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08-01-map-fruits 실무 효율적인 렌더링 예제
데이터를 bbb 같은 데이터에 담고 그걸 presenter에 담으면 presenter에서 데이터를 알아보기 어려우니까 3번과 같이 map 자체를 <div> 에 담아서 렌더링 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그렇다면 3번과 같은 렌더링은 컨테이너의 return에 적는걸까요 아니면 presneter의 return에 적는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SR이 대체 뭔가요?
CSR이 잘 이해가 안갑니다..프론트가 서버에게 api를 요청하는게 CSR인건가요 ?? 프론트가 있고, 백엔드가 있고 각자 배포를 해서 웹페이지를 구축함에 있어 api로 통신을 했을때 여기서 프론트가 CSR을 했다고 보는건가요 ?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Shipping 빌드의 save 파일은 어디에 저장되나요?
Shipping 빌드로 패키징한 exe 파일로 게임 진행 시 RetryCount를 보관하는 save 파일은 어디에 어떤 형태로 저장되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반응형 웹사이트 포트폴리오(Architecture Agency)
모바일 네비게이션 퍼블리싱 - 모바일트리거, GNB 보이기 감추기 질문입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title>DesignWokrs Agency</title> <script src="./js/jquery-2.1.4.js"></script> <!-- page scroll Effects js&css --> <script src="./js/velocity/modernizr.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ui.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main.js"></script> <link rel="stylesheet" href="./js/velocity/velocity.css"> <!-- custom js&css --> <script src="./js/custom.js"></script> <!-- 순서가 중요함 pc버전인 스타일 css가 먼저우선시 되야함 -->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 모바일 부분만 반응 css --> <link rel="stylesheet" href="./responsive.css"> </head> <!-- 애니메이션 속성들 --> <!-- hijacking: on/off - animation: none/scaleDown/rotate/gallery/catch/opacity/fixed/parallax --> <body data-hijacking="on" data-animation="rotate"> <div class="container"> <section class="cd-section visible">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1.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2.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3.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4.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5.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6.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7.jpg"> </div> </div> </section> <header> <div class="gnb-inner"> <div class="logo"> <a href="#none"><img src="images/logo.png"></a> </div> <!-- 네비게이션 부분 --> <div class="gnb"> <div class="menu"> <a href="#none">Home</a> <a href="#none">About</a> <a href="#none">Project</a> <a href="#none">Plan & History</a> <a href="#none">Awards</a> <a href="#none">Location</a> <a href="#none">Contact</a> </div> <div class="slogan">We design places, not projects.</div> </div> <!-- 햄버거 버튼 --> <div class="trigger active"> <span></span> <span></span> <span></span> </div> </div> </header> </div> <nav> <ul class="cd-vertical-nav"> <li><a href="#0" class="cd-prev inactive">Next</a></li> <li><a href="#0" class="cd-next">Prev</a></li> </ul> </nav> <!-- .cd-vertical-nav --> </body> </html>$(function() { /* Trigger */ $('.trigger').cli(function(){ $(this).toggleClass('active') }) })/* Google Web Font : Montserrat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ontserrat:200,300,400,5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anrope:300,400,500,6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Source+Sans+Pro:wght@200;300;400;600;700;9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Overpass&display=swap'); /* FontAwesome CDN 4.7 */ @import url('https://stackpath.bootstrapcdn.com/font-awesome/4.7.0/css/font-awesome.min.css'); /* Reset CSS */ * {box-sizing: border-box;} ul { list-style: none;} a {text-decoration: none;} /* Default CSS */ body{ font-family: 'Montserrat', sans-serif; color: #222; font-size: 15px; margin: 0; height: 100vh; background-color: #fff; } /* Entire Layout(전체적인 레이아웃) */ .cd-section { height: 100vh; } .cd-section > div { height: 100%; position: relative; } .content { background-color: #ddd; position: absolute; /* 연산함수 calc를 이용하여 섹션내에 삐저나오지 않고 들어오게함 */ width: calc(100% - 40px); height: calc(100% - 80px); left: 20px; bottom: 20px; /* 넘치는 부분 끊기 */ overflow: hidden; } /* Header */ header { position: fixed; top:0; left: 0; width: 100%; } .gnb-inner { /* bd+tab =보더 생성 */ /* border: 1px solid #000; */ width: calc(100% - 40px); margin: auto; height: 60px; /* 높이값만큼 주면 중앙 정렬 */ line-height: 60px; } .logo { float: left; } .gnb { float: right; } .menu { display: block; } .menu a{ } .gnb a {} .slogan { font-size: 16px; font-style: italic; } .trigger { display: none; }햄버거 버튼이 x로 바뀌지 않습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Validator에 대하여 질문
@Data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inDto { @NotBlank private String email; @NotBlank private String password; } ------------------------------------- @Component public class Login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LoginValidator(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return LoginDto.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LoginDto loginDto = (LoginDto) target;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Email(loginDto.getEmail()); if (user == null)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User not found"); } if (!user.getPassword().equals(loginDto.getPassword()))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Invalid password"); } } }위 코드처럼 DTO 클래스에서 간단한 검증은 bean validation으로 시행하고, 복잡한 검증로직은 LoginValidator에서 관리 및 커스텀 예외를 리턴하는 방식은 안좋은 방식인가요?제가 알기로는 errors는 bindingresult처럼 복잡한 검증이 아니라 단순한 검증결과를 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validate를 override하여 복잡한 검증 실행 및 검증 결과를 LoginFailedException(커스텀 예외)으로 반환하려고 하니 Errors를 리턴해야 한다는 강제성 때문에 혼란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제가 궁금한 점은, 간단한 검증작업(ex. 정규식) 과 복잡한 검증작업(ex.이메일,비밀번호가 DB에 있는지 검증)은 어떻게 처리하는게 이상적인가? 입니다. 저는 각각 Bean Validation, Validator(커스텀 예외 반환)로 해보려했는데 아닌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1 모의문제1 문제1 질문
앞에서부터 70% 데이터 중 views 컬럼의 3사분위 수에서 1사분위 수를 뺀 값을 아래와 같이 풀이했는데,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df = df[:int(len(df) * 0.7)] cond3 = df['views'].quantile(0.75) - df['views'].quantile(0.25) df[cond3]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스케일링
왜 모의고사 문제들은 범주형 데이터를 라벨링만하고수치형 데이터들은 스케일링 진행을 따로 하지않았나요???크게 상관없이 없는건가요? (꼭 할 필요없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빅분기 작업형 2 질문!
여유 없으면 랜덤포레스트 모델 하나만 해도 크게 지장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모델 구성 중에 max_depth 이나 random_state에 따라 점수가 차이가 날 수 있는 건 당연한데,이 차이가 많이 날 수 있나요...? 저번 시험에서 max_depth 설정한 사람과 안한 사람 차이 점수가 10점 이상 난 걸로 알고 있어서...ㅠ그리고 예를들어 모델 검증으로 max_depth=7이 max_depth=5가 더 좋은 평가지표가 나왔는데,실제 test랑 비교했을 때 max_depth=5가 더 좋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Validator 클래스
@Data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inDto { @NotBlank private String email; @NotBlank private String password; } ------------------------------------- @Component public class Login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LoginValidator(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return LoginDto.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LoginDto loginDto = (LoginDto) target;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Email(loginDto.getEmail()); if (user == null)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User not found"); } if (!user.getPassword().equals(loginDto.getPassword())) { throw new LoginFailedException("Invalid password"); } } }위 코드처럼 DTO 클래스에서 간단한 검증은 bean validation으로 시행하고, 복잡한 검증로직은 LoginValidator에서 관리 및 커스텀 예외를 리턴하는 방식은 안좋은 방식인가요?제가 알기로는 errors는 bindingresult처럼 복잡한 검증이 아니라 단순한 검증결과를 담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validate를 override하여 복잡한 검증 실행 및 검증 결과를 LoginFailedException(커스텀 예외)으로 반환하려고 하니 Errors를 리턴해야 한다는 강제성 때문에 혼란이 생겼습니다. 따라서 제가 궁금한 점은, 간단한 검증작업(ex. 정규식) 과 복잡한 검증작업(ex.이메일,비밀번호가 DB에 있는지 검증)은 어떻게 처리하는게 이상적인가? 입니다. 저는 각각 Bean Validation, Validator(커스텀 예외 반환)로 해보려했는데 아닌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빅분기 놀이터 캐글
T1-21 문제 풀어보고 있는데요, 캐글에서 올려주신 코드로 작성한 결과와 제가 작성한 코드의 결과가 달라 질문 드립니다. (*제가 작성한 전체 코드는 맨 아래에 있습니다.) 바로 아래 코드에 대한 출력값은 90, 30, 30, 30 입니다. (답은 167.0 으로 출력됩니다.) 이를 통해 이상값 처리와 데이터 분할 모두 옳게 했다고 볼 수 있는데, 답은 165가 아닌 167이 나와서 도대체 어디서 잘못된건지 모르겠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rint(len(df['age'])) # print(len(df['age'].iloc[:30])) # print(len(df['age'].iloc[30:60])) # print(len(df['age'].iloc[60:90]))import pandas as pd import numpy as np df = pd.read_csv('../input/bigdatacertificationkr/basic1.csv') # print(df.head()) # print(df.info()) cond1 = df['age'] > 0 cond2 = df['age'] == round(df['age'], 0) df = df[cond1 & cond2] # print(df.head()) # print(len(df['age'])) # print(len(df['age'].iloc[:30])) # print(len(df['age'].iloc[30:60])) # print(len(df['age'].iloc[60:90])) median1 = df['age'].iloc[:30].median() median2 = df['age'].iloc[30:60].median() median3 = df['age'].iloc[60:90].median() print(median1+median2+median3)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궁금증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안녕하세요 작업형 2 한 가지 방법으로 풀기를 봤는데요지금까지는 결측치나 이상치가 없었던 것으로 알고있는데요1.만약 8회차에 결측치나 이상치가 존재한다면 여기서 EDA이후 결측치나 이상치를 제거하고 인코딩으로 넘어가면 되는거죠??2.그리고 영상에서는 target빼고 원핫 인코딩으로 다 진행 하던데 혹시나 조금 더 꼼꼼하게 진행할려면 target데이터 제외후 범주형은 원핫 인코딩 수치형은 스케일링 돌린후 검증 데이터 나누고 randforest로 학습 및 평가 후 제출 하면 되는 걸 까요??
-
미해결Google Authenticator, QR, Cron을 활용하여 자동화 만들기
OpenSource를 통해HTML 파일에서 원하는 데이터 추출하기편 버그
section 5 : OpenSource를 통해HTML 파일편 에서 11분 21초에 보시면 터미널에서 578,000원 데이터를 못 가져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실습에서도 실행한 결과. 동일한 카드셀렉터와 inner셀럭터 그리고 태그가 같더라도 일부 금액을 못 읽어오네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root layout 질문
안녕하세요. beforeLogin과 afterLogin 둘다 layout.tsx를 가지고 있는데, localhost:3000에서 beforeLogin의 layout.tsx를 렌더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page.tsx가 있으면 그쪽을 인식하는 건가요?
-
미해결
아이콘을 개발자에게 전달할때
아이콘을 개발자에게 전달할 때 어떤 방법을 이용해야할까요?제가 제작한 아이콘은 레이어가 하나씩 다 살아있었는데 이것을 하나로 합쳐달라고 하더라고요...그룹으로하고 프레임 안에 넣어봐도 다운이 각자 된다고 하셔서 flatten으로 무조건 다 합쳤는데 이러면 수정이 불가하더라고요...export로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는데 무슨 얘기인지 이해하기 어려워서...ㅠㅠ혹시 어떻게 전달할까요? 제가 협업은 처음이라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T1-23 추가질문
캐글에 올려주신 자료 중 T1-23 문제를 다시 풀어보고 있는데 선생님 답과 다른 답이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선생님 풀이와 다른 부분은 10번째 값을 찾는 부분만 다른 코드로 했는데요10번째 값은 88으로 같은데 중복값 제거 후 f1 중앙값이 75로 선생님 풀이의 값 77과는 다르게 나옵니다.이유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 f1 결측치를 f1을 내림차순으로 소팅했을 때 10번째 인덱스에 위치한 값으로 채움df=df.sort_values('f1', ascending=False)df=df.reset_index()# print(df.head(10))a=df.loc[9,'f1']print(a)# print(df.isnull().sum())df['f1']=df['f1'].fillna(a)# print(df.isnull().sum())# age컬럼의 중복 제거 전 f1중앙값m1=df['f1'].median()print(m1)# age컬럼의 중복 제거 후 f1중앙값print(df.shape)df=df.drop_duplicates(subset=['age'])print(df.shape)m2=df['f1'].median()print(m2)print(abs(m1-m2))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tno값 초기화
제목 그대로 tno값은 어떻게 초기화 시키나요? testDelete 함수를 이용해서 삭제후 다시 testInsert 함수를 이용해서 1 ~ 100까지 만들고 싶은데, tno값은 1부터 시작하는게 아닌, 기존의 tno값부터 1씩 증가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조건문 강의 예시문제 질문있습니다.
조건문 강의 5:46초 에 나오는 조건문 예시문제에서출력값이 5보다 크네요 라고 하셨는데5보다 크지 않아요 가 맞지 않나요 ?number = 3 3 > 5 니깐 else 문이 출력될 것 같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강의 내용에 기출문제도 포함되어 있나요 ?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아직 다 듣지 않았지만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여쭤봅니다. 현재 올라와있는 동영상 강의는 완성본인가요, 아니면 계속 업데이트 될 예정인가요 ?강의 내용에 기출문제도 포함되어 있나요 ?PDF 파일은 어디에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파이썬 무료 강의 (기본편) - 6시간 뒤면 나도 개발자
설치완료 후 Extensions에서 python 검색 시 에러 나요
Extensions에 들어가서 Python 검색하면 아래 에러 때문인지검색이 안되요 "Error while fetching extensions, XHR failed"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kafka 데이터 동기화시 멀티db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kafka가 뭔지 잘 몰랐는데 덕분에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order-service로 하나의 db에 데이터동기화는 이해했습니다.제목의 질문인 멀티db의 경우는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order-service1 --- order-db1order-service2 --- order-db2 이렇게 연결된 서비스의 경우kafka로 db1에 입력된 정보가 db2로db2는 db1으로 서로 동기화도 가능한가요? 서비스가 더 증가할 경우도 가능한가요? (db1 -> db2,3,4...) db를 master/slave 구성은 해봤는데 msa로 동일db 여러개가 동기화 설정 가능한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