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유튜브 사이트 만들기
npm run dev 동작 에러
Failed to parse source map from 'C:\Users\user\Desktop\boilerplate-mern-stack-master\client\node_modules\mutationobserver-shim\dist\mutationobserver.map' file: Error: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open 'C:\Users\user\Desktop\boilerplate-mern-stack-master\client\node_modules\mutationobserver-shim\dist\mutationobserver.map' [1][1] ERROR in ./node_modules/antd/es/version/index.js 2:15-22[1] Should not import the named export 'version' (imported as 'version') from default-exporting module (only default export is available soon)이런 에러가 뜨는데 어떻게 해결하나요...도와주세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유튜브 사이트 만들기
npm run dev 동작 에러
ERROR in ./node_modules/antd/es/version/index.js 2:15-22[1] Should not import the named export 'version' (imported as 'version') from default-exporting module (only default export is available soon) 이런 에러가 뜨는데 어떻게 해결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과 SQL 차이가 잘 이해가 안갑니다.
JPQL은 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쿼리한다고 하고 SQL은 DB 테이블을 대상으로 쿼리한다고 하시는데이 말이 잘 이해가 안 갑니다. Jpql을 통해 결국 SQL을 생성하는것도 이해했고 Jpql이 특정 DB에 종속적이지 않다는 말도 이해했습니다. 다만 검색 쿼리로서 Jpql의 용도를 하기 위해서는 Jpql도 결국 DB 테이블을 대상으로 쿼리를 하는게 아닌가요?엔티티 객체를 대상으로 쿼리를 한다는 말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 엔티티 객체라는 말 자체가 혼동이 됩니다.저는 평소 엔티티라는 말을 RDB 관점에서 다른것들과 구별을 가지는 DB에서의 클래스 정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여기 JPA강의에서 엔티티는 @Entity 어노테이션을 통해 JPA에서 관리하고 RDB의 테이블과 1대1로 매칭되는 단위 정도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거기다가 객체라는 용어도 평소 프로그래밍에서 쓰던대로 클래스를 구현한 실체정도로 생각한다면, 여기 JPA강의에서 엔티티 객체라는 말은 한 번이라도 영속화를 시켜준 실체라고 이해해야 하나요? 정확한 정의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
Kubernetes 환경 구성
kubernetesf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calico를 설치하는데 까지는 성공했는데,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할때 The connection to the server 172.16.213.24:6443 was refused - did you specify the right host or port? 가 뜨다가. 갑자기 또 되다가. 또 안되다가를 반복합니다.혹시 해결법 하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ㅜ 그나마 실행 정상적으로 되는 순간을 확인해봤는데 calico-kube-controller 쪽에서 저런 오류가 뜨고.. 아마 아래에 calico node가 init되다가 오류가 나면서 계속 꺼졌다 켜졌다 하는거 같은데 왜 그런걸까요 ㅜ 시도해본 해결법swap 설정 해제방화벽 해제포트 6443 열기docker containerd config.toml 변경
-
미해결
스플래쉬화면만 작동하고 인트로화면으로 넘어가지 않고 앱이 닫혀요
코드도 동일하게 작성을 하였는데스플래쉬화면만 작동하고 인트로화면으로 넘어가지 않고 앱이 닫혀요무슨 문제가 있는건가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강의
민철님혹시 네트워크말고데이터베이스 강의도 나오나요?ㅎㅎ..네트워크는 곧 나온다고하셔서 엄청기대중인데 4월중으로는 나올까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pdf, ppt
현재 이 강의 ppt나 pdf 자료는 없을까요?ㅠㅠ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노션 공유 안됨
안녕하세요 원래 노션 공유 되다가 갑자기 보니까 공유되었던 노션 페이지가 현재 접근이 안되서 문의드립니다. 혹시 재공유 가능할까요? 주소는 leejm9630@gmail.com 입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스프링 프로젝트 초기 세팅을 initializer 웹페이지를 통해 하는 이유가 있나요??
인텔리제이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열 때, spring initializer를 선택하면 initializer페이지와 같은 항목이 뜨는데 인텔리제이에서 세팅하는 것 보다 사이트를 이용할 때 장점이 있을까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next의 확장된 fetch 캐싱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fetch 함수를 사용할 때 next 객체 tags에 태그들을 지정해서 넣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그 태그들로 분류되어 next가 캐싱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브라우저 쪽에서 작동하는 fetch(예를 들어 onclick에 붙어있는 fetch라든지... )와 next 서버 쪽에서 작동하는 fetch(예를 들어 api 디렉토리의 routes.ts에서 동작하는...)의 태그가 같다면 캐시 공유가 되나요? 브라우저는 브라우저 쪽에 서버 쪽 fetch는 서버 쪽에 저장될 것 같은데 어떻게 동작하는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래퍼타입 연산에 대하여 질문있습니다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Integer a = 1; System.out.println(a + 3);의 출력 결과가 4로 나오는데 a의 타입은 Integer이잖아요? 그러면 연산중 a가 오토언박싱으로 인해 int형을 변한된후 3과 더해져서 4가 된후 다시 오토박싱으로 Integer타입으로 저장되는걸로 이해했는데 맞나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1차 캐시와 트랜잭션 격리 수준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책으로 학습 중에 "1차 캐시를 통해 Repeatable Read 수준의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보고 궁금증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 격리 수준이 Read-Committed와 Repeatable Read인 경우, 언두 로그를 이용한 MVCC로 한 트랜잭션 내에서 반복적인 읽기를 보장한다고 알고 있습니다.하지만 이 둘을 성능 관점에서 봤을 때 언두 로그에 있는 Row를 삭제하는 범위가 달라져 상대적으로 Repetalbe Read가 성능이 더 안 좋다고도 알고 있습니다.결과적으로 1차 캐시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Read Committed를 보장해 주는데, 굳이 MySQL 서버에서는 불필요하게 언두 로그에 더 많은 Row를 저장하면서까지 Repetable Read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됐습니다. 따라서 MySQL 8.0 기준으로 JPA를 사용하면,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Repetable Read로 설정하지 않아도 되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입문] Dart 언어 4시간만에 완전정복
밑에 질문 사진첨부해서 다시 질문드려요~
아이돌로 설명할때 ...클래스 안에서 함수 넣을때 처음엔 앞에 void를 넣으셨는데 뒤에 강의에서는 TimesTwo클래스에서는 void 를 안쓰고 바로 int 를 쓰시더라구요 void는 에러가 저렇게 나네요 왜 그런거죠...?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mvn spring-boot:run 실행불가 (꼭 해결해주세요)
찾아보니 비슷한 질문이 있었던 거 같은데 현재 실습환경과 100% 일치하지 않아 도움을 구합니다. 실행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텔리제이 : Build #IU-241.14494.240, built on March 28, 2024JDK : 17스프링부트 : 3.2.4 아시다 시피 최신 인텔리제이에서는 실습환경으로 제시되는 2.X 버전의 스프링부트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 POM.XML로 강제로 버전을 내리거나 JDK 버전을 내리는 경우 서비스 기동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아마 스프링부트 3 버전에서는 JDK 특정 버전 이상을 강제하는 느낌입니다. 현재 pom.xml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s://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parent>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parent</artifactId> <version>3.2.4</version> <relativePath/> <!-- lookup parent from repository --> </parent> <groupId>com.example</groupId> <artifactId>user-serivce</artifactId> <version>0.0.1-SNAPSHOT</version> <name>user-serivce</name> <description>user-serivce</description> <properties> <java.version>17</java.version> <spring-cloud.version>2023.0.1</spring-cloud.version> </properties>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starter-netflix-eureka-client</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devtools</artifactId> <scope>runtime</scope> <optional>true</optional>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optional>true</optional>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est</artifactId> <scope>tes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dependencies>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cloud</groupId> <artifactId>spring-cloud-dependencies</artifactId> <version>${spring-cloud.version}</version> <type>pom</type> <scope>impor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dependencyManagement> <build> <plugins> <plugin>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maven-plugin</artifactId> <configuration> <excludes> <exclude>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exclude> </excludes> </configuration> </plugin> </plugins> </build> </project> 명렁어 실행 시 에러는 다음과 같이 발생합니다. [ERROR] Unknown lifecycle phase ".run.jvmArguments=-Dserver.port=9003". You must specify a valid lifecycle phase or a goal in the format <plugin-prefix>:<goal> or <plugin-group-id>:<plugin-artifact-id>[:<plugin-version>]:<goal>. Available lifecycle phases are: pre-clean, clean, post-clean, validate, initialize, generate-sources, process-sources, generate-resources, process-resources, compile, process-classes, generate-test-sources, process-test-sources, generate-test-resources, process-test-resources, test-compile, process-test-classes, test, prepare-package, package, pre-integration-test, integration-test, post-integration-test, verify, install, deploy, pre-site, site, post-site, site-deploy. -> [Help 1] 동일한 명렁어를 윈도우즈 cmd에서 실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WARNING] Error injecting: org.springframework.boot.maven.RunMojojava.lang.TypeNotPresentException: Type org.springframework.boot.maven.RunMojo not present at org.eclipse.sisu.space.URLClassSpace.loadClass (URLClassSpace.java:147)(중략)Caused by: java.lang.UnsupportedClassVersionError: org/springframework/boot/maven/RunMojo has been compiled by a more recent version of the Java Runtime (class file version 61.0), this version of the Java Runtime only recognizes class file versions up to 55.0 본 문제 때문에 강의 진행이 안되고 있습니다.꼭 해결해 주셨으면 합니다.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3-8] React Query 도입(2) - 로그인 연동하기
[3-8] React Query 도입(2) - 로그인 연동하기 아침에도 질문올리고 또 올리네요 ㅠ거의 하루종일 이 부분 학습하고 회원가입 로그인 했는데어떠한 오류도 없고 회원가입, 로그인이 안되서 질문 남깁니다.강의 파일 비교해봐도 특별히 오타가 없는거 같은데요혹시 깃주소 올리면 봐주시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입문] Dart 언어 4시간만에 완전정복
클래스안에서 함수 넣을때 요
아이돌로 설명할때 ...클래스 안에서 함수 넣을때 처음엔 앞에 void를 넣으셨는데 뒤에 강의에서는 TimesTwo클래스에서는 void 를 안쓰고 바로 int 를 쓰시더라구요 void는 에러가 저렇게 나네요 왜 그런거죠...?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2: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실행시 미로 점들이 모양이 이상합니다.
현재 아래와 같이 실행되어 나옵니다.강의와 같이 나올려면 어디서 설정해야 하나요? 실행시 모양강의에서 나오는 모양
-
미해결
spring boot프젝에 main을 못 찾겠어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분석 중에 있습니다.로컬에서 빌드해서 구동되고 접속 까지 확인을 했습니다.그런데 소스를 보면 public static void main 을 찾을 수 없습니다.war로 묶어 실행해 보아도 "기본 Manifest 속성이 없습니다"라고 나옵니다. 이럴 경우에 검색해보니 main 위치를 설정해 주라고 하는데 소스에 main을 찾을 수가 없어요.어떤 상황? 구조일까요? spring boot 프젝이 아닌걸까요? (상위 프젝 pom파일에 spring-boot-starter-web 이 dependency되어 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언체크 예외 단점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체크예외 언체크예외의 장단점에 대해 들으면서 궁금한 것이 생겼는데요, 언체크 예외를 모두 메인 메서드에서 처리한다고 했을 때 실수로 처리를 누락하는 언체크 예외가 생길 수 있을 것 같은데 언체크다보니 컴파일러가 잡아주지 못해서 런타임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는 것이 언체크 예외의 어쩔 수 없는 단점인가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기초 프로그래밍 입문
Sort 오름차순, 내림차순
대리자로 소트를 오름차순, 내림차순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namespace 4.델리게이트{internal class Program{delegate void Sort(int[] arr);static void MinSort(int[] arr){int id;for(int i = 0; i < arr.Length - 1; i++){id = i;for (int j = i + 1; j < arr.Length; j++){if (arr[j] < arr[id])id = j;}int temp = arr[id];arr[id] = arr[i];arr[i] = temp;}}static void MaxSort(int[] arr){int id;for (int i = 0; i < arr.Length - 1; i++){id = i;for (int j = i + 1; j < arr.Length; j++){if (arr[j] > arr[id])id = j;}int temp = arr[id];arr[id] = arr[i];arr[i] = temp;}}static void PrintArr(int[] arr){foreach (int a in arr)Console.Write(a + " ");Console.WriteLine();}static void Main(string[] args){// delegate (대리자) 사용 빈도 높음 주의int[] arr = new int[] { 20, 10, 40, 50, 15 };Sort[] sort = new Sort[] { MaxSort, MinSort };string str = Console.ReadLine();switch (str){case "max":sort[0](arr);break;case "min":sort[1](arr);break;}PrintArr(arr);}}} 혹시 이것도 그 편한 방법에 포함되는 코드라고 할 수 있을까요?그리고 Sort sort = MaxSort; sort += MinSort;이렇게 두개의 함수를 추가한다하면제가 위에서 보낸 코드 처럼 sort[0]으로 접근이 안되는데 어떻게 접근해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