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오타 - 불변객체 문제풀이 문제 설명, 클래스 이름 오타
오타 발견햇습니다.문제 설명에 이름을 "ImmaubleMyData, ImmaubleMyDataMain"라고 지으라고 했는데 ide에서 계속 밑줄이 쳐져 있어서 ide의 도움 + 답안지를 보니까"ImmutableMyDate, ImmutableMyDateMain" 라고 ide가 고치고, 답안지 클래스 이름도 이렇게 되 있더 라고요.(-중간에 "t" 가 빠짐) 수정해야 할 것 같네요.
-
미해결[왕초보편] 앱 8개를 만들면서 배우는 안드로이드 코틀린(Android Kotlin)
없습니다
activity_main.xml 이라는것이 없습니다
-
미해결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1 - Llama 2 Fine-Tuning 해보기
GPT3의 퓨샷러닝과 파인튜닝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리며 두가지 질문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GPT 3.5를 그냥 사용한다고 할때, 퓨샷러닝이 학습때 사용되는 기법이 아니라고 이해하였는데 그러면 제가 GPT에게 "영어로 번역해줘"라고 타이핑하면 제 눈에는 안보이지만 GPT 자체적으로 예시를 몇가지 만들고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 결과를 출력한다고 이해하는게 맞을까요?GPT3 학습시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에 대해서(특정 산업군 지식이라던지) 적절한 정보를 출력하는 LLM을 만들고자 한다면 파인튜닝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였는데 맞나요??
-
미해결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1 - Llama 2 Fine-Tuning 해보기
GPT1과 GPT2 학습 차이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GPT2파트쪽 강좌를 들으면서 GPT1에서 설명하신 모델이 헷갈려서 문의드립니다.GPT1의 경우 마지막 출력으로 다음 토큰에 대한 소프트맥스 값과 TASK에 대한 소프트맥스 값이 출력되고 각 레이블 값에 의해 학습되는 것이라 이해하였는데 해당 모델 구조가 그림상으론 같이 표현되어 있는데 처음에 비지도학습시엔 토큰에 대한 예측값만으로 학습하고 파인튜닝시엔 두가지 출력을 모두 활용하여 학습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맞나요?? 또한, GPT2에선 테스크에 대한 소프트맥스값으로 학습한다는 개념이 빠지고 오로지 다음 토큰에 대해서만 학습한다는 개념이 맞을까요?
-
해결됨
로드맵 완강후, 언리얼 공부방식
안녕하세요 로드맵을 다 완료한후(pt1,2,3,4) 언리얼 내부엔진에 대한 좀 더 깊은 이해를 하고싶은데 뭐 어떠한 부분부터 공부하면 될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저는 현직 C++ 게임서버 개발자라서, 서버에서 활용가능한 기술에 대해서 관심이 쫌 높은편입니다.관련해서 제가 관심도가 높은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언리얼에서 navmesh 로 지형을 bake하면 어떠한 출력물이 나오고, 이 출력물을 게임서버에서 읽으면 어떻게 읽혀지는지 이러한 것들이 궁금합니다.(즉 만들어지는 양식과, 이렇게 만들어지는 양식을 게임서버에서 load하는 방법, 사실 Detour&Recast 같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되겠지만, 이렇게 말고 원리를 알고싶습니다.->이러한 이유는 추후에 navmesh 로 이루어진 지형을 custom 해서 사용하고 싶기 떄문입니다. ) 2). 언리얼에서 사용되어지는 수학및 충돌 처리 기본적으로 그래픽스에 필요한 게임수학을 알고 있고 충돌 처리(AABB, OBB등등)도 알고 있긴 합니다만,지형에 있는 collision 서버사이드에서 충돌 판정을 하고 , 이를 토대로 Raycast하는 수식등등을 알고 싶습니다. 위 두가지를 일단 가장 알고싶습니다. 로드맵기준 pt1,2,3,4를 다 완강한뒤 위 2가지를 알고 싶어서 언리얼 엔진 내부 코드를 분석하게 된다면, 엔진코드의 어느부분의 어디부터 하나하나 씩 살펴보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자바 스프링 프레임워크(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Project 'ch02_pjt_01' has no explicit encoding set ch02_pjt_01 /ch02_pjt_01 No explicit project encoding
해당 오류가 나는데 어떻게 처리하면 될까요?이렇게 오류가 두가지 뜹니다...ㅠㅠProject 'ch02_pjt_01' has no explicit encoding set ch02_pjt_01 /ch02_pjt_01 No explicit project encodingProject 'testPjt01' has no explicit encoding set testPjt01 /testPjt01 No explicit project encoding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 관계에 대해서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비지니스 요구 사항에 맞게 엔티티를 설계할 때 비지니스가 복잡하고 현실과 맞게 설계하기 위해서 고민하다 보니 다대다 관계가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배운대로 OrderItem과 같이 모두 중간에 엔티티를 만들어 1대다로 바꾸었습니다만 몇가지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다대다 관계를 위해 중간 엔티티와 테이블을 만들다 보니 의미없는 엔티티와 테이블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설계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나요OrderItem과 같은 중간 엔티티에 대한 리포지토리를 만들면 조회가 편해지고 조인 횟수를 줄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은 설계적으로 바람직하진 않은가요? 언제나 답변 감사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k8s naming convention이 궁금합니다.
일프로 강사님께. 안녕하세요. 일프로 강사님 강의를 잘 챙겨보고 있는 학생입니다. 강사님 수업을 듣고 기존 도커 컨테이너로 운영하고 있는 서비스를 로컬에서 k8s로 변경하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제가 백엔드 개발을 주로 해서 yml 파일을 작성할 때 코드 컨벤션에 신경이 많이 쓰입니다. deployment나 service, configMap 등의 이름을 작성할 때 현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컨벤션 등이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찾아보니 유의미한 자료를 찾지 못해서 질문을 남깁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섹션 6에서 코드를 서비스 단으로 옮기고 난뒤부터 get 메소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
강의를 따라서 로직을 서비스 단으로 옮긴 뒤부터 response 코드 200인데 내용이 posts들이 오지 않아요getPostsbyId도 이렇게 되고 getAllPosts도 이렇게 됩니다 도와주세요 ㅠㅠ나머지 put이랑 post , delete 는 제대로 작동합니다 ㅠㅠ
-
미해결[리뉴얼] 코딩자율학습 제로초의 자바스크립트 입문
강의보는순서질문
강의가많은데 보는 순서좀 알려주세요. 풀스택.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서버가 이중화인 경우
안녕하세요. synchronized, cas 등 동시성 이슈를 해결하는 기법들인데, 서버가 한대인 경우에 한해서만 위 기법들이 적용될 것 같은데요. 제가 생각한게 맞을까요?서버를 여러 개로 실행하는 경우 DB 자체에 락을 걸고 사용해야 하나요?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EKS
강의대로 따라 했는데 다 설치후에 AWS EKS에서 확인을 해보니 생성이 되지 않았는데혹시 다른부분 봐야할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퀘스트&업적 시스템
스크립터블 오브젝트
안녕하세요 수업 도중에 한 가지 질문이 생겨서 글 올립니다.퀘스트를 모듈식으로 조립하기 위해 스크립터블 오브젝트를 많이 사용하던데, 스크립터블 오브젝트는 빌드에 포함되는 에셋 형태이기에, 빌드 용량이 커지게 되고, 사용자가 접근이 가능한 문제가 있다고 알고 있는데, 혹시 제가 이 부분에 대해서 잘못 알고 있는 것일까요?만약 문제가 맞다면, 스크립터블 오브젝트말고 어떤 식으로 구조를 짜는게 좋을까요?
-
해결됨두고두고 써먹는 유니티 VR
혹시 유니티 빌드 없이 플레이 했을때 오큘러스 퀘스트2로 가능한가요?
방법도 모르고, 오큘러스 넘 복잡해서 자세히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ㅠ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제로초님 안녕하세요 ㅎㅎ 질문이 있습니다 ㅎㅎ
react-query에서 하나의 궁금 증이 있는데 제가 아직 다 안봐서 헷갈릴 수도 있긴 하겠지만 prefetchQuery의 경우는 post, pus, delete 등의 메소드 일때는 사용 하지 않고 대부분 get일때만 사용 하나요?! post, pus, delete 의 메소드들은 Mutation으로 사용 된다고 생각 하면 될까요?! 헷갈리네요 ㅠㅠprefetchQuery말고 axios 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붙여서 사용 해도 될까요?! fatch 를 사용 하셔서 한번 여쭤 봅니다 ㅎㅎ
-
미해결웹 개발자와 정보보안 입문자가 꼭 알아야 할 웹 해킹 & 시큐어 코딩
sql injection 공격 대응방안
sql injection의 대응 방안에서 쿼리에 입력값이 적용되는 부분엔 필터링, 이스케이프처리, 입력문자열길이 제한 조치를 하셨는데 prepared statement 방식으로 정적인 쿼리를 사용하면 한번에 처리가능하지 않나요? 현업에선 잘 안쓰나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질문
터미널에서 code 입력해도vs코드가 실행이 안됩니다. command not found 라고만 뜨네요.그리고 전 밑에 버전이 안나와요
-
해결됨삼각형의 실전! CMake 초급
혹시 강의에 나오는 예제 코드를 받을 수 있는건가요?
섹션 2의 모던 CMake 쪽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제가 놓친거 같은데 강의에서 실행하는 예제 코드 들은 어디서 다운 받을 수 있는건가요?아니면 제가 비슷하게 만들고 테스트를 해야 되는건가요?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aws과금
강의를 들으면서 aws설정중인데요 혹시 어느부분부터가 과금이 측정될까요?? 아직 강의를 다안보고 eks 설정부분 듣고 있습니다. 괜히 이거 설정해 놓고 냅두면 과금될까봐 걱정되서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questParam, @ModelAttribute 생략 규칙을 개발자가 생각하면서 개발해야 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 내용이 개발자가 고려할 건 아니고, 그냥 스프링이 내부적으로 동작하는데 있어서 규칙을 지정한 것이라고 이해했는데 맞나요?개발자가 이것을 구분하면서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다가, 굳이 그럴 필요는 없는것 같아서요! 그냥 스프링의 내부 동작 방식으로 이해하면 되겠죠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