.random.implementation = null ssl.trustmanager.algorithm = PKIX ssl.truststore.certificates = null ssl.truststore.location = null ssl.truststore.password = null ssl.truststore.type = JKS transaction.timeout.ms = 60000 transactional.id = null value.serializer = class org.apache.kafka.common.serialization.StringSerializer [main] INFO org.apache.kafka.common.utils.AppInfoParser - Kafka version: 3.1.0 [main] INFO org.apache.kafka.common.utils.AppInfoParser - Kafka commitId: 37edeed0777bacb3 [main] INFO org.apache.kafka.common.utils.AppInfoParser - Kafka startTimeMs: 1706742127571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Metadata - [Producer clientId=producer-1] Resetting the last seen epoch of partition test-topic-0 to 0 since the associated topicId changed from null to jRkpHnfwT8mfWJ3PB9HHmg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Metadata - [Producer clientId=producer-1] Cluster ID: ysNHdh2DQTKvR3X0yruxdg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Disconnecting from node 0 due to socket connection setup timeout. The timeout value is 9728 ms.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Disconnecting from node 0 due to socket connection setup timeout. The timeout value is 18153 ms.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Node 0 disconnected.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WARN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Connection to node 0 (/192.168.88.111:9092) could not be established. Broker may not be available.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Node 0 disconnected.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WARN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Connection to node 0 (/192.168.88.111:9092) could not be established. Broker may not be available.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Node 0 disconnected.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WARN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Connection to node 0 (/192.168.88.111:9092) could not be established. Broker may not be available.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INFO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Node 0 disconnected. [kafka-producer-network-thread | producer-1] WARN org.apache.kafka.clients.NetworkClient - [Producer clientId=producer-1] Connection to node 0 (/192.168.88.111:9092) could not be established. Broker may not be available. [main] INFO org.apache.kafka.clients.producer.KafkaProducer - [Producer clientId=producer-1] Closing the Kafka producer with timeoutMillis = 9223372036854775807 ms. [main] INFO org.apache.kafka.common.metrics.Metrics - Metrics scheduler closed [main] INFO org.apache.kafka.common.metrics.Metrics - Closing reporter org.apache.kafka.common.metrics.JmxReporter [main] INFO org.apache.kafka.common.metrics.Metrics - Metrics reporters closed [main] INFO org.apache.kafka.common.utils.AppInfoParser - App info kafka.producer for producer-1 unregistered 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 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 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4/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 BUILD SUCCESSFUL in 2m 5s 2 actionable tasks: 1 executed, 1 up-to-date 오전 8:04:07: Execution finished ':producers:SimpleProducer.main()'. [Producer clientId=producer-1] Resetting the last seen epoch of partition test-topic-0 to 0 since the associated topicId changed from null to jRkpHnfwT8mfWJ3PB9HHmg이 부분을 보아하니 토픽은 인지하는 것 같은데 말이죠..감사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getline()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 큰돌님!새로 교안 업그레이드를 해주시면서 getline()에 대한 설명을 읽어보았는데요,getline()의 경우 cin과 달리, '\n'까지 입력받는 것은 이해하였는데,밑의 출력 예시를 보면 getline()이 입력받은 뒤에 오는 개행문자를 삭제한 것 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인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다른 질문글에 답변 주신 것도 읽어보았는데 잘 이해가 안되어서요ㅜㅜ
-
해결됨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제네릭 문제 맞췄습니다!.
const returnWhatIPassIn = <T = number | string>(t: T) => { return t; }; const one = returnWhatIPassIn(1); const matt = returnWhatIPassIn("matt"); type tests = [Expect<Equal<typeof one, 1>>, Expect<Equal<typeof matt, "matt">>];감사합니다.
-
미해결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강의 "16진수 표기가 사용되는 예" 에서의 질문
해당 강의에서 보여주시는 메모리 화면에서 메모리 주소 오른쪽에 있는 문자들은 앞에 0x가 따로 없는데도 16진수라고 하셨는데, 저 문자들은 그냥 16진수 읽기로 약속된 문자들 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그리고 그렇다면 왜 앞에 0x가 붙어있지 않은지도 알려주실 수 있나요 ??
-
미해결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시작하는 백엔드 - 스프링, 도커, AWS
2-3 진행 중 에러 발생
2-3 강의 중 12분 쯤에 Send를 누르면 200 OK가 떠야한다고 하셨는데 저는 500 에러가 발생합니다!package com.jyujyu.review.api; import com.jyujyu.review.service.TestService;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Gett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Bod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AllArgsConstructo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EntityApi { private final TestService testService; @PostMapping("/test/entity/create") public void createTestEntity( @RequestBody CreateTestEntityRequest request ) { testService.create(request.getName(), request.getAge()); } @AllArgsConstructor @Getter public static class CreateTestEntityRequest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Integer age; } } package com.jyujyu.review.api; import com.jyujyu.review.service.TestService;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Gett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Bod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AllArgsConstructor @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EntityApi { private final TestService testService; @PostMapping("/test/entity/create") public void createTestEntity( @RequestBody CreateTestEntityRequest request ) { testService.create(request.getName(), request.getAge()); } @AllArgsConstructor @Getter public static class CreateTestEntityRequest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Integer age; } } package com.jyujyu.review.repository; import com.jyujyu.review.model.Test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Tes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TestEntity, Long> { // Long -> TestEntity에 @Id가 있는 필드의 자료형을 작성한다. } package com.jyujyu.review.model;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Getter; @Getter @Table(name = "test") @Entity public class Test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eger age; public TestEntity(String name, Integer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TestEntity() { } public void changeNameAndAge(String name, Integer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 } group = 'com.jyujyu'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runtimeOnly 'com.h2database:h2'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server.port=8081 spring.h2.console.enabled=true spring.h2.console.path=/h2-console spring.h2.console.settings.web-allow-others=true spring.datasource.driver-class-name=org.h2.Driver spring.datasource.url=jdbc:h2:mem:rss spring.datasource.username=sa spring.jpa.hibernate.ddl-auto=create spring.jpa.show-sql=true알려주신대로 코드를 작성하고 포스트맨에서 Send를 눌러도 500 Internal Server:Error 라고 뜨네요 ㅠ 원인을 찾아봐도 안보여서 여쭙습니다..! 참고로 포트는 8081이 맞습니다혹시 파일 필요하실까봐 링크 첨부했습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W65YQNY5rOGjWuqr-ntff7_QuTWz4eDw/view?usp=sharing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자바스크립트 기초 강의
디지털 시계 만들기 질문 드립니다.
강의를 듣고 먼저 배운대로 new 연산과 Date 객체, setInterval 메소드를 활용해서 현재 시간을 반영한 디지털 시계를 만드는 코드를 짜봤는데요. 제 생각으로는 변수 안에 new 연산이 있으니, setInterval로 1초 마다 getTime 함수가 실행될 때마다, new 연산을 하는 변수 hour, min, sec가 실행되어서 1초마다 다시 연산을 해서 현재 시간을 업데이트해 줄 것으로 예상했는데,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안되더라구요.(멈춰있음)그래서, hour, min, sec 변수 선언들을 getTime 함수 안에 넣어서 실행했더니 실시간으로 1초마다 시간이 반영이 되었습니다.똑같은 변수인데, 함수 밖에 있는 것과 안에 있는 것이(전역변수인지 아닌 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건가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연장 부탁드립니다...
타의로 인해 다른 클라우드를 이용하느라 이제서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연장을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오예 정답 입니다.
type Fruit = | { name: "apple"; color: "red"; } | { name: "banana"; color: "yellow"; } | { name: "orange"; color: "orange"; }; type TransformedFruit = { [key in Fruit as `${key["name"]}:${key['color']}`]: `${key["name"]}`; }; type tests = [ Expect< Equal<TransformedFruit, { "apple:red": "apple"; "banana:yellow": "banana"; "orange:orange": "orange"; }> >, ];
-
해결됨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union 기준으로 나누기 위해 key값을 특정 프로퍼티로 정의해서 풀어 보았습니다.
type Fruit = | { name: "apple"; color: "red"; } | { name: "banana"; color: "yellow"; } | { name: "orange"; color: "orange"; }; type TransformedFruit = { [key in Fruit as key["name"]]: `${key["name"]}:${key["color"]}`; }[Fruit["name"]]; type tests = [ Expect< Equal<TransformedFruit, "apple:red" | "banana:yellow" | "orange:orange"> >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연습으로 익히는 고급 타입스크립트 기술
오 오랜만에 정답을 맞췄습니다
interface FruitMap { apple: "red"; banana: "yellow"; orange: "orange"; } type TransformedFruit = { [key in keyof FruitMap]: `${key}:${FruitMap[key]}`; }[keyof FruitMap]; type tests = [ Expect< Equal<TransformedFruit, "apple:red" | "banana:yellow" | "orange:orange"> > ];덕분에 typescript 재밋습니다 :)
-
미해결버그헌팅과 시나리오 모의해킹 전문가 되기
언제부터 http://192.168.x.x/secret 입력하면 자동으로 https로 계속 바뀌는데
언제부터 http://192.168.x.x/secret 입력하면 자동으로 https로 계속 바껴서 접속이 안되는데 왜그런건가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콘크리트프록시를 구현시 원본 구체를 파라메터로 받는이유
콘크리드프록시를 생성 할 때 기존 구체를 상속을 받고 오버라이딩 할 때 아래 예시와 같이 부모 메소드를 super를 통해서 호출이 가능한데요public class OrderControllerConcreteProxy extends OrderControllerV2 { private final LogTrace logTrace; public OrderControllerConcreteProxy(OrderServiceV2 orderService, LogTrace logTrace) { super(orderService); this.logTrace = logTrace; } @Override public String request(String itemId) { TraceStatus status = null; try { status = logTrace.begin("OrderController.request()"); //target 호출 String result = super.request(itemId); logTrace.end(status); return result; } catch (Exception e) { logTrace.exception(status, e); throw e; } } @Override public String noLog() { return super.noLog(); } }이렇게 super를 통해서 호출하지 않고 OrderControllerV2를 따로 new 해서 멤버 변수로 받고 그 원본 구현체를 호출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홈 화면 화살표 버튼 눌렀을때 1월에서 2월로 안 가고 3월로 갑니다 나머지 달은 잘 작동합니다.
안녕하세요 또 이렇게 질문을 해서 죄송합니다. 마지막 강의까지 다 듣고 배포까지 했는데 갑자기 홈 화면에 오른 화살표를 클릭을 하면 지금 1월 인데 누르면 3월로 이동 됩니다. 그런데 1월에서 2월 넘어갈때만 그래요 뒤로 가는건 잘 작동합니다. 홈 강의 다시 보고 틀린거 있나 확인했는데 못 찾아서 이렇게 연락드려요 https://github.com/jeain/Diary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Authority 엑터 질문
게임에 있는 카드보드 캐릭터로 볼때 리슨서버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는 Authority를 가진 엑터이고 이 리슨서버에 접속된 클라의 입장에서 봤을때 이 엑터(햔재 리슨서버의 카드보드)는SimulatedProxy엑터가 되는게 맞을까요??그리고 클라의 카드보드 캐릭터는 Authority로 되던데이렇게 되면 자기 자신은 신뢰하게 되는건가요...?? 햇갈리네요 ㅜㅜ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테스트코드에서 ItemRepository 주입받을 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테스트코드 작성할 때 ItemRepository를 강의에서는 new 키워드로 직접 생성했는데, 저는 생성자 주입을 사용해보고 싶어서 시도했는데 주입이 안된건지 에러가 발생하네요 무언가 빼먹은게 있을까요?다시 직접 new 키워드로 직접 객체를 생성하면 에러 발생하지 않고 제대로 테스트실행이 됩니다. 찾아보니 Jupiter는 스프링 IoC와 작동방식이 다르고 @Autowired를 명시해주어야한다라고 하는데 저는 명시했는데도 같은 에러를 발생시키네요org.junit.jupiter.api.extension.ParameterResolutionException: No ParameterResolver registered for parameter [hello.itemservice.repository.ItemRepository arg0] in constructor [public hello.itemservice.repository.ItemRepositoryTest(hello.itemservice.repository.ItemRepository)]. at java.base/java.util.Optional.orElseGet(Optional.java:364)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96)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도메인에 정의된 메서드를 클라이언트 단에서 직접 접근할 경우 어떤 문제가 있나요?
분명 강의중에 설명해주셨던 내용같은데,,, 넓은 범위를 복습하다보니 내용을 찾기가 어려워서 잘문 남깁니다. 강의 내용에서는 주문을 생성할 때, orderService 계층의 order() 메서드를 호출하여 orderItem 을 생성하고, 이는 내부적으로 createOrder 를 다시 호출해서 디비에 저장되는 식으로 코드를 짰습니다. 그런데 문득 클라이언트 단에서(예를 들어 controller 계층에서) order.createOrder 를 직접 접근하면 어떤 문제들이 있을지가 궁금해졌습니다.예릃 들어 아래 제 테스트 코드 처럼요.이런 설계가 안좋아보이긴 하나, 마땅히 생각나는 문제가 없어서 질문드립니다.@Test @DisplayName("Direct access thru Order Domain") @Transactional @Rollback(value = false) public void directAccess(){ Item bread = new Bread( "red bean", 100, 2000, "a", BreadSize.LARGE ); itemService.createItem(bread);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rvice.createOrder(orde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createOrderItem1(bread, bread.getItemPrice(), 20); order.addOrderItem1(orderItem); }
-
해결됨[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채팅 ui 속성) 말풍선 크기 최대최소 조정 문제
말풍선의 최대 최소를 설정하고부터, 강의와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말풍선 자체의 auto layout에 크기 제한을 걸었을때➡ min, max 크기는 제한 ok그러나 전체 프레임을 줄였을때 min크기로 줄어드는게 아니고 프레임 바깥으로 잘림 말풍선+시간이 들어있는 auto layout에 크기 제한을 걸었을 때 (강의 내용)➡ 한글자만 들어있어도 항상 크기가 max로 고정그러나 전체 프레임을 줄였을때 맞춰 조정되나 min 크기 제한이 무시됨 hug와 fill을 하나씩 바꿔봤는데도 동시 적용이 안된다는 점 때문에 무엇이 문제인지 도통 모르겠네요ㅠㅠ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useInifiniteQuery queryKey 타입 지정 질문
검색 결과를 인피니트 스크롤로 바꾸던중에기존에 getSearchResult에서 queryKey 타입을QueryFunction을 이용해서 지정해주셨는데pageParam의 타입도 지정하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아니면 위와 같이 타입 지정을 해줘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게임 엔진을 지탱하는 게임 수학
실습 실행 오류 질문
3-1 깃허브 코드를 받고비쥬얼 스튜디오 커뮤니티 2022와 CMake를 설치하고 CMake-VS-16-2022.bat을 실행해 보았지만 Project 파일이 생성되기만 하고 안에 내용은 생성되지 않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k-fold 작동방식에 관한 질문입니다.
dt_clf = DecisionTreeClassifier(random_state=156) skfold = StratifiedKFold(n_splits=3) n_iter=0 cv_accuracy=[] # StratifiedKFold의 split( ) 호출시 반드시 레이블 데이터 셋도 추가 입력 필요 for train_index, test_index in skfold.split(features, label): # split( )으로 반환된 인덱스를 이용하여 학습용, 검증용 테스트 데이터 추출 X_train, X_test = features[train_index], features[test_index] y_train, y_test = label[train_index], label[test_index] #학습 및 예측 dt_clf.fit(X_train , y_train) pred = dt_clf.predict(X_test) # 반복 시 마다 정확도 측정 n_iter += 1 accuracy = np.round(accuracy_score(y_test,pred), 4) train_size = X_train.shape[0] test_size = X_test.shape[0] print('\n#{0} 교차 검증 정확도 :{1}, 학습 데이터 크기: {2}, 검증 데이터 크기: {3}' .format(n_iter, accuracy, train_size, test_size)) print('#{0} 검증 세트 인덱스:{1}'.format(n_iter,test_index)) cv_accuracy.append(accuracy) # 교차 검증별 정확도 및 평균 정확도 계산 print('\n## 교차 검증별 정확도:', np.round(cv_accuracy, 4)) print('## 평균 검증 정확도:', np.mean(cv_accuracy)) 안녕하세요 선생님. k-fold 작동방식에 관한 질문이 있어 글 남깁니다. 전체 데이터셋에서 테스트셋을 제외하고, k개의 데이터셋으로 나누어 학습과 검증을 k번 반복한다. 그리고, 교차 검증 최종 평가는 k번의 학습과 검증에서의 평가지표를 평균낸다. 정도로 이해하였습니다. 여기서 저의 궁금점은 다음과 같습니다.k번의 학습과 검증을 반복하면서 가장 좋았던 iteration의 모델을 최종 모델로 가져가는것인지, 아니면 k번의 학습을 통한 모델의 파라미터들을 평균을 내어 최종 모델을 새로 구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최종 평가지표는 k번의 학습과 검증에서의 평가지표 평균이 아닌, 테스트셋에 대한 평가지표가 더 적당하지 않은지 궁금합니다.위 코드에서처럼 for문 안에 fit을 통해 모델 학습을 시킬 때, 이전 iteration에서의 모델 학습과는 전혀 연관되지 않게 새로 학습을 시작하는것인지 아니면 이어서 학습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