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영상 17:15 업캐스팅 메소드 관련
이전 강의의 PDF 파일 가장 첫 장을 설명해주실 때, Dog 클래스는 Animal 클래스를 상속하여 eat(), sleep() 메소드를 기본으로 가져오고, bark() 메소드 또한 추가되어 모든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지금 영상 17:15의 풀이에서는 specialDraw() 메소드가 부모 클래스에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고 하셨는데, b 객체가 업캐스팅 되어 생성되었기 때문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7:32 포인터 변수 인덱스 접근
앞 부분에서 설명해주실때는char str[] = "Hello, World!"char *ptr = str이렇게 쓰여있어서 포인터 변수가 배열에 접근하는구나, 따라서 인덱스로 접근이 가능하구나 하고 이해가 되었는데 17:32초 오른쪽 코드에서char *s = "Hello, World!" ;printf("%c", s[0]);이런식으로 포인터 변수에 바로 인덱스 접근한다는 게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그냥 받아들여야하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00:20문제 arr[size-1]앞에 *이 왜 안붙나요??
int maxVal(int *arr, int size)에서 arr에 *을 붙여서 선언을 하고 문제 중간int max = maxVal(arr, size-1); ->여기서 arr은 메모리(정해져 있지 않고 매우긴, 이 arr메모리 값을 다시 int *arr이 받음)여기까지는 그냥 풀고있었는데return(arr[size-1]>max)?arr[size-1]:max;이부분에서 *arr[size-1]이 아닌 arr[size-1]인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위에서 선언 이후에 *이 붙으면 값 *이 안붙으면 주소 아닌가요??질문은 동영상 강의에 들어가서 오른쪽에 커뮤니티 버튼을 통해 해주세요. 그래야어떤 강좌에서 질문하셨는지 알 수 있습니다.영상에서 몇 분 몇 초 대를 알려주셔야 제가 한 번에 질문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이미 다른 누군가가 질문을 한 이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한 번 확인 부탁드립니다.학교의 과제나 타 강사의 코드 등 외부 수업 자료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습니다.제가 다루는 커리큘럼 외의 이론이나, 너무 디테일한 컴퓨터 이론에 대해서는 답변 드리지 않습니다.시험에 안 나오는 경우가 많고, 나와 봤자 1문제 나오는데 외워야 할 부분이 많은 것 등 (예시: 서브넷 마스크 계산)질문을 올릴 때 이 글은 모두 지우고 내용을 입력해주세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5 줄바꿈
2분 35초 마지막 for문에 마지막에 \n이 있는데 왜 줄바꿈이 안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영상 5:14와 18:34 풀이 비교
우선 기본적으로 생성자 내에서 this, super 등이 명시되지 않으면 부모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고, this, super가 명시됐다면 부모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틀렸다면 알려주세요.) 이를 바탕으로 각 풀이 내용을 수강하는데,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5:14 시점B(char x) 생성자의 경우 첫 행에 this()가 명시되어 있어 바로 B() 생성자로 코드로 이동 (이후 내용 생략) 18:34 시점Child() 생성자 내 this가 명시되어 있으나 Parent() 생성자로 이동하여 계산 수행 두 해설 내용 중 어떤 원칙을 따라야 하나요? 상황에 따라 개념이 너무 헷갈립니다. 혹시 제가 잘못 알고 복습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 질문 내용 추가다른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읽어보면서 이해한 해당 개념에 대한 질문을 추가로 드립니다. 아래 내용대로 이해해도 될까요?자식 클래스의 생성자는 생성 전 무조건 부모의 기본 생성자를 먼저 한 번 호출해야 한다.자식 클래스의 생성자에 첫 행에 super가 명시된 경우, 이 super를 통해 부모의 기본 생성자를 호출하므로 1번 개념을 수행한 것으로 간주한다.자식 클래스의 생성자의 첫 행에 this만 명시된 경우, 부모 클래스의 기본 생성자를 먼저 호출해준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영상 3:32 업캐스팅 호출 계산 과정
제가 푼 문제 풀이와 해설이 달라서 질문 남깁니다. 1. Main 함수 내 b 객체 생성하는 코드 확인하여 C 클래스 내의 C(int a)로 이동2. C(int a) 계산 전 부모클래스 B에 동일한 형태의 변수를 사용하는 B(int a)가 먼저 계산되어야 하므로 이동3. B의 부모클래스 A에 동일한 매개변수가 있는 생성자가 없으므로 기본 생성자 A() 호출 및 10 출력4. B(int 100) 계산하여 100 출력5. 이후 C(int 100) 계산 (상세 내용 생략)위와 같은 과정으로 계산을 진행했는데, 2번 과정이 틀렸더라구요. 해설을 보니 C(int a)의 첫 행에 super가 언급되어 (a/3)을 먼저 계산한 후 33을 B(int 33)으로 대입해 계산을 이어나간 것으로 보입니다.만약 C(int a)의 첫 행에 super가 없었다면 제가 처음 계산한 과정이 맞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맴버변수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7분쯤 유형 2번 설명을 듣다 문득 궁금해 질문 드립니다. 보통 객체를 생성자로부터 생성하면서 맴버변수에 값을 할당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ex) public handbag(int price){this.price = price;}handbag bag1 = new handbag(4000);네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요근데 유형2 코드에서는 생성자가 없고 Child 클래스단에 value 변수를 선언하고 메서드가 하나 있습니다.그렇다면 child 클래스에 대한 객체를 생성했을때 객체 obj는 자동으로 int value = 20 의 값을 가지게 되는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2분 48초 DAC,MAC,RBAC 관련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영어랑 한글이 둘다 답변이 될 수 있는 이론문제 경우에 답변을 한글로 적는 게 좋을까요? 영어로 적는게 좋을까요? 혹시 해당문제 답변을 강제적 접근통제, 임의적 접근통제, 역할기반 접근통제 이런식으로 답변을 작성하면 틀릴 수 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어떤식으로 공부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강의 계속 듣고 있는데 이대로 들으면서 그냥 익숙해지고 문제풀이하고 그러면 합격 문제 없는지.. 걱정이네요 ㅠㅠ..;혹시 어떤식으로 공부하라고 조언을 주실 수 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54:33 char *str 값 질문입니다. 에서 *str은 hello world의 첫글자를 가리키고,
54:33 char *str 값에서 *str은 hello world의 첫글자인 h를 가리키고, 53:06의 strLeb(str + 1)에서 str도 hello world의 첫글자인 H를 가리키네요,, 54 *str은 함수 정의로 쓰인거고 53의 str은 호출로 쓰이는게 맞나요?(둘다 print에 들어가있는게 아니라서 정의할때 쓴건지,,)포인터를 볼때마다 얘가 전체 문장을 가리키는건지, 아니면 첫글자만 가리키는건지 영상을 계속 봐도 헷갈리고 어렵네요ㅠㅜ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SQL 쿼리 관련 질문
1:14:06SQL 쿼리 작성하는 문제 2번에서,'insert into 사원() select 사원번호,이름~~'위와 같은 형태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insert into 사원() values (select 사원번호, 이름~~)'이런 형태로 작성되어야 옳은것이 아닌지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3년 2회 기출 첫번째
정답을 n[i + 1]%5 라고 하셨는데인덱스 자체를 % 5 하는거니깐n[(i + 1) % 5]라고 하는게 맞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 거꾸로 뒤집어보자
16분 출력값이 11부터 99까지 앞뒤가 똑같은 수는 정답이 이해가 되는데 1부터 9까지는 한번 대입해봐도 or = rv 같지 않던데 왜 1부터 9도 출력값에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적변수, 정적메서드 질문
안녕하세요 32강 정적변수, 정적메서드 강의 중 9분 34초 내용입니다.get은 호출된적이 없어서 return을 실행하지 않을텐데 에러가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new Person할때 만들어지면서 해당 코드를 정의하면서 생기는 에러라면 에러 나는 지점이 new Person이 적혀있는 라인이라고 생각했는데 get 안의 return이 에러 지점인 이유가 이해되질 않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C언어 %s
9:54 에 출력문 %s는 빈공간이 나올때까지 출력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그렇다면 출력값이str = Hello가 돼야하지 않나 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4년 2회 기출 (영상 34:48)
동영상에 따르면 idx: 0, c:a, seen[a]: false idx: 1, c:a, seen[b]: false idx: 2, c:a, seen[a]: trueidx: 3, c:a, seen[c]: false idx: 4, c:a, seen[a]: trueidx: 5, c:a, seen[b]: trueidx: 6, c:a, seen[c]: trueidx: 7, c:a, seen[d]: false 로 나와있는데 저가 풀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 혹시 잘못된 계산인가요?답은 맞긴한데 조금 찜찜하네요idx: 7, c:a, seen[d]: false -> true result =didx: 6, c:a, seen[c]: false -> true result =dcidx: 5, c:a, seen[b]: false -> true result =dcbidx:4, c:a, seen[a]: false -> true result=dcbaidx: 3, c:a, seen[c]: trueidx: 2, c:a, seen[a]: trueidx: 1, c:a, seen[b]: trueidx: 0, c:a, seen[a]: true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 상속 시 업캐스팅 클래스에 대한 변수 호출 질문
안녕하세요, 업캐스팅 메서드 호출에 관해서는 잘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변수 호출에 관해서 질문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p = new Child(); System.out.print(p.x + " "); p.print(); } } class Parent { int x = 10; void print() { System.out.print("Parent "); }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int x = 20; void print() { System.out.print("Child "); } } 이런식으로 함수가 작성되면메인함수의 system.out.print(p.x+" ") 실행될 때p.x 변수 호출에 관한 질문입니다.child 클래스의 변수 x 값인 20이 호출되지 않고parent 클래스의 변수 x 값인 10이 호출된다고 하는데 이건 왜 그런가요?그냥 외워야 하는 java 언어의 기본값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7분05초 업캐스팅과 출력 순서에서
X y = new Y();여기서 태어날때 생성자가 없어서 무시해도 된다는게 생성자가 있는지 없는지 보는 기준 모르겠어요 헷갈려서 ..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이론파트 PDF파일 받는 위치 알고 싶습니다.
어디서 받을수 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java 업캐스팅 and 그냥 생성
단순한 java 질문인데만약 부모, 자식 class가 있고, 자식이 부모를 상속받고 생성할때 오직 업캐스팅 형태에서만 자식 생성자를 생성할 때 부모 생성자를 만들고 생성하는 건가요?아니면 업캐스팅이 아닌 일반적으로 자식 생성자를 생성할때도 부모 생성자를 불러서 생성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