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DLQ 재시도 로직 처리후 DLQ에 unacked 1건이 남는거에 대해서
안녕하세요.예시 학습 중에 DeadLetterQueue 수동 재시도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http 호출 이후에 추가적으로 DLQConsumer가 호출되지는 않는데, 처리 후 RabbitMQ 콘솔 확인해보니 DLQ에 unacked 한 건이 남아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DLQConsumer에서 정상적으로 메시지 소비했으면 마찬가지로 ack 처리 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싶은데, DLQ에 unacked 상태로 남기는게 의도된 경우가 있을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order_completed_queue에서는 모두 처리되서 메시지가 보이지 않습니다. 예시 코드@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DLQConsumer { private final RabbitTemplate rabbitTemplate; @RabbitListener(queues = RabbitMQConfig.DLQ) public void process(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DLQ Message Received: " + message); try { String fixMessage = "success"; rabbitTemplate.convertAndSend( RabbitMQConfig.ORDER_EXCHANGE, "order.completed.shipping", fixMessage ); System.out.println("DLQ Message Sent: " + fixMessage); } catch (Exception e) { System.err.println("### [DLQ Consumer Error] " + e.getMessage()); } } }
-
미해결고성능 JPA & Hibernate (High-Performance Java Persistence)
해당 내용에 대한 내용 요약
Hibernate Connection Lifecycle 수업은 해당 내용을 이해가 안되서 몇번 봤지만 결론적으로 디폴트 설정은 save할때 마다 오토커밋 때문에 성능저하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해당 설정 hibernate.connection.provider_disables_autocommit=true 을 통해서 오토커밋을 방지하면 성능이 향상되는걸로 이해 하였고, 일관성 있는 트렉젝션 처리로 @transactional로 관리 한다,, 라고 이해 하였습니다 맞을까요,,? 혹시 해당 내용이 아니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덕분에 공부는 많이 되네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코드
혹시 각 섹션마다 다 만들어진 프로젝트가 없을까요..? 특정 섹션은 아는 부분이라서 코드만 읽고 빠르게 넘어가고 싶어요
-
해결됨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6분23초 MainPage 코드와 자료 코드 불일치 관련 문
안녕하세요, 강사님.React Router 설정 강의 중 6분 23초에 사용하신 MainPage 코드와 강의 자료에 제공된 MainPage 코드의 작성 방식이 서로 달라서 문의드립니다.영상에서는 함수 선언식(function MainPage …)을, 자료에서는 화살표 함수(const MainPage = …) 형태로 소개되어 다소 혼란이 있습니다. 혹시 두 방식 중 특별히 권장하시는 것이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문법 스타일 차이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React나 Spring Boot의 버전 차이에 따라 코드 작성 방식이 달라지는 부분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앞으로는 강의 영상 기준의 코드를 우선 따라 작성해도 괜찮을지 안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바쁘신 와중에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답변 기다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earDown 순서
안녕하세요 강의 중반에OrderServiceTest 할 때 작성하셨떤 tearDown() 에서 @AfterEach void tearDown() { order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productRepository.deleteAllInBatch(); orderRepository.deleteAllInBatch(); } 위의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왜 테스트가 깨지나요?어차피 매번 수행한 후에 데이터를 다 지우는 것은 동일하잖아요. fk 때문에 지워지지 않는 이유에서 그런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Builder 생성자 private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Product 에서 생성자에 @Builder를 붙이시고 private 으로 선언한 이유에 대해서 알 수 있을까요? 결국 테스트에서도 @Builder 로 바로 사용하듯이 밖에서도 @Builder 를 사용할 수 있으니 private 으로 하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해서입니다 뭔가 의도로는, @Builder 생성자를 내부에서만 사용할 수 있게 private 으로 하고 of 와 같은 정적 생성자에서만 build()를 사용해서 밖에서는 정적 생성자로만 객체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생각했거든요. 미리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DisplayName gradle / intellJ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DisplayName 을 섬세하게' 강의에서요! 설정 > Run tests using > gradle(-> intellJ) 로 변경하면 displayName 으로 뜬다고 하셨는데 기존의 gradle 로 하더라도 동일한 것 같은데 뭐가 다른가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tailwind css 오류
postcss.config.js는 설정할 필요 없나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tailwind css 오류
'tailwind'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배치 파일이 아닙니다.떠서 수동으로 tailwind.config.js 파일 추가하고 index.css랑 기타 설정하고 실행했더니 ERROR in ./src/App.css (./node_modules/css-loader/dist/cjs.js??ruleSet[1].rules[1].oneOf[5].use[1]!./node_modules/postcss-loader/dist/cjs.js??ruleSet[1].rules[1].oneOf[5].use[2]!./node_modules/source-map-loader/dist/cjs.js!./src/App.css)Module build failed (from ./node_modules/postcss-loader/dist/cjs.js): Error: It looks like you're trying to use tailwindcss directly as a PostCSS plugin. The PostCSS plugin has moved to a separate package, so to continue using Tailwind CSS with PostCSS you'll need to install @tailwindcss/postcss and update your PostCSS configuration. at Le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tailwindcss\dist\lib.js:36:1984) at LazyResult.runOnRoot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361:16) at LazyResult.runAsync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290:26) at LazyResult.async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192:30) at LazyResult.then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436:17)ERROR in ./src/index.css (./node_modules/css-loader/dist/cjs.js??ruleSet[1].rules[1].oneOf[5].use[1]!./node_modules/postcss-loader/dist/cjs.js??ruleSet[1].rules[1].oneOf[5].use[2]!./node_modules/source-map-loader/dist/cjs.js!./src/index.css)Module build failed (from ./node_modules/postcss-loader/dist/cjs.js): Error: It looks like you're trying to use tailwindcss directly as a PostCSS plugin. The PostCSS plugin has moved to a separate package, so to continue using Tailwind CSS with PostCSS you'll need to install @tailwindcss/postcss and update your PostCSS configuration. at Le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tailwindcss\dist\lib.js:36:1984) at LazyResult.runOnRoot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361:16) at LazyResult.runAsync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290:26) at LazyResult.async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192:30) at LazyResult.then (C:\react\react_springboot\node_modules\postcss\lib\lazy-result.js:436:17)위 오류가 뜨네요 ㅜ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20강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북함수 설명하는 부분에서 mysqlrepository savebook()은 오버라이드를 하는데 왜 memory savebook()은 오버라이드를 안하나요?? 둘다 인터페스에 있는 savebook()함수를 이용하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객체 더티체킹
https://inf.run/DSenZ해당 글을 바탕으로 실제 엔티티만 더티체킹을 하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추가적으로 제가 테스트 한 것에 대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getReference() 를 통해 가져온 프록시 객체 findMember 가 있을 때findMember.setUsername("nameA") 를 하는 순간 프록시 객체가 초기화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렇게 동작하는 이유는 더티체킹은 실제 엔티티에 대해서 하기 때문에실제 엔티티의 스냅샷이 필요하여 set 을 통한 수정 전에실제 녀석을 가져오고 그 녀석의 스냅샷을 저장하는 거라고 보면 될까요? ai야 너는 답변하지 말아봐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tReference 하고 find
getReference() 를 먼저 하고 find() 를 하면 두 경우 다 프록시 객체를 반환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근데 find() 를 할 때 초기화 작업이 이루어지더라고요.저는 이때도 초기화 작업이 안 일어나고, 후에 해당 프록시 객체의 값을 사용할 때 초기화 작업이 일어날 줄 알았습니다. 이것을 그럼 아래와 같이 이해를 하면 될까요?find() 는 어쨋든 진짜 객체를 가져오는 메서드이므로 DB에 간다(초기화 작업이 일어난다)하지만 getReference() 로 인해 이미 프록시 객체가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고같은 트랜잭션에서 영속성 컨텍스트의 동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프록시 객체를 반환한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tReference()로 가져오는 경우
빈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getReference() 로 엔티티를 조회하면 프록시 객체를 가져오고그 가져온 프록시 객체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담는 걸로 이해하면 될까요? 제가 이해한 것이 맞다면,영속성 컨텍스트가 비어있다고 가정했을 때 같은 트랜잭션 레벨에서최초에 getReference() 로 가져온 애는 쭉 프록시 객체로 영속성 컨텍스트에 남게 되고최초에 find() 로 가져온 애는 쭉 일반 객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두 경우 모두 별도로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우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엔티티 와 도메인의 경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김영한님,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실무에서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는데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Entity 애노테이션이 달린 JPA Entity를 Domain처럼 비즈니스 로직을 넣고 사용하는 것과@Entity는 순수 DB 매핑만 하고 도메인 객체는 별도로 분리해서 설계하는 방법 두가지가 있는 것 같다고 생각이 듭니다.전자는 JPA의 기능들 (영속성 컨텍스트, Dirty Checking)을 잘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후자는 JPA 종속성 제거등의 이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강의에서는 주로 비즈니스 로직을 넣고 사용하는 형태로 (changeTeam() 메서드 등) 개발을 했었다고 생각됩니다.두 방법 다 장점과 단점이 있을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주로 어떤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해서 개발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15강 질문
예외처리에서 boolean구문에 ID는 request.getId()로 받지만 왜 name은 getName()으로 안받고 그냥 name으로 받는 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객체타입은 값타입인가요? 엔티티타입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의에서,값 타입에서, 기본타입은 == 비교를 해도되는데,그 외에 객체타입이나 임베디드타입은 equals를 재정의해서 사용하여 비교해야한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앞서 강의에서도 객체타입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객체타입은 엔티티 타입으로 분류가 되나요? 아니면 값타입으로 분류가 되나요?엔티티 타입인거 같기도하고.. 값타입인거 같기도해서.. 어떤것으로 분류되는것인지 이유가 궁금합니다...ㅠㅠ값타입은 기본값타입, 임베디드타입, 컬렉션값타입이 있다고 앞선 강의에서 말씀해주셨는데, 그럼 강의에서 나오는 Address 객체타입은 어디에 속하는것인가요 ..?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10강 mysql 연결오류
맥북으로 다시 복습중인데 connection test를 누르면 DBMS: MySQL (no ver.) Case sensitivity: plain=mixed, delimited=exact[28000][1045] Access denied for user 'root'@'localhost' (using password: YES). 이 오류가 계속 뜹니다. mysql 서버를 재시작 하기도 해보고 비밀번호도 다시 변경 해보기도 하는데 안되네요 ㅠㅠ 왜 이럴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6강 복습중에 질문 있습니다
GetAPI를 만들때는 dto에 생성자를 만들었는데왜 post때는 생성자를 만들지 않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36:40 초 부근에 tearDown 없어도 통과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DisplayName("신규 상품을 등록한다. 상품번호는 가장 최근 상품의 상품번호에서 1 증가한 값이다.") @Test void createProduct() { // given Product product = createProduct("001", HANDMADE, SELLING, "아메리카노", 4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 ProductCreateRequest request = ProductCreateRequest.builder() .type(HANDMADE) .sellingStatus(SELLING) .name("카푸치노") .price(5000) .build(); // when ProductResponse productResponse = productService.createProduct(request); // then assertThat(productResponse) .extracting("productNumber", "type", "sellingStatus", "name", "price") .contains("002", HANDMADE, SELLING, "카푸치노", 5000); } @DisplayName("상품이 하나도 없는 경우 상품을 등록하면 상품번호는 001 이다.") @Test void createProductWhenProductIsEmpty() { // given ProductCreateRequest request = ProductCreateRequest.builder() .type(HANDMADE) .sellingStatus(SELLING) .name("카푸치노") .price(5000) .build(); // when ProductResponse productResponse = productService.createProduct(request); // then assertThat(productResponse) .extracting("productNumber", "type", "sellingStatus", "name", "price") .contains("001", HANDMADE, SELLING, "카푸치노", 5000); } private Product createProduct(String productNumber, ProductType type, ProductSellingStatus sellingStatus, String name, int price) { return Product .builder() .productNumber(productNumber) .type(type) .sellingStatus(sellingStatus) .name(name) .price(price) .build(); }강사님 화면에서는 tearDown 메소드를 추가해야지 두 메소드 모두 통과하는 것으로 나오는데, 저는 tearDown 메소드 작성 전에도 둘다 통과로 나오던데.. 뭐가 잘못된걸까요??
-
미해결고성능 JPA & Hibernate (High-Performance Java Persistence)
섹션1 - Github Repository 실습 관련
Github Repository에서 Master branch를 내려받고 강의대로 mvn clean test-compile 을 실행하면 java: cannot find symbol 에러가 발생하네요.m1 맥 환경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cannot find symbol symbol: class Category_ location: package com.vladmihalcea.hpjp.hibernate.query.recursive.category.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