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임재봉님의 프로필 이미지
임재봉

작성한 질문수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30) - {{ x86-64, arm64 }}

2.1.쿠버네티스 실습 환경을 통합하는 이유-v1.30

vagrant up을 하면 설정과 다르게 설정이 됩니다.

작성

·

70

0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

[질문 전 답변]
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
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
(https://inf.run/DvsRD)
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5. vagrant up 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주로 호스트 시스템(Windows, MacOS)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를 모두 제가 파악할 수 없어서 해결이 어렵습니다. vagrant up으로 진행이 어렵다면 제공해 드리는 가상 머신(VM) 이미지를 import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f.run/Ljaer)

[질문 하기]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이번에 VB로 변경을 하고 있는데, 조훈님이 설정한 Vagrantfile과 다를게 아래와 같이 port를 2200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혹시 원인 및 해결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vagrant up

Bringing machine 'cp-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w1-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w2-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w3-k8s-1.30.1' up with 'virtualbox' provider...

==> cp-k8s-1.30.1: Importing base box 'sysnet4admin/Ubuntu-k8s'...

==> cp-k8s-1.30.1: Matching MAC address for NAT networking...

==> cp-k8s-1.30.1: Checking if box 'sysnet4admin/Ubuntu-k8s' version '0.8.6' is up to date...

==> cp-k8s-1.30.1: Setting the name of the VM: cp-k8s-1.30.1(github_SysNet4Admin)

==> cp-k8s-1.30.1: Fixed port collision for 22 => 60010. Now on port 2200.

==> cp-k8s-1.30.1: Clearing any previously set network interfaces...

==> cp-k8s-1.30.1: Preparing network interfaces based on configuration...

cp-k8s-1.30.1: Adapter 1: nat

cp-k8s-1.30.1: Adapter 2: hostonly

==> cp-k8s-1.30.1: Forwarding ports...

cp-k8s-1.30.1: 22 (guest) => 2200 (host) (adapter 1)

==> cp-k8s-1.30.1: Running 'pre-boot' VM customizations...

==> cp-k8s-1.30.1: Booting VM...

==> cp-k8s-1.30.1: Waiting for machine to boot. This may take a few minutes...

cp-k8s-1.30.1: SSH address: 127.0.0.1:2200

cp-k8s-1.30.1: SSH username: vagrant

cp-k8s-1.30.1: SSH auth method: private key

답변 2

0

조훈(Hoon Jo)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훈(Hoon Jo)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현재 로그를 보시면, 충돌이 나고 있습니다.

1: Fixed port collision for 22 => 60010. Now on port 2200.

아마도 기존에 VM웨어 퓨전 때문인 것 같은데요.

프로그램도 삭제하고 관련 내용을 모두 삭제하셨다면 60010포트를 쓰는 프로그램을 강제로 내리시거나

아니면 다시 시작하시면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해보고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조훈(Hoon Jo)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훈(Hoon Jo)
지식공유자

 

lsof -i :60010

netstat -an | grep 60010

관련도 함께 드립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임재봉님께서 Vagrant 사용 중 포트 설정이 자동 변경되는 문제에 대해 문의해 주셨네요.

Vagrant에서 “포트 충돌” 문제로 포트 번호가 자동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설정 중 동일한 포트 번호를 사용하는 다른 서비스나 가상 머신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Vagrant는 이를 자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른 포트 번호로 변경합니다.

해결 방법

  1. Vagrantfile 설정: Vagrantfile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을 명확하게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22번 포트 포워딩 설정을 config.vm.network "forwarded_port", guest: 22, host: 2222로 지정하면, 2222로 포트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이미 사용 중인 포트가 아니라면 충돌을 피할 수 있습니다.

  2. 포트 사용 상태 확인: netstat 또는 lsof 명령어를 통해 현재 사용 중인 포트를 확인하시고, 불필요하게 사용 중인 포트를 닫아 주세요. Windows의 경우 netstat -an을 cmd에서, Unix 기반 시스템에서는 sudo lsof -i -P -n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다른 가상 머신 확인: 다른 가상 머신에서 동일한 포트를 사용 중인 경우가 없도록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중복되는 포트를 수정해 주세요.

아래 게시물에서도 유사한 포트 문제를 다룬 사례가 있습니다.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위 방법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거나 다른 질문이 있으시면, 세부 설정과 환경을 공유하시고 추가 문의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보다 구체적인 도움을 드릴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임재봉님의 프로필 이미지
임재봉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