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챕터 5 모달 처리 | Add 클릭 이후 모달창이 안떠요
모달창이 안떠서 settimeout으로 처리 하니Modal에 result 값이 true로 적용됩니다코드는 깃으로 올리겠습니다 선생님 강의에 올라와있는 ch06 파일 코드 넣어서 해봐도모달창이 안뜨네요 ㅜㅜ https://github.com/hyeonbin03/webstromhub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servlet 페이지 오류
현재 tomcat 버전 8.5java 버전 17 입니다. 1.내장 톰캣 smart tomcat으로 실행하려고 하는데 /test 페이지로 들어갈 경우 404 에러가 발생합니다.추가로 서블릿컨테이너 초기화 시 onStartUp 함수에서 찍는 log가 출력이 안되고 있습니다.connected to server<<<라는 로그가 표시되지 않아도 연결된게 맞나요...? 8080에 접속하면 index.html은 잘 표시됩니다. "C:\Program Files\Zulu\zulu-17\bin\java.exe" "-Dcatalina.home=D:\교육 자료\01. 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boot-source-20230228\start\tool\tomcat-runner" -Dcatalina.base=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 -Djava.io.tmpdir=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temp -Djava.util.logging.config.file=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conf\logging.properties -Djava.util.logging.manager=org.apache.juli.ClassLoaderLogManager "-javaagent: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0.3.2\lib\idea_rt.jar=52152: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0.3.2\bin" -Dfile.encoding=UTF-8 -classpath "D:\교육 자료\01. 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boot-source-20230228\start\tool\tomcat-runner\bin\bootstrap.jar;D:\교육 자료\01. 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boot-source-20230228\start\tool\tomcat-runner\bin\tomcat-juli.jar" org.apache.catalina.startup.Bootstrap startNOTE: Picked up JDK_JAVA_OPTIONS: --add-opens=java.base/java.lang=ALL-UNNAMED --add-opens=java.base/java.io=ALL-UNNAMED --add-opens=java.base/java.util=ALL-UNNAMED --add-opens=java.base/java.util.concurrent=ALL-UNNAMED --add-opens=java.rmi/sun.rmi.transport=ALL-UNNAMED18-Mar-2024 10:38:03.335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서버 버전 이름: Apache Tomcat/8.5.9918-Mar-2024 10:38:03.33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Server 빌드 시각: Feb 14 2024 22:52:13 UTC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Server 버전 번호: 8.5.99.0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운영체제 이름: Windows 10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운영체제 버전: 10.0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아키텍처: amd64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자바 홈: C:\Program Files\Zulu\zulu-17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JVM 버전: 17.0.10+7-LTS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JVM 벤더: Azul Systems, Inc.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CATALINA_BASE: 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18-Mar-2024 10:38:03.34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CATALINA_HOME: D:\교육 자료\01. 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boot-source-20230228\start\tool\tomcat-runner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add-opens=java.base/java.lang=ALL-UNNAMED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add-opens=java.base/java.io=ALL-UNNAMED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add-opens=java.base/java.util=ALL-UNNAMED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add-opens=java.base/java.util.concurrent=ALL-UNNAMED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add-opens=java.rmi/sun.rmi.transport=ALL-UNNAMED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Dcatalina.home=D:\교육 자료\01. 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boot-source-20230228\start\tool\tomcat-runner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Dcatalina.base=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18-Mar-2024 10:38:03.349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Djava.io.tmpdir=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temp18-Mar-2024 10:38:03.35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Djava.util.logging.config.file=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conf\logging.properties18-Mar-2024 10:38:03.35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Djava.util.logging.manager=org.apache.juli.ClassLoaderLogManager18-Mar-2024 10:38:03.35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javaagent: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0.3.2\lib\idea_rt.jar=52152: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0.3.2\bin18-Mar-2024 10:38:03.35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VersionLoggerListener.log 명령 행 아규먼트: -Dfile.encoding=UTF-818-Mar-2024 10:38:03.350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core.AprLifecycleListener.lifecycleEvent 프로덕션 환경들에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하는, APR 기반 Apache Tomcat Native 라이브러리가, 다음 java.library.path에서 발견되지 않습니다: [C:\Program Files\Zulu\zulu-17\bin;C:\Windows\Sun\Java\bin;C:\Windows\system32;C:\Windows;C:\Program Files\Zulu\zulu-17\bin\;C:\Program Files\Zulu\zulu-11\bin\;C:\Program Files\Zulu\zulu-21\bin\;C:\Program Files\Zulu\zulu-8\bin\;C:\Inprise\vbroker\bin;C:\Windows\system32;C:\Windows;C:\Windows\System32\Wbem;C:\Windows\System32\WindowsPowerShell\v1.0\;C:\Windows\System32\OpenSSH\;C:\Program Files (x86)\NVIDIA Corporation\PhysX\Common;C:\Program Files\Git\cmd;C:\Program Files\dotnet\;C:\Program Files\TortoiseSVN\bin;C:\Users\INNO-A-1353\Documents\tmssoftware\TMS Component Pack\bpl\;;C:\Program Files (x86)\EurekaLab\EurekaLog 6\Delphi7;C:\Program Files\Bandizip\;C:\Program Files\PuTTY\;C:\Program Files\CMake\bin;C:\msys64\mingw64\bin;C:\Delphi7 Library\lib\TMS Component Pack\bpl\;C:\Program Files\Microsoft Windows Performance Toolkit\;C:\Program Files (x86)\Subversion\bin;C:\Program Files\nodejs\;D:\Python\Scripts\;D:\Python\;C:\Users\INNO-A-1353\AppData\Local\Microsoft\WindowsApps;C:\Users\INNO-A-1353\.dotnet\tools;C:\Users\INNO-A-1353\AppData\Local\Programs\Microsoft VS Code\bin;C:\Users\INNO-A-1353\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1\Scripts;C:\Users\INNO-A-1353\AppData\Roaming\npm;C:\Program Files\Zulu\zulu-8\bin\;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0.3.2\bin;;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Professional\MSBuild\Current\Bin\;C:\Program Files\Zulu\zulu-11\bin\;C:\Program Files\Zulu\zulu-17\bin\;;.]18-Mar-2024 10:38:03.440 정보 [main]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init 프로토콜 핸들러 ["http-nio-8080"]을(를) 초기화합니다.18-Mar-2024 10:38:03.465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load Initialization processed in 778 ms18-Mar-2024 10:38:03.561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Service.startInternal 서비스 [Catalina]을(를) 시작합니다.18-Mar-2024 10:38:03.562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core.StandardEngine.startInternal 서버 엔진을 시작합니다: [Apache Tomcat/8.5.99]18-Mar-2024 10:38:03.599 정보 [localhost-startStop-1]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 배치 descriptor [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conf\Catalina\localhost\ROOT.xml]을(를) 배치합니다.18-Mar-2024 10:38:04.881 정보 [localhost-startStop-1] org.apache.jasper.servlet.TldScanner.scanJars 적어도 하나의 JAR가 TLD들을 찾기 위해 스캔되었으나 아무 것도 찾지 못했습니다. 스캔했으나 TLD가 없는 JAR들의 전체 목록을 보시려면, 로그 레벨을 디버그 레벨로 설정하십시오. 스캔 과정에서 불필요한 JAR들을 건너뛰면, 시스템 시작 시간과 JSP 컴파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18-Mar-2024 10:38:05.063 경고 [localhost-startStop-1] org.apache.catalina.util.SessionIdGeneratorBase.createSecureRandom [SHA1PR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세션 ID를 생성하기 위한 SecureRandom 객체를 생성하는데, [161] 밀리초가 소요됐습니다.18-Mar-2024 10:38:05.087 정보 [localhost-startStop-1] org.apache.catalina.startup.HostConfig.deployDescriptor 배치 descriptor [C:\Users\INNO-A-1353\.SmartTomcat\server\server\conf\Catalina\localhost\ROOT.xml]의 배치가 [1,489] 밀리초 내에 완료되었습니다.18-Mar-2024 10:38:05.094 정보 [main] org.apache.coyote.AbstractProtocol.start 프로토콜 핸들러 ["http-nio-8080"]을(를) 시작합니다.18-Mar-2024 10:38:05.301 정보 [main] org.apache.catalina.startup.Catalina.start Server startup in 1835 ms build tool도 gradle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
해결됨[DevOps] 빠르고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파이프라인(CI/CD) 만들기
Kaniko 의 한계 부분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지식공유자님 소중한 지식 공유 감사드립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아래 빨간 부분이 이해가 잘 가지 않는데,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외부에서 빌드하고 CI/CD 이 끝난 후에 Kaniko 로 빌드한다는 것이 잘 이해되지 않습니다 ㅜㅜ
-
해결됨[Bloc 응용] 실전 앱 만들기 (책 리뷰 앱) : SNS 로그인, Firebase 적용, Bloc 상태 관리, GoRouter
doc id와 uid
firestore database에서 users의 doc id를 uid값과 동일한 값으로 입력할 수 있나요? 데이터 구조를 그렇게 만들어도 무방한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AppConfigTest BasicScan() NoSuchBeanDefinitionException오류 발생
그전까진 모든 테스트를 통과했는데, 조회대상 빈이 2개이상일때 해결방법을 테스트 하는 과정에서 자꾸 AutoAppConfigest BasicScan()에서 NoSuchBeanDefinitionException오류가 발생합니다 ㅠㅠ파일 구글 드라이브 링크 첨부합니다.. 감사합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CR8RZDO7Wf2VpildMbeLpTah5vYTtAZJ/view?usp=sharing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학습자료다운로드
강의 구매하였는데 학습자료는 어디서 다운받나요?
-
미해결PHP 개발자의 최종 테크트리, 라라벨 강의
SQLSTATE[42S02]: Base table or view not found: 1146 Table 'laravel.sessions' doesn't exist
라라벨 서버를 올린 후에 이렇게 나타납니다. 원인을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1 - Llama 2 Fine-Tuning 해보기
Fine-tuning 모델 성능 지표
llama2 를 fine-tuning 했을때, 다른 모델들 처럼 f1 스코어나 혹은 다른 성능 지표를 이용해 성능을 정량화 할 수 있나요?어떤 방법이 있고 어떻게해야 fine-tuning 한 모델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지표화 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airflow 실행 시 webserver가 안 띄워져요
airflow를 초기화한 후docker compose up으로 airflow를 실행하는 과정에서webserver가 구동이 되지않습니다.. {webserver_command.py:222} ERROR - No response from gunicorn master within 120 seconds{webserver_command.py:223} ERROR - Shutting down webserver 위에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 검색했을때airflow.cfg의 작업자 수를 줄이라는 해결책이 있었지만airflow폴더내에 airflow.cfg파일은 없었습니다.또한 airflow의 config파일내에도 아무파일도 없구요 +) Please install connexion with extra install: pip install connexion[swagger-ui]혹시 위에 에러와 관련이 있을까요?
-
미해결모의해킹 실무자가 알려주는, SQL Injection 공격 기법과 시큐어 코딩 : PART 1
php 버전 호환 문제
자료에 있는 APM Setup의 php 버전은 5.xx인데강의에서 mssql과 호환되는지 테스트 할 때connect 관련 함수를 php 5.xx에서는 사용 못하고7.xx부터 사용된다는데 버전 업그레이드를 어떻게 하나요?구글에 검색해서 나오는 php.ini 파일과 PHP5 파일을 바꾸는 법 했는데그렇게하면 아파치 접속 자체가 안 되네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2 (AMBA AXI4 완전정복)
맛비님의 AI HW강의 관련 질문 드립니다.
맛비님 안녕하세요! 열심히 verilog s1, fpga s1 수강하고 verilog s2까지 수강중인 학부생입니다.본 강의 관련 내용은 아니지만, 맛비님의 또다른 강의인 AI HW 강의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저는 현재 전자공 학부 4학년으로 졸업작품으로 [Ai를 활용한 안전 운전 장치(졸음, 음주 감지)]를 준비중에 있는데요. 제가 구현하고자 하는 것은 간략하게 AI를 활용해서 운전자의 졸음을 감지하는 것입니다.이를 제가 가지고 있는 Zybo z7-10으로 구현해보고자 조사 중인데 이 동작을 FPGA에서 전부 구현할 수 있는지, FPGA로 HW가속기를 구현하여 AI 연산만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지 등 저 스스로 접근하는데에 어려움을 느껴 맛비님의 AI HW 강의가 이에 도움이 될 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당연하게도 강의를 듣고 그 내용을 내 것으로 만들어서 저의 실력으로 활용하는 것은 제 몫이지만 아무래도 이 분야의 초급자인 제가 커리큘럼만을 보고 판단하는 것 이상으로 맛비님의 시선에서 봤을 때 적절할지가 더 의미있는 판단이 될 것 같기도 합니다. AI HW가 뜨거운 주제이고 관심이 있는 만큼 이 강의를 여유가 있을 때 들을 생각이였지만 이번에 맡은 프로젝트를 위해 큰 도움이 되는 강의라면 이번 학기에 AI HW 강의까지 병행하여 열심히 공부해봐야겠네요. 항상 너무 질 좋은 강의 감사드리고 이 분야를 진로로 삼으려는 학생들에게 정말 좋은 기회가 되는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린다는 말 드리고 싶습니다!
-
미해결벡터 미적분학 시리즈2 - 미분 심화: 최적화 이론의 기초와 벡터 함수
4-4-B 26:24 divergence 관련 증명 질문입니다.
l1(t) 와 파이의 컴포넌트 델파이1는 설명과 일치하여 이해하기 충분했으나 그다음 컴포넌트 델파이2, 3 와 엡실론j와 k의 내적이 어떻게 델파이2와 3과 l1(0)의 내적이 될 수 있는지를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AddressEntity delet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강의 후반부에서 member의 addressHistory에 AddressEntity를 추가하는 것까지 알려주셨는데member의 addressHistory에서 AddressEntity 값 하나를 삭제하고 싶을때이런 방식으로 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equals와 hashCode도 잘 고친건지도 궁금합니다. //Address의 equals, hashCode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if (this == o) return true; if (o == null || getClass() != o.getClass()) return false; Address address = (Address) o; return Objects.equals(getCity(), address.getCity()) && Objects.equals(getStreet(), address.getStreet()) && Objects.equals(getZipcode(), address.getZipcode());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Objects.hash(getCity(), getStreet(), getZipcode()); } //AddressEntity의 equals, hashCode @Override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 { if (this == o) return true; if (o == null || getClass() != o.getClass()) return false; AddressEntity that = (AddressEntity) o; return Objects.equals(getId(), that.getId()) || Objects.equals(getAddress(), that.getAddress()); // }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 return Objects.hash(getId(), getAddress().getCity(), getAddress().getStreet(), getAddress().getZipcode()); // } Member findMember = em.find(Member.class, member.getId()); List<AddressEntity> addressHistory = findMember.getAddressHistory(); addressHistory.remove(new AddressEntity("city1", "street", "zipcode"));
-
미해결코틀린 고급편
Sequence vs Stream
안녕하세요 Sequence와 Stream의 차이점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Sequence가 지연연산의 이점을 통해서 대용량 처리를 해야할 때 이점을 줄 수 있다고 이해를 했고,Java의Stream과 유사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찾아보니, java8 이전의 Kotlin의 경우 Stream을 사용할 수 없으니, Sequence를 사용했었다 라는 글을 발견했습니다.위 설명이 맞을까요?혹시 맞다면 어떠한 기준으로 둘중에서 선택을 하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퍼블리셔 개인 포트폴리오 홈페이지 제작 완벽 가이드(PDF)
uk-lightbox 웹표준 검사에 error로 나오는데 괜찮나요?
포트폴리오 어느정도 틀이 정리돼서 웹표준 검사 해봤는데저 부분만 오류로 나와요!저렇게 오류가 떠도 괜찮은 건지 궁금합니다! 포트폴리오는 크게 상관이 없다해도 후에 혹시 실무에서 쓸 일이 생길 때 써도 괜찮은 건가 해서요..!
-
해결됨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android환경에서 usePermissions 훅 사용시 에러납니다..ㅜㅜ
usePermissions훅 사용시 에러가 납니다. android환경입니다. 코드랑 에러 올리겠습니다.구글에 먼저 검색해도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import {useEffect} from 'react'; import {Alert, Linking, Platform} from 'react-native'; import {check, PERMISSIONS, request, RESULTS} from 'react-native-permissions'; function usePermissions() { // 권한 관련 useEffect(() => { if (Platform.OS === 'android') { //정확한 위치권한 check(PERMISSIONS.ANDROID.ACCESS_FINE_LOCATION) .then(result => { console.log('check location', result); if (result === RESULTS.DENIED) { return request(PERMISSIONS.ANDROID.ACCESS_FINE_LOCATION); } else if (result === RESULTS.BLOCKED) { Alert.alert( '이 앱은 위치 권한 허용이 필요합니다.', '앱 설정 화면을 열어서 항상 허용으로 바꿔주세요.', //밑에 배열은 버튼을 의미한다. [ { text: '네', //Linking.openSettings는 핸드폰 설정을 열어준다. onPress: () => Linking.openSettings(), }, { text: '아니오', onPress: () => console.log('No Pressed'), style: 'cancel', }, ], ); } }) .catch(console.error); } else if (Platform.OS === 'ios') { check(PERMISSIONS.IOS.LOCATION_ALWAYS) .then(result => { if (result === RESULTS.BLOCKED || result === RESULTS.DENIED) { Alert.alert( '이 앱은 백그라운드 위치 권한 허용이 필요합니다.', '앱 설정 화면을 열어서 항상 허용으로 바꿔주세요.', [ { text: '네', onPress: () => Linking.openSettings(), }, { text: '아니오', onPress: () => console.log('No Pressed'), style: 'cancel', }, ], ); } }) .catch(console.error); } if (Platform.OS === 'android') { //카메라 권한 check(PERMISSIONS.ANDROID.CAMERA) .then(result => { if (result === RESULTS.DENIED || result === RESULTS.GRANTED) { return request(PERMISSIONS.ANDROID.CAMERA); } else { console.log(result); throw new Error('카메라 지원 안 함'); } }) .catch(console.error); } else { check(PERMISSIONS.IOS.CAMERA) .then(result => { if ( result === RESULTS.DENIED || result === RESULTS.LIMITED || result === RESULTS.GRANTED ) { return request(PERMISSIONS.IOS.CAMERA); } else { console.log(result); throw new Error('카메라 지원 안 함'); } }) .catch(console.error); } }, []); } export default usePermissions; 에러메세지 텍스트입니다.Invariant Violation: TurboModuleRegistry.getEnforcing(...): 'RNPermissions' could not be found. Verify that a module by this name is registered in the native binary., js engine: hermes at AppInner (http://10.0.2.2:8081/index.bundle//&platform=android&dev=true&minify=false&app=com.mh.fooddeliveryapp&modulesOnly=false&runModule=true:131130:86) at Provider (http://10.0.2.2:8081/index.bundle//&platform=android&dev=true&minify=false&app=com.mh.fooddeliveryapp&modulesOnly=false&runModule=true:130801:22) at App at RCTView at View (http://10.0.2.2:8081/index.bundle//&platform=android&dev=true&minify=false&app=com.mh.fooddeliveryapp&modulesOnly=false&runModule=true:59410:43) at RCTView at View (http://10.0.2.2:8081/index.bundle//&platform=android&dev=true&minify=false&app=com.mh.fooddeliveryapp&modulesOnly=false&runModule=true:59410:43) at AppContainer (http://10.0.2.2:8081/index.bundle//&platform=android&dev=true&minify=false&app=com.mh.fooddeliveryapp&modulesOnly=false&runModule=true:59254:36) at FoodDeliveryApp(RootComponent) (http://10.0.2.2:8081/index.bundle//&platform=android&dev=true&minify=false&app=com.mh.fooddeliveryapp&modulesOnly=false&runModule=true:107936:28) ERROR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check' of undefinedThis error is located at: in AppInner (created by App) in Provider (created by App) in App in RCTView (created by View) in View (created by AppContainer) in RCTView (created by View) in View (created by AppContainer) in AppContainer in FoodDeliveryApp(RootComponent), js engine: hermes ERROR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y 'check' of undefinedThis error is located at: in AppInner (created by App) in Provider (created by App) in App in RCTView (created by View) in View (created by AppContainer) in RCTView (created by View) in View (created by AppContainer) in AppContainer in FoodDeliveryApp(RootComponent), js engine: hermes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T 질문, 시간초과 (moveShark)
오래 걸렸지만, 혼자 풀어서 정답처리가 되었는데,모듈러 연산으로 moveShark를 한것이 아니고, 한 칸 한 칸 이동하는 방식이었습니다.운 좋게 통과한 것 같네요.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R, C, M; vector<vector<tuple<int, int, int>>> B; void moveShark(vector<vector<tuple<int, int, int>>>& B){ vector<vector<tuple<int, int, int>>> tempB = B; vector<vector<int>> visited(R+1, vector<int>(C+1,0)); for(int i = 1 ; i <= R; ++i){ for(int j = 1; j <= C; ++j){ int speed = get<0>(B[i][j]); int delta = get<1>(B[i][j]); // d:up(1), d:down(2), d:right(3), d:left(4) int size = get<2>(B[i][j]); if (size != 0){ if (visited[i][j] == 0) tempB[i][j] = {0,0,0}; if (delta == 1){ int s = i; int mov = -1; int sd = speed; while(sd > 0){ if ((s+mov >= 1) && (s+mov <= R)) s = s+mov; else{ s = s-mov, mov *= -1;} if ((s == 1) || (s == R)) mov *= -1; sd--; } if (visited[s][j] == 0 ||get<2>(tempB[s][j]) < size){ if (mov == -1) tempB[s][j] = {speed, 1, size}; else tempB[s][j] = {speed, 2, size}; visited[s][j] = 1; } } else if (delta == 2){ int s = i; int mov = 1; int sd = speed; while(sd>0){ if ((s+mov >= 1) && (s+mov <= R)) s = s+mov; else s = s-mov, mov *= -1; if ((s == 1) || (s == R)) mov *= -1; sd--; } if (visited[s][j] == 0 || get<2>(tempB[s][j]) < size){ if (mov == -1) tempB[s][j] = {speed, 1, size}; else tempB[s][j] = {speed, 2, size}; visited[s][j] = 1; } } else if (delta == 3){ int s = j; int mov = 1; int sd = speed; while(sd>0){ if ((s+mov >= 1) && (s+mov <= C)) s = s+mov; else s = s-mov, mov *= -1; if ((s == 1) || (s == C)) mov *= -1; sd--; } if (visited[i][s] == 0 || get<2>(tempB[i][s]) < size){ if (mov == -1) tempB[i][s] = {speed, 4, size}; else tempB[i][s] = {speed, 3, size}; visited[i][s] = 1; } } else if (delta == 4){ int s = j; int mov = -1; int sd = speed; while(sd>0){ if ((s+mov >= 1) && (s+mov <= C)) s = s+mov; else s = s-mov, mov *= -1; if ((s == 1) || (s == C)) mov *= -1; sd--; } if (visited[i][s] == 0 || get<2>(tempB[i][s]) < size){ if (mov == -1) tempB[i][s] = {speed, 4, size}; else tempB[i][s] = {speed, 3, size}; visited[i][s] = 1; } } } } } B = tempB; } int fishShark(vector<vector<tuple<int, int, int>>>& B, int c){ int size = 0; for(int i = 1; i <= R; ++i){ size = get<2>(B[i][c]); if (size != 0){ B[i][c] = {0,0,0}; break; } } return size; } void debug(){ for(int i = 1; i <= R ; ++i){ for(int j = 1; j <= C ; ++j){ cout << get<0>(B[i][j]) << "," << get<1>(B[i][j]) << "," << get<2>(B[i][j]) << "\t" ; } cout << endl; } } int main(){ cin >> R >> C >> M; B = vector<vector<tuple<int, int, int>>>(R+1, vector<tuple<int, int, int>>(C+1, {0,0,0})); int r, c, s, d, z; for(int i =0 ; i < M ; ++i){ cin >> r >> c >> s >> d >> z; B[r][c] = {s, d, z}; } long long ret = 0; for(int i = 1; i <= C ; ++i){ // cout << i << "th" << endl; // debug(); ret+=fishShark(B, i); // cout << "SZ: " << ret << endl; moveShark(B); } cout << ret; return 0; }
-
미해결처음 만난 리덕스(Redux)
실습코드를 발을수 있는 곳이 있나요?
실습코드 부분이 빠르게 지나가는데,실습코드를 따로 받을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네임드락 선점 시간 설정
안녕하세요! 네임드락 사용 시 락 선점 시간 설정에 있어 궁금한 부분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Named Lock 활용해보기 강의 25초 부분에 "선점 시간이 끝나야 락이 해제된다" 고 언급해주셨는데, 이 선점 시간을 어떻게 설정하는지 궁금합니다. "get_lock" 명령어에 주는 파라미터는 해당 lock 을 획득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의 최대값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hikariCp 에서 얻어온 커넥션을 점유할 수 있는 최대 시간 설정 값도 찾아봤는데 찾지 못했습니다.별도의 타이머를 구현해서 타이머가 끝나면 해제로직을 실행시켜야 되는걸까요??혹은, @Transactional 의 timeout 설정 값을 통해 선점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TML코드 및 강의 중간자료들
우선 강의중에 보여주셨던 HTML코드들에 대해서 행방을 알수가 없고 키를 강의마다 알려주신다는데 언제 알려주시는지 모르겠습니다.그래서 완성되어있던 파일에 있는 HTML파일들을 끌어다가 다시 완성시켰는데 코드자체에 CSS,Js가 적용되지 않고 에러가 뜨기도 합니다.Caused by: org.attoparser.ParseException: Exception evaluating SpringEL expression: "!hasNotification" (template: "fragments.html" - line 129, col 24) 혹시 최신화된 코드나 강의 진행도에 따른 코드 접근 방법이 있을까요...? 물론 제가 옛날 강의를 듣는것이다 보니 감수해야 하는 부분이겠지만 하나하나 알아가다보니 강의를 듣는 시간도 늘어지고 지치기 시작하는거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는 부분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안내를 해주시거나, 주의할 부분이라던가 아니면 참고할만한 내용들을 추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