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irty checking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14분쯤에 말씀해 주신 dirty cheking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order.cancel(); 호출하면,Order의 status 변경되고, 이는 dirty cheking으로 인해 Order에 대해서 update 쿼리가 발생하고,orderitem.cancel()호출하면, Item의 stockQuantity가 변경되고, 이는 dirty checking으로 인해 Item에 대해서 update쿼리가 발생한다.기본편 및 강의 내용에 대해서 생각해보다가 이렇게 생각했는데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제로베이스부터 배우는 웹개발의 개념과 바이브 코딩
구글에드센스 velcel 상업적이용
안녕하세요.좋은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vercel 무료 티어 같은 경우 구글에드센스를 상업적 이용으로 치부하고 있어 규정에 어긋나게 되는거 같은데 다른 대안이나 방안이 있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동시성 관련 질문입니다
링크위 링크 속 질문에서 영한쌤이 아래와 같은 답변을 해줬습니다"서버가 한대만 있고, 자바(JVM)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단 하나만 구동하는 상황이면 자바 만으로 동시성 제어를 할 수 있습니다." MVC 1편 강의에서 배운 내용으로는클라이언트 요청이 들어오면 was 내에 미리 만들어진 쓰레드들이 각 요청을 받고 서블릿 코드를 실행한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서버가 한 대여도 쓰레드는 이미 여러개가 만들어져 있으므로동시에 여러 요청 처리가 가능하기에 자바만으로 동시성 제어가 안 되는거 아닌가요?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다면 지적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SCADE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Order와 OrderItem엔티티에 있는 CASCADE에 대해 기본편을 복습해도 헷갈린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em.persist(order)를 하면 CascadeType.ALL때문에 Delivery랑 OrderItem도 insert가 되는거 같은데,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OrderItem에 있는 이 부분에 CASCADE를 적어준게 아니라@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왜 Order에 있는 여기에다가 CASCADE를 적어준것일까요? 어디에다 두어도 상관없을거 같은데, 특별한 규칙이 있는것인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제로베이스부터 배우는 웹개발의 개념과 바이브 코딩
토스페이먼츠 연동하여 결제하기 오류
토스페이먼츠 연동하여 결제하기 기능 구현시 강사님의 영상과 다르게 오류가 나는데 도메인 localhost 가 실제 도메인 사용해야 한다고 합니다.이럴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영상과 실제가 너무 달라 애를 먹고 있어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로 승인(결정)하는 기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 강의 복습 중 궁금한게 생겨 여쭤봅니다 ! 도메인 설계 시 지금처럼 회원 - 주문 - 상품을 메인 도메인으로 잡지 않고회원이 회원가입, 주문 기능을 수행하는 주체이기에 회원 속에 Embedded로 주문 클래스를 값타입으로 잡아 회원 속에 넣고 회원 - 상품을 메인 도메인으로 잡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스프링부트 1 예제처럼 주문과 배송 클래스를 하나의 엔티티로 규정한 이유는 주문과 배송에서 식별자 pk 값이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한 것일까요 ?회원 도메인이 회원 가입 관련 역할만 담당하는 도메인이라서 책임 분리를 위해 주문과 배송 클래스를 다른 엔티티로 규정했는지 라는 의문도 들었는데,엔티티로 잡아야하는 기준에 대해 여쭤보고 싶어 질문 남깁니다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 OrderItem 주문생성/취소 비즈니스로직 생성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아니요.[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주문,주문상품 엔티티 개발 강의에서 Order, OrderItem 엔티티부분에서 주문, 주문취소관련 비즈니스로직을 엔티티단에 만들었는데, 제가 기존 알고있던 개념은 서비스단에 비즈니스로직을 만드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엔티티단에 비즈니스로직을 만들어도 실무에서 허용하는 방식인건지 상황에 따라서는 기존 방식데로 서비스단에 비즈니스로직을 만드는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제로베이스부터 배우는 웹개발의 개념과 바이브 코딩
커서 유료버전 써야하나요?
현재 2주 free같은데claude3.5 3.7 4 등등 모든 버전에서 코드짜는게 안되고 Anthropic's latest models are currently only available to paid users. Please upgrade to a paid plan to use these models.(Request ID: aec9ae0d-5eb4-4514-a54e-478383ef2f0a)라고 뜹니다.Free users can only use GPT 4.1 or Auto as premium models(Request ID: 849c6230-8e63-4751-9b03-9def2bab9e86)라고 뜰 때도 있고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tegory 엔티티 계층 질문드립니다.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Category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catagory_id")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Many @JoinTable(name = "category_item",joinColumns = @JoinColumn(name = "category_id"),inverseJoinColumns = @JoinColumn(name = "item_id")) private List<Item> items = new ArrayList<>(); @ManyToOne @JoinColumn(name = "parent_id") private Category parent; @OneToMany(mappedBy = "parent") private List<Category> child = new ArrayList<>(); }이 부분에서, 카테고리의 계층? 을 표현하기위해 카테고리 엔티티를 위와 같이 하셨는데요. 여기에서@OneToMany(mappedBy = "parent") private List<Category> child = new ArrayList<>();이 부분이 무슨 의미로 사용되는지 이해가 잘 되지않습니다..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쪽이기 떄문에 mappedBy를 적어준거같은데, 해당 코드가 필요한 이유와 사용되는 목적이 무엇인지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private Category parent와 private List<Category> child = new ArrayList<>();가 어떤 연관관계가 있길래 연관관계를 맺는것인지 이해가 잘 되지않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제로베이스부터 배우는 웹개발의 개념과 바이브 코딩
저도 api로 들어왔는데 상단 메뉴에 대쉬보드가 안보입니다 ㅜ
저도 api로 들어왔는데 상단 메뉴에 대쉬보드가 안보입니다 ㅜ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정적 팩토리 메소드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의 3분 정도 쯤에 나오는 createOrder 메서드 생성 시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해 여러 질문과 답을 읽어보았는데요.의미 있는 메서드 이름 부여, 객체 생성 불필요 등 여러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그렇다면 대부분 생성자보단 정적 팩토리 메소드로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좋은 건가요? 아니면 객체 생성 시 연관관계 설정이나 복잡한 로직이 있을 때만 정적 팩토리 메소드로 만들어주는 게 좋은 건가요? 정적 팩토리 메소드 사용 이유에 어떤 기준이 있는 건지, 아님 보통 관례로 이렇게 사용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given when then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est @DisplayName("상품주문_재고수량초과") public void orderOverStock() throws 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 = createMember(); Item item = createBook("시골 JPA", 10000, 10); int orderCount = 11; //when //then Assertions.assertThrows(NotEnoughStockException.class, () -> orderService.order(member.getId(), item.getId(), orderCount)); }촬영 시점과 달리 assertThrows로 변경되며 given, when, then이 참 모호해진 것 같습니다. 제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변수 설정은 given, 메서드 호출은 when, 결과와 검증은 then에서 수행하는 것 같은데위 코드와 같은 경우는 어떻게 분리해야 할까요?when은 위와같이 비워두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자 대신 세터를 쓰는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4:26을 보시면, createOrderItem에서 모든 필드에 대해 세터를 호출하여 일일히 값을 주입합니다.다양한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경우의 수에 대해 각각 생성자를 선언해두면가독성이 상승하여 추후 유지보수에도 더 편리할것 같은데,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가 있나요?스프링 강의만 수강하고 야생형 코스를 막 시작한 입장에서, 제가 기억하는 생성자 관련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아무 생성자도 없다면 기본 생성자가 생성된다.JPA는 리플렉션을 통해 코드를 생성하기에 기본 생성자는 반드시 필요하므로, 필요하면 명시하여 생성한다.DI를 위해서 @RequiredArgsConstructor를 이용하여 final 필드를 사용하는 생성자를 생성하고, 주입받는 방식을 권장한다.생성자는 최소화하라는 다른 원칙이 존재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모듈 facets jpa추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7:13경 하신 설정이최신 intellij와 스프링부트에서도 필요한 설정인가요?어떤 기능을 하는 설정인지 궁금합니다.2025년 기준 인텔리제이에서 확인할 수 없어 여쭙습니다.
-
미해결[개정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IntelliJ IDEA 설정
톰캣 실행하면 404 에러...
이렇게 선생님이 말씀하신대로 설정했습니다. 이 후 실행하면 이렇게 뜨는데 왜그런걸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엔티티 - Item 엔티티 연관관계 설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요구사항 분석을 확인하면 '상품 등록'이 있습니다. 상품 등록은 회원이 직접 상품을 등록하는 것일텐데 도메인 모델 설계 부분에서 Member 엔티티와 Item 엔티티 간 연관관계가 없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Member 엔티티가 Item을 등록하는 기능도 있으니 Member 엔티티와 Item 엔티티 간 연관관계도 설정해주어야 하지 않나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제보] pdf내 gradle dependencies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는 이슈 제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1.프로젝트 환경설정.pdf' 강의자료내 5페이지에 있는 gradle 명령어에 오류가 있어 제보 합니다. 강의자료 5페이지에 있는 내용중 아래의 이미지에 표시한 gradle 명령어를 그대로 복사했을때 동작하지 않습니다../gradlew dependencies —configuration compileClasspath 하이픈(-) 하나가 누락된것으로 보이는데 아래와 같이 정정 요청 드립니다. :-) AS-IS./gradlew dependencies —configuration compileClasspathTO-BE./gradlew dependencies -—configuration compileClasspath
-
해결됨생성형 AI로 웹 사이트 제작부터 배포(w. Chat GPT, Cursor AI, Database)
8강 재생이 안 됩니다
8강 재생이 안 되네요! 오류인가요??
-
해결됨생성형 AI로 웹 사이트 제작부터 배포(w. Chat GPT, Cursor AI, Database)
안녕하세요! 혹시 코드 내용은 따로 안 올려주시나요??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혹시 코드 내용은 따로 안 올려주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준영속 엔티티의 기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강의에서는 사용자에게 입력받은 BookForm form의 데이터를 새로운 객체인 Book book = new Book();에 할당하고 있습니다. (5분 54초) 강의 중 '임의로 만든 엔티티이지만 식별자 pk를 가지고 있기에 준영속 엔티티이다' 라고 말씀하셨는데, 준영속 엔티티의 기준이 궁금합니다.이미 DB에 persist된 객체의 참조가 아닌 식별자 값만 공유하더라도 준영속 엔티티가 되는 것일까요 ? Book book = (Book) itemService.findOne(form.getId()); 이렇게 DB에서 참조를 직접 조회하지 않고 단순히 id값만 DB에서 가져와서 할당해도 준영속 엔티티의 기준이 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