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ec2 인스턴스에서 우분투 버전관련 문의입니다
현재 aws 프리티어에서 사용가능한 우분투 는 22.04인데 20.04가 아닌22.04로 진행해도 상관없나요 ?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http => htrtps 호출 인증서 신뢰 오류
self-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발생합니다.1번process.env.NODE_TLS_REJECT_UNAUTHORIZED = '0';2번// SSL 인증 무시를 위한 Agent 생성 const httpsAgent = new https.Agent({ rejectUnauthorized: false });await axios.get("target_url", { httpsAgent: agent });1,2 번 외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또는 2번을 적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또는 Java에서 로컬 톰캣 서버에서 HTTPS 설정하듯이 할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백엔드 코스
self-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 에러 발생
안녕하세요.self-signed certificate in certificate chain에러 발생합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COPY 경로에 관한 질문드립니다.
WORKDIR /app 으로 바꾸고 나서COPY ./ / 을 COPY . . 으로 변경하셨는데요WORKDIR 을 지정하게되면 컨테이너 작업디렉토리를 지정하게되지만 빌드컨텍스트 위치는 그대로이니 COPY ./ . 라고 생각했는데 제가 뭘 잘못생각하고 있는 걸까요?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주피터 노트북 서버 만들어보기_pymysql 설치관련
안녕하세요.aws 의 용량부족이라 추가하고 mount 했고요.순서대로 주피터노트북 연결까지는 성공을 했습니다. 그런데 !pip install pymysql 이 실행이 안되서, 도커연결 cmd 창에서 실행하니, pip가 없다고 나와서, sudo apt install python3-pip 로 인스톨을 하니 리부팅을 하라고 해서 리부팅까지 하고,연결이 해제되고 docker ps 하니 실행되는게 없어서 다시 실행하고, 토큰 확인해서 다시 주피터 노트북연결해서 들어가고 나서 다시 !pip install pymysql을 실행하니까 안되네요. cmd 창에서 수행하니까, 에러가 나는데요, 확인해 보니 시스템이 관리하는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패키지를 설치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거라, 이런 경우, Python 패키지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가상 환경을 사용하거나 pipx를 사용하라고 하는데요. 혹시 강의 중간에 제가 놓친 부분이 있는 걸까요? 가상환경으로 구축을 따로 해야 하는건지..??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Node.js에서도 쓸 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현재 AWS 강의를 잘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 제가 Node.js / Nest.js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강의 목록에 Nest에서 적용 할 수 있게 목록에 있더군요! 근데 Node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는 것 같아서 Node에서도 적용 할 수 있게 해주는 내용이 강의에 있나요? 있다면 혹시 어느 목차에 있나요? 그리고 여러가지 언어에서 적용 할 수 있게끔 목록을 잘 나눠주셨더라고요! 혹시 필요한 부분만 듣고 나머지(ex_ 프론트 / 스프링 / etc..)들은 따로 안 들어도 제가 해당하는 부분만 들어도 적용과 이해에 무리가 없을까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대신 도커 SWARM 사용 방법 핵심 강의
Docker Swarm과 Traefik을 활용한 MSA 아키텍처 설계 방식
안녕하세요.Docker Swarm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를 구성 중입니다. 처음에는 Traefik을 이용해 모든 내부 마이크로서비스를 거치도록 (즉, serviceA가 serviceB를 호출할 때도 Traefik을 통해서만 통신) 운영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할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가 예상됩니다:성능/오버헤드모든 내부 트래픽이 Traefik을 중간에 두고 오가므로, 네트워크 홉이 추가됩니다.Keep-Alive 연결이 많아지고, Traefik이 병목이 될 가능성이 있음.복잡한 설정내부 수많은 서비스가 각각 Traefik의 라우터/서비스 규칙을 가져야 하므로 라벨 설정이 매우 복잡해질 수 있음.Path/Host 기반 라우팅 규칙도 내부 API 전부에 대해 관리해야 하므로 관리 부담 증가.인증/인가가 불필요한 내부 통신외부 노출이 전혀 필요 없는 내부 서비스 등까지도 Traefik을 거치는 것은 과도할 수 있음. 이러한 이유로, Traefik이 모든 트래픽을 일괄 처리하는 대신, 내부 통신은 Docker Swarm 로드밸런싱으로 처리하고, 외부 트래픽(HTTPS/도메인/인증서)은 Traefik에 맡기는 구조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는,Docker Swarmservice 간에는 “user-service:8001” 식으로 연결 → Swarm 라운드 로빈Keep-Alive나 오토스케일 시 컨테이너가 늘어나면 Swarm이 자동 분산Traefik오직 외부 접근이 필요한 Gateway나 public API에 대해서만 라벨(traefik.enable=true) 적용HTTPS 인증서, Path/Host 라우팅, 미들웨어(인증/인가, IP 제한)를 외부 경계에서만 적용내부적으로는 Swarm에 맡기고, Traefik은 외부→Gateway(혹은 외부→공개 서비스)만 처리네트워크 분리“public-net”: Traefik, Gateway 등 외부 노출이 필요한 서비스“backend-net”: user-service 등 내부용 서비스만 존재, 외부와 직접 연결되지 않음궁금한 점위와 같은 구조(외부는 Traefik, 내부는 Swarm + 네트워크 분리)가 흔히 권장되는 방식인가요?내부 서비스까지 Traefik을 거치는 구조가 과연 득보다 실이 많을지, 실제 운영 사례가 궁금합니다. 보안 측면에서 “Traefik + Swarm ” 방식을 쓸 때 주의해야 할 점이나, 더 권장되는 패턴이 있으면 알려주세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localhost 관련
안녕하세요! 그러면 이전 영상대로 실습했을 때 docker compose ps 했을 때, 정상적으로 my-db와 my-server가 작동중인 경우는 잘못된건가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failed to connect to mysql
gradlew build 이후compose up 했을 때mysql만 올라오고 spring boot서버는 안올라오는 상황입니다.gui db로 접속하려고 하니 밑의 그림과 같이 뜹니다.제가 직접 컨테이너에 접근하여 접속한 결과다음과 같이 똑같은 id,pw로 로그인이 되는데왜 gui환경에서만 로그인이 안되는 걸까요?root계정으로 접속 후 저 계정에 대한 비밀번호를 변경해보았습니다.root계정 접속 후 저 계정에 대한 모든 권한을 부여하였습니다.차이점application.yml파일에서 username: root로 실행하면스프링부트도 잘 올라오는데 username:xoxoxmin1268이런식으로 제 아이디를 넣으면 다음과 같은 로그 뜹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카프카를 도입하고 난 뒤 로그로 보여지는 장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마지막에 API서브모듈에서 직접 MySQL로 여러 쓰레드가 JPA save를 통해 INSERT하는 과부하가 발생하던 것을 카프카를 통해서 처리량을 조절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카프카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처리량이 조절된다는 뜻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특히 컨슈머서브모듈에서 보여지는 로그를 확인해보면 여전히 단 건으로 SQL들이 전송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배치방식으로 여러 SQL을 한데 모아 한번에 SQL횟수를 줄여주는 것을 기대했으나 그렇지 않아 어떤 원리로 처리량이 줄어드는 것인지 이해를 못했습니다ㅠㅠ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키생성 방식에 따른 성능
안녕하세요.문제점 해결하기 강의에서 실습을 잘 진행했습니다.실험을 하며 결과를 관측하던 중,@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RequiredArgsConstructor @Entity public class Coupon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위와 같이 @GeneratedValue를 적용하면로그패턴도 달라지고 성능이 급격하게 나빠지더라고요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로 지정하면 실습이 잘 진행됩니다.왜 이런차이가 발생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strategy를 선택하지 않으면 AUTO이며 이는 mysql에서 IDENTITY를 선택한 것과 같게 나와야하는데 예상과 달라 질문드려봅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The instance profile aws-elasticbeanstalk-ec2-role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 does not exist.
https://ginghambagle.tistory.com/162이분 블로그 참고해서 오류 해소했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travis ci가 이제 유료화가 된 것 같습니다;;;
이거 무료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인강 진행이 안되네요.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실습] 백엔드 프로젝트(Spring Boot) 프로젝트를 Docker로 실행시키기 import문제
현재 start.spring.io에서 의존성 두개 추가해서 generate 이후demo.zip파일을 받았는데 압축을 풀고 setting.gradle을 눌렸더니 밑의 그림과 같이 뜹니다.이게 압축을 푸는게 맞는건가요?혹시 몰라서 이클립스를 다운받고 이클립스에서 zip파일을 import시키고 appcontroller생성 후 @Restconrollerimport하는 부분에서 어노테이션을 못찾습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해당 수업자료 이미지 블로그에 사용
"강의 영상을 캡쳐해서 이미지로 써도 다 상관없으니까 기록으로 남겨보세요" 라고 하셨지만혹시나 한번 더 확인차 블로그에 해당 자료 이미지 사용해도 되는거죠..?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gradle 빌드 환경 에 따른 도커파일 설정 값 문의
gredle 을 빌드 도구 설치 해보려 하는데 메이븐과 그래들 도커파일이 설정값이 많이 달라질까요? 빌드 환경이 무엇 이냐에 따라 도커파일 설정값들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참조 할 수 있는 있는 사이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같은 코드로 gradle일때 변경되는 설정 값에 대해 시간이 되신다면 pdf, 깃 파일, 강의 아무거나 넣어 주시면 너무 감사드리겠습니다 gradle 하나 겨우 배워놨는데 아래에 내용에 모두 메이븐 이라고 생각하니 슬프네유 ㅠ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window 데스크탑에 도커 사용하려고 하는데요~
virtual box 로 리눅스 띄워서 도커를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window 에서 도커 데스크탑을 사용하는 게 좋을까요?성능이나 보안 관점에서 조금이라도 더 나은 게 있을까요?서버용 pc는 아니고 그냥 일반 데스크탑 pc 입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쿠버네티스 입문/실전
테스트
kubectl config get-contextskubectl config current-context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vagrant up 명령어 에러
k8s v1.27 버전 설치 (최신, 쉬운설치 버전) - 1.22에서 변경됨으로 작성되어 있는 blog를 참고하며 설치하였습니다.XShell, VirtualBox, Vagrant를 D드라이브에 설치하였으며 k8s 폴더 또한 D드라이브에 설치하였습니다. 이후 curl -O https://kubetm.github.io/yamls/k8s-install/Vagrantfile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8s-1pro/install/main/ground/k8s-1.27/vagrant-2.3.4/rockylinux-repo.json vagrant box add rockylinux-repo.json vagrant plugin install vagrant-vbguest vagrant-disksize총 4가지의 명령어를 cmd창에서 실행한 후 vagrant up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진행되다가 k8s-master: Booting VM... 부분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출력이 됩니다.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Tabby 재실행 시 Time-out
안녕하세요. 예전에도 비슷한 질문이 올라온 것 같은데요.노트북을 껐다가 재시작하고,vagrant up하면, master node와 worker node 3개가 정상적으로 올라오는 것이 보이는데요.Tabby는 접속이 안되네요. (Timed out while waiting for handshake 발생)따른 방법이 있는 것일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