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카프카 도커 오류
강의대로 docker-compose-single-brokey.yml 파일 작성하고 파일 안에 맨 밑에networks: my-network: external: true name: ecommerce-network 이렇게도 작성하고 아래 명령어 그대로 docker-compose -f docker-compose-single-broker.yml up -d 입력했는데 Error response from daemon: user specified IP address is supported only when connecting to networks with user configured subnets 이런 오류 가 발생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해결 방법] 스프링 부트 2.x -> 3.x 업그레이드
섹션5의 MyBatis 적용2 - 설정과 실행에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질 않아서 봤더니, MyBatis는 스프링 부트 3.x에 지원하는 버전으로 설정되어있고 현재 프로젝트 설정은 스프링 부트 2.x 이다보니 버전 충돌로 되지 않아서 과감하게 프로젝트를 3.x 대로 변경하는 삽질을 해봤습니다. #1. 먼저 3.x 에서 만든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2. 1에서 만든 프로젝트에서 gradle/wrapper에 있는 아래의 두개 파일을 복사해 옵니다.gradle-wapper.jar gradle-wrapper.properties#3. build.gradle 수정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4.5' #버전에 맞게 수정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com.example'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4. Project Structure 확인#인텔리제이에서 File -> Project Stucture 에서 Project Settings > Project : SDK 가 17 이상인지 확인#5. Gradle 동기화인텔리제이에서 했는데 잘 안되면 CLI 환경에서 아래처럼 시도#in mac chmod +x gradlew ./gradlew clean ./gradlew build#6. 5를 시도했는데도 안되면,#인텔리제이에서 File -> Invalidate Caches... 를 하고 재시도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h2 database jdbc 주소 변경
jdbc:h2:tcp://localhost/~/test는 다른 프로젝트에서 연습하고 있어서 다른 주소로 사용하려고하면 어떻게 하죠???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OrderControllerDocsTest 작성 해봤는데요. 날짜 형식이 이상하게 나와요
OrderControllerDocsTest.java@DisplayName("주문 생성 API") @Test void createOrder() throws Exception {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 .build(); LocalDateTime now = LocalDateTime.now(); given(orderService.createOrder(any(OrderCreateServiceRequest.class), any(LocalDateTime.class))) .willReturn(OrderResponse.builder() .id(1L) .totalPrice(4000) .registeredDateTime(now) .products(List.of(ProductResponse.builder() .id(1L) .productNumber("001") .type(ProductType.HANDMADE) .sellingStatus(ProductSellingStatus.SELLING) .name("아메리카노") .price(4000) .build())) .build()); mockMvc.perform(post("/api/v1/orders/new")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quest)))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jsonPath("$.code").value("200")) .andExpect(jsonPath("$.message").value("OK")) .andExpect(jsonPath("$.status").value("OK")) .andDo(document("order-create", preprocessRequest(prettyPrint()), preprocessResponse(prettyPrint()), requestFields( fieldWithPath("productNumbers").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상품 번호") ), responseFields( fieldWithPath("cod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코드"), fieldWithPath("status").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태"), fieldWithPath("messag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메시지"), fieldWithPath("data").type(JsonFieldType.OBJECT) .description("응답 데이터"), fieldWithPath("data.id").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주문 ID"), fieldWithPath("data.totalPric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주문 총 금액"), fieldWithPath("data.registeredDateTime").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주문 시각"), fieldWithPath("data.products").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주문 상품"), fieldWithPath("data.products[].id").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상품 ID"), fieldWithPath("data.products[].productNumber").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번호"), fieldWithPath("data.products[].typ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타입"), fieldWithPath("data.products[].sellingStatus").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상태"), fieldWithPath("data.products[].name").type(JsonFieldType.STRING) .description("상품 이름"), fieldWithPath("data.products[].price").type(JsonFieldType.NUMBER) .description("상품 가격") ))); } docs/index.html 에서 확인한 registeredDateTime처음에 테스트 코드 작성시에 ieldWithPath("data.registeredDateTime").type(JsonFieldType.ARRAY) .description("주문 시각"),이 부분을 JsontFieldType.STRING 으로 했더니 테스트 실패 메시지에 해당 타입이 Array 라고 해서 바꿨는데... 문서에 저렇게 나옵니다. 이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est 용 .yml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강의에서는 테스트에 사용되는 설정 파일을 main/resources/~.yml 파일을 사용하셨는데요.혹시 test 패키지에 별도의 .yml 파일을 둬서 사용하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보통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르고? 장단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강사님 의견도 궁금하구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hrows Exception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테스트마다 보통 throws Exception 으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은데, 별도로 checked exception 에 대해서는 신경을 안 써도 되는걸까요?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카페키오스크 클래스 문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CafeKiosk 클래스 의 add를 아래처럼 구성 했습니다.public void add(Beverage beverage, int count) { if(count <= 0){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음료는 1잔 이상 주문 하실 수 있습니다."); } for(int i = 0; i<count; i++){ beverages.add(beverage); } } 3:54 초에 add에 americano 변수 1개만 들어 가는데 강의에는 오류가 안나네요..?저는 count 값도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Rest docs 문서용 테스트코드를 따로 작성해야 되나요?
ProductControllerDocsTest 를 따로 작성하지 않고 기존에 작성했던 ProductControllerTest 에 Rest Docs 용 코드를 얹어서 작성해도 상관없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코드에서 필요한 생성자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잘 듣고 있습니다. 두 가지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테스트 코드에서만 필요한 생성자가 있다면, 그 생성자를 위해서 해당 객체나 엔티티에 생성자를 추가하는 과정이 옳은 것일까요? 아니면 애초에 그런 생성자가 필요한 상황 자체가 잘못된 것일까요? (프로덕션 코드를 테스트하는 것이 목적이니, 프로덕션 코드에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생성자를 쓰면 되지 않냐..) 모 회사에서는 @Builder 패턴은 무조건 restdocs 를 생성하는 경우에만(fixtures) 사용하라고 해서 프로덕션 코드에서는 무조건 생성자만 사용한 경우가 있었는데 @Builder 패턴의 사용 범위? 그런 것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강사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알림은 왜 pub sub 구조로 설계하나요?
동일한 메시지를 여러 서비스에서 처리하는 것을 pub sub 구조로 이해하였는데요,알림이라는 하나의 서비스에서 처리한다면 pub sub 구조로 설계할 필요가 없는 걸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Service의 .cancel() 메서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 부분 관련해서 반복적으로 학습중인데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취소 */ @Transactional public void cancelOrder(Long orderId) { //주문 엔티티 조회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주문취소 order.cancel(); }이 부분에서 orderId"주문 PK" 를 인자로 받아 주문에 대한 데이터 order 를 조회해왔습니다.그다음 order.cancel(); 메서드를 호출하는데해당 메서드에는 파라미터로 아무것도 넣지 않았습니다. //==비즈니스 로직==//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그 다음 위의 Order 엔티티의 cancel 메서드가 호출이 되는데예외처리 부분을 지나 이제"해당 주문에 포함된(저장된) 주문품목(OrderItem) 의 addStock() 하는 메서드까지 연결이 됩니다.OrderService > Order > OrderItem > Item 까지의 순차적인 cancel 및 addStock() 메서드까지 실행이 완료되면OrderService의 cancelOrder메서드의 트랜잭션이 종료가 되어 flush가 발생/DB 쿼리가 날라감까지 제가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말씀부탁드리겠습니다!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이건데,Order order.cancel() 이 부분에서order 라는 Order 엔티티 객체에 바로 cancel() 메서드를 사용했는데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조회한 데이터는 Order 뿐인데 다음 코드가delivery.getStatus() 입니다.갑자기 delivery가 어디서 나온건지.. 모르겠습니다.예외처리가 끝나면 나오는 orderItem 또한 갑자기 무슨 데이터를 가지고 반복문을 돌리는지 모르겠습니다.제 짧은 지식의 추측상예외처리시에 delivery.getStatus() 는 Order엔티티와 1:1 관계이기에 delivery가 사용하게 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 delivery 데이터를 조회하여 사용하고OrderItem 또한 Order와 일대다관계이기에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이렇게 사용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Order pk를 가진 OrderItem 의 데이터를 가지고와 반복문을 돌리게 되는건가요??너무 헷갈리네요..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요?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Receiver를 여러개 하려면 어떻게하나요?
@Bean public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 MessageListenerAdapter listenerAdapter) {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 = new SimpleMessageListenerContainer(); container.setConnectionFactory(connectionFactor); container.setQueueNames(QUEUE_NAME); container.setMessageListener(listenerAdapter); return container; } @Bean public MessageListenerAdapter listenerAdapter(Receiver receiver) { return new MessageListenerAdapter(receiver, "receiveMessage"); // Receiver의 메소드명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해주셔서 감사합니다.만약 하나의 큐에서 여러 컨슈머를 통해 동시에 여러개를 소비하고자한다면 Receiver를 추가해서 새롭게 MessageLisnterAdaper 빈을 추가하는걸까요? 어떤식으로 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여러큐와 거기에 따른 여러 컨슈머 구성시에는 어떤식으로 환경설정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부트를 이용한 웹 프로그래밍: 웹사이트 이렇게 만드는 거예요!
AOP에 대한 설명
안녕하세요! Class08.스프링 프레임워크2 강의 중 8:00 쯤 "이 앞강에서 AOP 프로젝트가 있었죠...."라고 해주셨는데 해당 설명이 이전 강의 어디에서 해주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AOP가 조금 추상적이어서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RabbitMQ를 이용한 비동기 아키텍처 한방에 해결하기
깃허브 step11 브랜치
Slack 관련된거 같은데, 강의에는 나와있지 않네요 ! step11은 혼자 공부하면 되는걸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 이용할때 @Transactional
API를 이용할때 Service를 거치지 않고 Repository를 사용하여 DB에 접근하게되는데 @Transactional를 Repository마다 붙이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어디서 Transactional을 걸어주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프론트단에 대해
안녕하세요.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추후 스프링 클라우드로 msa 팀프로젝트 만들려고합니다. 프론트단을 만들려고 하면 공통 레이아웃 및 기능화면을 따로 공통 서비스 예를 들면 ui-service를 만들고 이 서비스의 yml에서 게이트웨이를 작성한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제일 효율적인 방법인지 아니면 다른 방법으로 프론트단 구현법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시 정리하여 질문드립니다
질문1)한 트랜잭션 안에서 최초 getReference() 를 통해 가져온 애는 쭉 프록시 객체로, find() 를 통해 가져온 애는 쭉 일반 객체로 영속성 컨텍스트에 남는다고 보면 되나요? (두 경우 모두 별도로 영속성 컨텍스트를 비우는 등의 작업을 하지 않는다고 가정) 질문2)링크1 의 답변에 의하면 영속성 컨텍스트 안에 프록시 객체를 담는 Map 과 진짜 객체를 담는 1차 캐시 가 있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그럼 find() (getReference())는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동작하는 게 맞나요?프록시를 담는 Map 을 먼저 조회 (1차 캐시를 먼저 조회)있으면 프록시 객체를 가져오고 없으면 1차 캐시에서 조회 (있으면 진짜 객체 가져오고 없으면 프록시 담는 Map에서 조회)1차 캐시에 있으면 그대로 가져오고 없으면 DB에서 조회 (Map 에 있으면 그대로 가져오고 없으면 프록시 객체 생성) 질문3)링크2 의 답변을 통해 프록시 객체는 영속 대상이 아니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그렇다면 em.detach(프록시객체); 는 어떻게 이해하면 되나요?detach() 라는 것이 영속 상태인 것을 준영속 상태로 바꿔주는 것인데 프록시 객체는 애초에 영속 대상이 아니라고 말씀해주셔서 헷갈리네요전에 올렸던 다른 질문들인데요 AI 답변만 달려서 그런데 한번 확인부탁드립니다https://inf.run/EcpuQhttps://inf.run/75Xi1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앱 재시작 후 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정말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항상 앱을 재시작하고 같은 아이디(whiteship)로 회원가입을 하시는데 계속 성공하시는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혹시 앱을 재시작하면 회원 목록이 초기화되는 코드가 있으신가요? 제가 놓친 것 같지만 부득이하게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버전 업데이트 질문
새롭게 마지막 섹션에 updated 된것은 어떻게 봐야하나요 ? 커리큘럼 중간에 deprecated 된것도 있는데, 건너뛰면 되는지 기존에 이것 대신에 updated 된곳에 어떤걸 봐라 라고 설명좀 해주실 수 있나요 ?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강의 자료 다운로드에 관해
저도 다른 분들처럼 강의 자료를 다운 받아보니 비어있는 폴더라고 표시되더라고요, 혹시 강의 자료를 따로 다운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일단 혹시 몰라 이메일 남겨봅니다.sksdhkd072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