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강의 수강 전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저는 AI 전공자인데 자연어처리쪽은 거의 다뤄본 적이 없어서 관련 강의를 찾고있습니다.현재 특정 산업 특화 챗봇 서비스 개발이 필요한데 강사님의 강의가 가장 적합해 보여서 문의드립니다.해당 강의 수강후 특정산업에 관련된 설계문서, 표준문서 현장 문제점 등을 기입한 PDF 등의 정보에 특화시킬 수 있는 챗봇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을까요?(소수의 학습데이터)또한, GPT 기반 모델을 오프라인 환경에서 구동할수도 있을까요?? 이상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jsp파일 관련 에러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모든 jsp 파일 첫 줄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나는데 구글링을 해보니 자신이 사용할 톰캣을 facets에 추가해주면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제가 수업때 배운내용은 스프링 컨테이너 안에 이미 톰캣이 내장되어있는데 제가 따로 다운 받아두었던 톰캣을 사용해도 되나? 가 궁금합니다! Description Resource Path Location TypeThe default superclass, "javax.servlet.http.HttpServlet", according to the project's Dynamic Web Module facet version (2.4), was not found on the Java Build Path. new-form.jsp /servlet/src/main/webapp/jsp/members line 1 JSP Problem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인캡슐레이션과 멀티플렉싱
TCP 관련해서 공부하다가 문득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 멀티플렉싱과 디멀티플렉싱의 개념이 모호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오류
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오류가 발생하는데 boards에서 수정하기, 상세페이지를 들어갈 때는 문제가 없다가 수정하기, 상세페이지 안에서 f5를 누르면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어떤게 문제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ESXi 가상 인프라 구축과 보안 솔루션을 활용한 이상징후 탐지 모니터링
ESXi의 구성이 이해가 안갑니다
강의 중 진행된 내용을 기반으로 각 구성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ESXi host가 저희가 구동한 전체 ESXi환경이고VM은 말그대로 저희가 ESXi올려둔 VM으로 이해했는데요,포트 그룹과 업링크 포트 그룹과, 스위치가 각각 무엇이 다른지 너무 혼란스럽습니다.1) 각 역할과 관계가 궁금해요.첫번째 그림에서는 가장 위에도 vNIC라는 것이 나오고 가장 아래에 Physical Switch와 연결된 vmnic가 있습니다. 여기서 저희가 ESXi를 가상으로 구동중인데도 2) 왜 물리 스위치가 나온건지, 3) vNIC와 vmnic의 차이도 모르겠습니다.이렇다보니 4) 업링크 포트 그룹 위에 포트 그룹이 있는건지, 도대체 이것들이 5) 스위치랑은 어떤 관련이 있는지 혼란스럽습니다.강의 자료에서는 또 6) vmnic와 vmknic가 나오는데 이것은 또 첫번째 그림 중 어떤 NIC와 겹치는 것인가요?질문이 많은데 그림 자체를 이해 못해서 생기는 질문 같아서,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응답 시 DTO에 Entity를 그대로 노출해도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저는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반환할 때 Entity를 그대로 반환하면 안 되고 DTO로 변환 후 반환해야 한다고 해서 @Service 단에서 MapStruct을 이용하여 항상 DTO로 데이터가 반환되게끔 구현했습니다.이번에 querydsl로 데이터를 DTO를 이용하여 조회하게 되면서QStoreDto 클래스의 Member 참조형과QStore 클래스의 Member 참조형 이 일치하지 않아 에러가 발생하고 있습니다.제가 궁금한 것은 아래 두 개 중에 어떤 방식으로 구현을 하는 것이 맞는지(?) 효율적인지 궁금합니다. Entity를 절대 외부로 반환하지 말고 .select(Qstore) 로 조회하고 service 계층에서 dto로 매핑 후 리턴DTO 내부에 Entity 클래스를 사용 후 그대로 외부로 반환 (Response DTO 클래스 내부 Entity는 외부로 노출되어도 괜찮은가요) 감사합니다. ==== 코드도 같이 첨부드립니다! ==== Store Dto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StoreDto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MemberDto member; // Entity를 반환하지 않기 위해 DTO 클래스로 반환 @Builder(toBuilder = true) @QueryProjection public StoreDto(Long id, String name, MemberDto member) { this.id = id; this.name = name; this.member = member; } } Store Entity@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Store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Member member; @Builder(toBuilder = true) public Store(Long id, String name, Member member) { this.id = id; this.name = name; this.member = member; } } // QStoreDto.member = MemberDto // QStore.member = Member jpaQueryFactory .select(new QStoreDto(store.id, store.name, store.member)) .from(store).fetch();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3 프로그램 작동원리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질문이 총 2가지 인데요.http://localhost:8080/front-controller/v3/members/new-form 이 url을 호출하게 되었을 때 FrontControllerServletV3 클래스가 생성되는 것 까지는 이해 할 수 있는 데 그 이후에 service 매서드가 자동적으로 실행이 되는 건가요?마지막 html 응답을 하는 부분에서 RequestDispatcher dispatcher = request-getRequestDispatcher (viewPath); dispatcher. forward (request, response);이렇게 하는 데 viewPath 경로의 jsp 파일에 request랑 response를 주면 어떤 과정을 통해 화면에 html이 보이게 되는 것인 지 잘 모르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forward가 내부적으로 서버에 정보를 전달한다고 이해를 했는데 그렇게 되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은 누가 하는 것인지 이해가 잘 안돼서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연결리스트 Remove 관련 질문입니다.
public void Remove(Room<T> room) { if (room == Head) { Head = Head.Next; Head.Prev = null; } else if (room == Tail) { Tail = Tail.Prev; Tail.Next = null; } else { room.Prev.Next = room.Next; room.Next.Prev = room.Prev; } Count--; } 제가 구현한 Remove는 이렇습니다.강의에서 room.Prev 와 room.Next 의 null 유무를 체크하던데, 여기서 이해가 안 되어 질문드립니다. 1, 2, 3, 4, 5의 경우라고 가정해보면1은 head, 5는 tail, 이를 삭제하려고 할 경우 앞의 두 조건문에서 걸립니다.나머지의 2, 3, 4 를 가정해보면 이 노드들은 필히 Next 와 Prev가 존재합니다. AddLast를 보더라도 Tail의 next와 newRoom의 Prev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이 존재하니 말이죠. 그러니 이를 굳이 조건절에서 검증해야 할 필요가 있나?가 궁금합니다. 또 head, tail 조건에서도 Head.Prev = null, Tail.Next = null 을 하지 않으면 remove의 조건을 정확히 충족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어찌됐든 접근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게 이론적으로 삭제와도 같으니깐요. null 처리를 안 할 경우 만약 Head.Prev를 하게 되면 삭제했던 노드를 다시 호출할 수 있게 된다고 봅니다.
-
미해결작정하고 장고! Django로 Pinterest 따라만들기 : 바닥부터 배포까지
53강 disallowedhost
aws로 진행중입니다. 53강 마지막 부분에서 nginx컨테이너 만들고난 후에 사이트 접속하니 위와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settings.py 의 allowed_hosts는 [*]로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강사님과 다르게 한 점은 aws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ip 연결한 것 이외에는 없습니다.ㅠㅠ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index.html 오류 원인이 뭔가요?
프로젝트환경설정 파트에서 resources/static/index.html 이경로에 교수님이랑 똑같은 코드를 복붙했는데 저런 오류가 뜹니다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bottomInset 관련 질문 있습니다~
선생님~ 위 코드에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bottomInset 변수에 할당되는MediaQuery.of(context).viewInsets.bottom 는 프레임워크단에서 값의 변화가 있을때마다 꾸준히 값을 injection 해주는 것인가요? print로 찍어보니 bottomsheet가 올라오는 동작 중에도 지속적으로 값이 찍히더라구요. HomeScreen위젯(stateFul)에서 어떻게 `final bottomInset`의 변화를 감지해서 다시 ScheduleBottomSheet(Stateless) 를 빌드 할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Calendar위젯처럼 HomeScreen위젯(stateFul)에서 ondaySelected함수를 인자로 넘겨받아서 setState가 실행되는 것도 아닌데, build가 되면서 bottom페딩이 실시간으로 적용되는게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도움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Java 마이크로서비스(MSA) 프로젝트 실습
wmi exporter - prometheus 연동 실패
prometheus 와 WMI exporter 연동이 왜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global: scrap_interval: 15s evaluation_interval: 15s scrape_configs: - job_name: "prometheus" static_configs: - targets: ["localhost:9090"] - job_name: "windows" static_configs: - targets: ["192.168.0.101:9182"]위와같이 제 pc의 ip를 192.168.0.101로 설정했습니다.cmd창에서 확인한 것입니다.PS D:\study-workspace\springBoot-workspace\iron-msa> ipconfig Windows IP 구성 이더넷 어댑터 vEthernet (Default Switch):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2609:80c8:ea62:2e07%31 IPv4 주소 . . . . . . . . . : 192.168.16.1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40.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이더넷 어댑터 이더넷: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f3d1:5994:1b9d:5bf8%9 IPv4 주소 . . . . . . . . . : 192.168.0.101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55.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192.168.0.1 연결별 DNS 접미사. . . . : 이더넷 어댑터 vEthernet (WSL): 연결별 DNS 접미사. . . . : 링크-로컬 IPv6 주소 . . . . : fe80::a35b:8530:2f6d:4eb9%38 IPv4 주소 . . . . . . . . . : 172.18.0.1 서브넷 마스크 . . . . . . . : 255.255.240.0 기본 게이트웨이 . . . . . . : 아래는 혹시 ip를 잘못지정한 것일까봐 확인한 것입니다.도와주실 수 있나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인터셉팅 라우트 (.)i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children 에 해당하는 page.tsx에서 버튼을 클릭해서 i/flow/login 으로 이돌할 때children => (beforeLogin)/i/flow/login/page.tsx modal => @modal/i/flow/login/page.tsx 이렇게 같이 바뀌어야 하는데@modal/(.)i 에게 인터셉트! 당해서 children은 주소가 변경되지 않고 @modal(패러랠 라우트)만 이동하게 되는걸로 이해하면 될까요?(.)i 가 children 에게 일어날 라우팅을 가로챘다 라고 생각하는게 맞는걸까요?
-
해결됨[Lv.1] iOS 17 앱 개발 기초 - SwiftUI로 시작하기
VStack으로 프리뷰 생성
안녕하세요 강사님 !Frame 강의중에 강의처럼 VStack을 추가하여도 새로운 프리뷰가 생기지 않고 그냥 밑에 글이 추가가 됩니다.제가 무언가를 놓친걸까요..?? ㅜㅜ xcode 버전은 15.0.1입니다 !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테스트케이스는 다 맞는데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arr[51][51]; int visited[51][51]; vector<pair<int, int>> v; int dy[] = { -1, 0, 1, 0 }; int dx[] = { 0, 1, 0, -1 }; int T, M, N, K; int x, y; int t = 1; int cnt = 0; void DFS(int _y, int _x) { visited[_y][_x] = t; for(int i=0; i<4; ++i) { int ny = _y + dy[i]; int nx = _x + dx[i]; if(nx < 0 || ny < 0 || nx >= M || ny >= N) continue; if(visited[ny][nx] == t) continue; if(arr[ny][nx] == 0) continue; DFS(ny, nx); }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ptr); cout.tie(nullptr); cin >> T; for(int i=0; i<T; ++i, ++t) { cnt = 0; cin >> M >> N >> K; for(int j=0; j<K; ++j) { cin >> x >> y; v.push_back({x, y}); arr[y][x] = 1; } for(int k=0; k<v.size(); ++k) { tie(x, y) = v[k]; if(visited[y][x] == t) continue; if(arr[y][x] == 0) continue; DFS(y, x); ++cnt; } v.clear(); cout << cnt << '\n'; } return 0; } 안녕하세요. 강의 안보고 한번 풀어봤는데요. 테스트 케이스는 다 맞는데 어디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ㅠ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질문
혹시 이 강의에서 binary search 에 대해서도 가르쳐주시나요 ?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패러랠 라우트에서 404 가 발생한 이유를 제가 재대로 이해했는지 궁금합니다.
1:16 에서 not found.tsx가 보이는 이유는@폴더명으로 만든 슬롯이 layout 에서 props로 값이 들어와야 하는데@modal/i/flow/login 으로 page.tsx가 이동해버려서layout에서 props로 가져올 modal 값이 없어져 404가 뜨는것이고, 메인 페이지에서는 모달이 필요 없기에 default.tsx를 만들어서 해결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기본편)
자바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자바로 공부하고 있는 학생인데, 이 강의는 자바스크립트를 기준으로 공부가 진행되더라구요. 자바를 공부하는 사람이 이 강의를 봐도 괜찮나요?아니면 실현하는 코드가 완전히 다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자바
예를 들면 binary search ( int goal ) 이런건 자바 알고리즘 과목을 배워야 알 수 있는건가요? 이것과 관련된거는 자바 기초, 기본편에서는 안 다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손에 익는 Next.js - 공식 문서 훑어보기
generateStaticParams에 대하여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강의 중에선 generateStaticParams에 관하여 다루진 않는 것 같아서혼자서 공부중인데 그럼에도 여전히 궁금하고 확실하게 이해되지 않는 몇가지가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기존 Next12에서 SSG(정적페이지 Pre-Rendering)을 Next13에서는 generateStaticParams로 대체 된 것이 맞을까요? (동적라우팅페이지 포함) generateStaticParams 를 이용하여 증분정적생성(ISR) 형식으로 배포하려면 기존 fetch 옵션에 동일하게 { next: { revalidate: 60 } }를 추가해주면 되는게 맞을까요?Next12에서는 데이터를 패칭한 정적페이지를 미리 생성해놓음으로서, 유저에게 빠른 속도로 페이지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공부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Next13 이후부터는 서버 '컴포넌트' 단위의 개발을 지향하는 듯 한데 generateStaticParams을 이용하여 개발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단지 Next13에서 정적페이지 생성을 위한 함수를 남겨둔 것이라고만 이해하면 좀 쉬울까요? 서버 컴포넌트는 generateStaticParams로 build하는 페이지에선 사용할 수 없는 것일까요?저는 아직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해본 적이 없는 주니어 개발자입니다. 보통 현업에서 동적라우팅 SSG 페이지를 대량으로 생성하여 배포하는 경우가 많을까요? 보통 어떤 경우에 많이 사용하실까요? 바쁘실텐데 질문이 많아 정말 죄송합니다 ㅠㅠ!날이 많이 추워졌는데 건강에 유의하셨으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