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동기화가 보장된다고 하더라도 스레드간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지 않나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질문 드릴 것이, 동기화가 보장되어서 각 스레드 별로 원자적으로 연산을 한다고 하더라도 CPU 레지스터에서 이루어지는 연산이기 때문에 메모리에 바로 적용되지는 않는거 아닌가요? 동기화 매커니즘과 동시에 atomic 혹은 volatile 을 선언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SJF 예제 (28분 28초)
SJF는 비선점형이고 프로세스 도착순서가 P1,P2,P3이니 가장 먼저 P1 도착하자마자 작업이 시작되고 작업이 수행되고있는 도중에는 다른 프로세스가 끼어들지 못하는거 아닌가요?P1 (4) - 그 후에는 실행시간 이 짧은 P3 (1) - P2 (2) 이런식으로 되야할것같은데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안녕하세요 56분 35초 문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재귀함수 질문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재귀함수가 maxVal(arr, 5) -> maxVal(arr, 4) -> maxVal(arr, 3) -> maxVal(arr, 2) -> maxVal(arr, 1) 에서 조건을 최종적으로 만족했으면 거기서 마무리가 아니라 다시 반대로 거슬러 올라오는 것까지가 과정의 마무리 인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유튜브 24년 3회 대비영상 질문드립니다.
유튜브 정보처리기사 24년 3회 대비 (C언어 반복문, 전위 후위 연산자, Java 업캐스팅과 상속)에서 21: 40 문제관련 질문드립니다. Main()내의 child parent = new Child() 는'자식이 나오려면 반드시 부모가 먼저 나오고 자식이 나와야 한다' 로 암기하고 있는데그렇다면 실행 순서가1. Parent() 실행 - "부모기본생성자"출력Child() 실행super로 Parent('홍길동',30) 실행이후 쭉~~~이렇게 되어서 출력결과가부모기본생성자부모기본생성자이름=홍길동, 나이 =30자식 기본생성자 호출됨부모클래스의 메서드로 나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상속 너무 어렵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유형10번 질문
유형 10번이 업캐스팅 형태이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나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배포까지 완료했는데 index.html 접속이 안됩니다
어디서 잘못된걸까요?ㅜㅜ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년 2회 기출문제 07:20 부분
안녕하세요. 07:20부분 parr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parr[0] = arr[1] 이면. arr[1]에는 4,5,6이 들어가있으니 4,5,6이어야 할 듯 한데 4만 가리키는건지 궁금합니다. parr[0] = arr[1][0]이면 4일 듯 한데요. 추가 설명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년 1회 코드해석 기출문제 21:36 부분
안녕하세요. 유독 이 강의에서 질문을 많이 드리네요. Python Seoul, kyeonggi 문제인데요. 다른 부분이야 어려울 게 없고 풀 부분은 for i in a; str = str + i[1] 인데요. i는 a가 끝날때까지 도는 건 이해하였습니다.str에 str + i[1] 부분을 더해서 넣는 것도 이해하였는데요. i[1]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서요. a[1]도 아니고 i[1]은 이해가 잘 되지 않아서요. a[1]은 Seoul일 듯 한데요. i[1]은 E가 되는걸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년 1회 코드해석 문제 18:52부분
안녕하세요 시저암호에 대한 내용인데요. isupper islower isdigit 등 안에 for문은 이해하였는데그 다음부분에result[i]='\0' Null문자는 왜 들어가는지,printf 부분에 %s, result인데 Nd sc 1 띄어쓰기부분이 왜 나오는건지 이해가 안됩니다. 추가 설명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4년 1회 코드해석 기출 문제에 06:40 부분
안녕하세요. 처음 보는 시험 문제 양식이어서 이해가 잘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static 변수를 선언하면 이 변수는 모든 객체가 공유한다는 내용은 전에 가르쳐주신대로 이해하였는데 count라는 변수는 conn1 coon2 객체별로 전부 다를 듯 한데 같은 객체가 계속 태어나는 거라고 하셔서요. 이 부분이 이해가 안되어 추가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write(int b) 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3장의 초반 내용중에 read() 의 반환값이 byte가 아닌 int 인 이유를 설명해주셨는데요. (EOF 을 알기위해서...) 그렇다면 write(byte b) 가 아니라 write(int b) 인 이유는 뭘까요? 어차피 4byte 중에 하위 1byte만 write될 건데 write(int b) 로 한 이유가 궁금하네요. write(-1) 이렇게 한다고 해서 read()에서 -1로 읽혀서 EOF 라고 판단되지도 않을거 같아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전이와 고아 객체는 부모쪽에 걸어줘야하나요?
다 부모쪽에 걸던데 자식쪽과 같이 걸거나 자식쪽에만 걸면 안되나요? 그리고 부모라는게 Many와 One 중에 One 인 곳이 부모라보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객체 생성에 관해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요. 예시에 나온 Student 클래스를 예로 들면student1 객체를 만들었을때 student1.name = "익명" 이라고한다면 name이라는 멤버변수에 접근을 해서 "익명"이라는 값을 할당하는게 실제 Student 클래스의 name에다가 해당 값을 할당하는게 아니라 Student 클래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메모리 x001에 있는 name 변수에다가 값을 할당한다는거 같은데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서브쿼리문 질문있어요
select 제조사, 제품명, 단가from 제품where 단가 < select avg(단가) from 제품; 혹시 서브 쿼리문 괄호를 안넣어주면 틀린것으로 볼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SQL 설치 관련
https에서 sql release까지 잘 다운로드 받았는 것 같은데 sudo yum install mysql-community-server를 하니까 이런 에러 메세지가 뜹니다...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파이썬에만 있는 연산자들
자바, 같지만 다른 것들에서의 ==와 여기에서의 ==의미가 살짝 다른 것 같은데 자바에서는 메모리가 같아야 하는 의미고, 파이썬에서는 값이 같으면 되고 맞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프로젝트 생성 질문 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처럼 src 패키지에 main 클래스만 있는게 아니라 이상한 패키지가 다수 생성되는데 어떻게 하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4분
printf("1번. %d\n", ++*ptr); printf("2번. %d\n", *(ptr+1)); printf("3번. %d\n", *ptr++); printf("4번. %d\n", ++*ptr); printf("5번. %d\n", *ptr+1); printf("6번. %d\n", *ptr++); printf("7번. %d\n", *ptr+1);위에처럼 arr이ptr로 바껴도 출력값은 같은게 맞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3년 3회 기출 완전수문제
8분19초 쯤에 완전수6의 예시를 보여주셨는데(1,2,3)이 약수잖아요 근데 n%j ==0 인데 n=6 j는 1,2,3 일때 1이 왜 해당이 되는지 모르겠습니다.6%1의 나머지가 인가요? 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간단한 주문 조회 V4 : JPA에서 DTO로 바로 조회에 대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해당 강의에서 5:35초를 보시게 되면, 원래는 fetch join이 아닌 join이지만 public List<OrderSimpleQueryDto> findOrderDtos() { return em.createQuery( "select new jpabook.jpashop.repository.OrderSimpleQueryDto(o) " + "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OrderSimpleQueryDto.class ).getResultList(); }fetch join을 하게 되면 v3메서드와 동일한 결과가 나옴과 동시에 쿼리문도 동일하게 1개가 출력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여기서 드는 의문점은' fetch join은 select절에 entity가 아닌 DTO를 명시하게 되면 안된다' 즉, 'fetch join은 select절에 entity만을 명시해야 한다' 라고 질문 글을 찾아보며 알게되었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예상과 다르게 잘 작동하여 의문이 들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