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socket 통신과 http 통신의 차이점
안녕하세요강의를 다 듣고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Socket통신과 HTTP 통신이 다르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그리고 Socket의 종류에는 TCP와 UDP가 있다는 것도 알겠습니다. 이렇게 이해하고 보니 의문점이 생겼습니다. 저희가 웹 사이트를 이용할 때에는 Socket 통신이 아니라 HTTP 통신인 것 같은데 그러면 웹 사이트를 이용할 때에는 TCP나 UDP를 사용하지 않는 건가요?그런데 저희가 사용하는 인터넷은 TCP/IP를 사용한다고 알고 있는데 HTTP 통신에서 TCP를 사용하지 않는다? 말이 안되는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저희가 인터넷을 사용할 때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할텐데, 만약 인터넷으로 메일을 보낸다고 가정하면 http 프로토콜과 smtp 프로토콜을 동시에 사용하는 건가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L3 스위치
안녕하세요.현재 L3 스위치 강의를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강의를 들어도 L3 스위치와 라우터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그냥 L2 스위치가 점차 발전하면서 라우터의 기능 일부를 사용할 수 있는 장비가 L3 스위치인가요?그래서 'Router가 L3 스위치 보다 조금 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Gateway 관련 설명
안녕하세요. 강사님현재 L3 쪽 챕터 강의를 듣고 있는데 갑자기 Gateway 라는 용어들이 나오기 시작하는데Gateway 에 대해서 좀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으셨던 것 같습니다.혹시 Gateway 를 좀 상세히 다루는 챕터가 있을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현한다고 하면 서버 구성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만약 아프리카 같은 곳에서 로그인이나 이런 일반적인 로직 부분은 tcp로 처리하고, 스트리밍은 udp로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그러면 서버를 스트리밍 서버(UDP), 일반 로직 서버(TCP) 이렇게 따로 운영하나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MSS와 MTU 계산 관련 질문드립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들어만 본 개념을 정확하게 알아가고 모르는 개념에 대해서 새로 알아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MSS = 1460 byte, MTU = 1500 byte라는 결과를 잘 외우기 위해서 TCP/IP 프로토콜의 헤더 크기를 사용해서 외워보려고 자료를 찾아보았는데요,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network-layer/what-is-mss/IP 레이어의 MTU를 잴 때는 헤더 크기를 포함시키는데, TCP 레이어의 MSS를 잴 때는 헤더 크기를 제외시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왜 한쪽에서는 포함하고 한쪽에서는 제외하는지가 궁금했습니다! 일단 외우기 위해서 'TCP와 IP가 같이 엮이다 보니 두 헤더 모두 포함한 MTU와 두 헤더 모두 제외한 MSS가 중요한가보다'고 외우려고 하는데, 혹시 이렇게 이해하면 틀린 부분이 있을까 걱정되어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섹션 2-1 질문
섹션 2의 첫 번째 강의 11분 3초경에 전송계층에서 host to host라고 하셨는데네트워크 계층이 양단에 논리적 주소로 각 호스트를 연결해 주기에 host to host라고 설명하고전송계층에서는 포트 번호로 상위 계층의 서비스를 나누기 때문에 종단간 연결(end to end) 혹은 프로세스 간 연결(process to process)로 기억하고 있어 오타인지 제가 잘못 알고 있는지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개념과 구현의 관점에서 계층별 데이터 단위와 크기.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계층별 데이터 단위와 최대 크기에 대해서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Frame, Packet, Segment는 개념과 구현관점에서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나요??강의 설명에서 계층별 데이터 단위가L1~L2 -> FrameIP -> PacketTCP -> Segment 라고 설명해주셨는데 L2는 개념이고 IP와 TCP는 구현에 해당되는 부분이잖아요그래서 개념적으로 바꾸서 이해하면 L1~L2 -> Frame L3 -> Packet L4 -> Segment라고 이해하는게 맞을까요??데이터 최대 크기(MTU, MSS)는 개념이 아니라 구현부분인가요??이후 강의에서(IP 헤더 형식) 단편화 내용에서 네트워크간 패킷 mtu가 달라지는 경우 쪼개야되는 상황이 있다라고 하셔서 그런데 데이터 최대 크기는 계층별로가 아닌 실체마다 다르게 정해지는걸까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문제해결 1번 문제
packet tracer ver 8.2.2.0400 사용 중입니다.문제해결 1번, Router 에서 license 설치가 안되고 telephony-service 명령어도 안보여서혹시 version 이슈일 지 아니면 제가 놓친 게 있을 지 궁금하네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완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덕분에 네트워크를 많이 이해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그동안은 막막하기만 했던 네트워크가 적어도 구글링해서 모르는 것을 알아 볼 수 있을 정도는 된 것 같습니다.추가로 질문 드립니다.어디서 봤던 것인지는 모르겠는데 넷가이버님 예정된 강의 로드맵을 본것 같거든요? 향후 강의 등록 계획이 어찌 되시는지요?출판된 책 저작권 문제로 강의 교제는 인쇄가 불가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그 출판된 책의 정보를 알려주실수 있는지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문제 해결 파일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위의 그림과 같이 user profile 팝업에서 esc 누른경우 팝업이 없어지지 않고 별도 warning 뜨고 진행이 안됩니다. 해결방안을 알수 있을까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섹션 5-1 효율적 라우팅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래 그림은 강의 내용 따라하면서 수행한 내용입니다.R0, R1, R2 에 RIP v2 적용 후R0 에서는 static으로 설정 했습니다.pc0에서 tracert 수행시 콘솔과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강의에서 보여주신것과 동일 합니다.질문: pc0 -> server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router0->router1->router2->sever로 가는 것은 확인 했는데왜 3번 보면 205.205.205.1 이 찍히나요? 여기는 205.205.205.0 네트워크니까 데이터 흐름과는 상관 없는 영역아닌지요? 원래 저의 예상은 3번 부분에 204.204.204.2 가 찍혀야 하지 않나 하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putty 사용중 네트워크 문제발생
1. 라우터1, 라우터2가 시리얼케이블로 연결되어있다2. 라우터1에 스위치1이 연결되어있다3. 스위치1에 PC1, PC2가 연결되어있다.4. PC1과 PC2는 네트워크가 다르다PC1 - 204.200.10.2/24, 게이트웨이 204.200.10.1/24PC2- 204.200.20.2/24,게이트웨이 204.200.20.1/24 스위치에서는 VLAN을 잘 나누었고, 트렁크까지 완료했음.라우터에서는 스위치와 연결된 물리포트를 NO SHUTDOWN으로 열어주었고, 포트를 가상화하여 서브인터페이스를 구성하였음. (ENCAPSULATION DOT1Q)그러나 문제가 발생함(PC1에서 PC2로 핑 가지않음, PC2의 게이트웨이까지는 핑 도달,PC2에서 PC1로 핑 가지않음, PC1의 게이트웨이까지는 핑 도달) 이런경우의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ㅠㅜputty를 이용해서 네트워크를 구성해보았는데..그 이상 진행이 되질 않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DNS와 트랜잭션 ID
강의에서 언급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DNS 캐시서버는 UDP로 통신하기 때문에 여러 요청이 왔을 때 요청을 구별하기 위해 트랜잭션 ID를 붙혀서 클라이언트를 구별한다고 공부했습니다. 그런데 트랜잭션 ID가 없어도 요청받은 IP주소와 port번호를 보고 응답을 해주면 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들었습니다.트랜잭션 ID가 필요한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추가적으로 만약 DNS 통신을 TCP라고 가정했을 때 TCP도 결국엔 IP 주소와 port번호를 보고 데이터를 응답해 줄텐데 TCP는 연결 지향형이기 때문에 괜찮다고 하더라구요.UDP, TCP 모두 IP주소와 Port보고 응답할텐데 UDP는 트랙잭션 ID가 필요하고 TCP는 괜찮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Time-wait 때문에 Client가 먼저 닫는게 좋다에 대한 질문입니다.
Client가 닫는게 좋지만, Client가 종료 응답을 안해 주는 등혹은 일이 다 끝났는데도 종료 요청을 보내주지 않는 경이런 경우만 Server가 기다리다가 닫는건가요? Server가 주도적으로 닫게 된다면?혹은 Client가 마지막 Ack를 해주지 않는다면?만약 Client가 Fin에 대한 응답을 해주지 않는다면 Server는 강제로 이 연결을 닫을 수 있는건가요? 이상입니다.오늘도 좋은 하루 되십시오. 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3 스위치와 distribution 스위치
L3 스위치도 host가 맞나요??1번이 맞다면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L3 스위치는 distibution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뒤에 강의에서 distibution 스위치는 L2 스위치라고 나오는데 L2 스위치는 또 호스트는 아니라고 하셨고.. 너무 헷갈리네요. distribution 스위치중 L3 스위치 역할을 하는 스위치가 존재하고 이 경우 distribution 스위치를 L2가 아닌 L3 스위치로 보고 호스트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DHCP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이해를 잘 한건지 아래의 대한 질문을 드리고싶습니다.1.dhcp server는 isp쪽에서 구축되어있다고 판단하면될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마지막 수업 듣기 완료 했는데 진도가 100%가 안됩니다.
37강 마지막 수업 다 들어서 마지막수업 입니다. 떴는데 진도율이 97%에서 안올라갑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time_wait 상태에 대해서
안녕하세요강의 내용에서 time_wait 상태로 인해서 서버에서 tcp 연결을 끊는 것 보다 클라이언트에서 끊는게 더 효율적이라고 하셨는데 해당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를 알면 더 좋을 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저는 위 말씀을 듣고 tcp 서버에서 먼저 연결을 끊어 서버 소켓 포트에 대해 소켓이 time_wait 상태로 존재하도록 하고 다시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하도록 했는데요, 문제 없이 연결이 되었습니다. ss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해 봐도, 해당 포트에 대해 LISTEN 상태와 TIME_WAIT 상태가 둘 다 존재하는 상태였고, 해당 time_wait이 분명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클라이언트가 계속 연결을 시도하면 연결이 잘 ESTABLISHED 되었습니다. 아마 강사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은 이 부분이 아니겠지만, 어떠한 부작용(?) 때문에 tcp 연결을 클라이언트에서 끊는게 더 좋고, time_wait 상태도 언제 문제가 되는 상황인지 더 설명을 들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네이버는 ip 주소로 접속이 안되는 이유가 뭘까요?
구글은 접속이 잘 되는데, 왜 네이버는 ip 주소로 접속이 안될까요? nslookup으로 ip를 찾으면 여러 개가 나오는데 원인을 잘 모르겠습니다.뭔가 간단한 문제인거 같은데 짐작이 안가네요. 구글링을 해보면 저만 안되는거 같기도하고..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강의자료 배경 흰색으로 만들어주세요
강의자료 배경 흰색으로 만들어주세요인쇄 시 잉크 소모가 너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