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왕기초] 후디니 게임 이펙트 만들기
flip시뮬에서 파티클의 방향을 확실하게 잡는법이 궁금합니다.
강의 많은 도움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flip 파티클을 노이즈 값이랑 윈드값으로 VECTOR 값을{1, 0, 0} 이런식으로 주면 x방향으로 나아가긴 하는데 x보다 조금 더 대각선 위쪽으로 으로 날라가는데정확하게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날라가게 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하는게 좋은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굳이 out으로 안하고 해도 되지 않을까 싶어서요
[질문 내용]따로 Shuttle에 out 을 만들어서 T unit에 넣어서 sout으로 입력해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public static <T extends BioUnit> void printV1(Shuttle<T> t) { t.showInfo(); } public static void printV2(Shuttle<? extends BioUnit> t) { t.showInfo(); }이렇게 출력해도 동일하지 않을까 싶어 여쭈어봅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화이트라벨 500 에러가 뜹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에서 알려준대로 PDF파일 코드를 복사를 해서 붙여넣기 하고 그대로 했는데 회원목록이나 회원가입에서 NAME을 작성하면 화이트라벨 500에러가 뜹니다 에러 이유는 아래와 같은데 MEMBER 테이블이 왜 안만들어졌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Table "MEMBER" not found (this database is empty); SQL statement:select * from member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카카오 주소 검색 기능 401 에러
LOG a {"latitude": 37.550165, "longitude": 127.12752} LOG [AxiosError: Request failed with status code 401강의영상 잘 따라하고, REST API KEY까지 제대로 입력했는데,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StyleSheet, TextInput, TextInputProps, View} from 'react-native'; import Ionicons from 'react-native-vector-icons/Ionicons'; import {colors} from '@/constants'; interface SearchInputProps extends TextInputProps { onSubmit: () => void; } function SearchInput({onSubmit, ...props}: SearchInputProps) { return ( <View style={styles.container}> <TextInput style={styles.input} autoCapitalize="none" placeholderTextColor={colors.GRAY_500} returnKeyType="search" onSubmitEditing={onSubmit} clearButtonMode="while-editing" {...props} /> <Ionicons name={'search'} color={colors.GRAY_700} size={20} onPress={onSubmit} /> </View> ); } const styles = StyleSheet.create({ container: { flexDirection: 'row', alignItems: 'center', justifyContent: 'space-between', borderWidth: 1, borderColor: colors.GRAY_200, paddingVertical: 8, paddingHorizontal: 10, borderRadius: 5, }, input: { flex: 1, fontSize: 16, paddingVertical: 0, paddingLeft: 0, color: colors.BLACK, }, }); export default SearchInput;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useEffect, useState} from 'react'; import Config from 'react-native-config'; import {LatLng} from 'react-native-maps'; type Meta = { total_count: number; pageable_count: number; is_end: boolean; same_name: { region: string[]; keyword: string; selected_region: string; }; }; export type RegionInfo = { address_name: string; category_group_code: string; category_group_name: string; category_name: string; distance: string; id: string; phone: string; place_name: string; place_url: string; road_address_name: string; x: string; y: string; }; type RegionResponse = { meta: Meta; documents: RegionInfo[]; }; function useSearchLocation(keyword: string, location: LatLng) { const [regionInfo, setRegionInfo] = useState<RegionInfo[]>([]); const [pageParam, setPageParam] = useState(1); console.log(keyword, location); useEffect(() => { (async () => { try { const {data} = await axios.get( `https://dapi.kakao.com/v2/local/search/address.json?query=${keyword}&y=${location.latitude}&x=${location.longitude}&page=${pageParam}`, { headers: { Authorization: `KakaoAK ${Config.KAKAO_REST_API_KEY}`, }, }, ); console.log('data', data); } catch (error) { console.log(error); } })(); }, [keyword, location]); return {regionInfo}; } export default useSearchLocation; GOOGLE_API_KEY=키내용들 KAKAO_REST_API_KEY=키내용들 어떤 부분이 잘못되어서 401 에러가 발생하는지 알고싶습니다.
-
해결됨MySQL 성능 최적화
실무에서 prefix index를 어떤 요구사항이 있을때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실무 요구사항에서 blob, text, 긴 varchar와 같은 칼럼을 인덱싱하는 경우가 있을까요?당장 기억나는건 게시글 내용 검색 밖에 생각이 안나네요.. 그리고 요 아래글에 나와있는 prefix index의 한계점도 맞는 말일까요?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1526618/mysql-prefix-index-vs-index(아래는 챗지피티가 요약해준거라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ㅠ)인덱스를 통해 "가능한" 행들을 먼저 찾고, 이후 실제 데이터 행을 검색하여 추가 필터링을 수행(두 단계를 거치므로 인덱스를 사용하지 않을때보다 더 많은 시간 소요..?)2.정렬(sorting)이나 그룹화(grouping) 작업에는 사용되지 않음.ORDER BY 절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 결과의 순서는 보장되지 않음커버링 인덱스로 사용 불가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섹션 4. 직접 구현하는 연결 리스트 제네릭 도입
제네릭은 new를 하면 타입 이레이저 때문에 Object가 되어버려서 new를 할 수 없다고 하셨는데,Node<E> newNode = new Node<>(e);이것도 E부분이 Object로 변하니까 new 생성을 못하는 이거는 왜 가능한 건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ㅠ public class MyLinkedListV3<E> { private Node<E> first; private int size = 0; public void add(E e) { Node<E> newNode = new Node<>(e); if (first == null) { first = newNode; } else { Node<E> lastNode = getLastNode(); lastNode.next = newNode; } size++; }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잘못된 Gradle JVM 문제
프로젝트명을 validation-start에서 validation으로 변경 후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옵니다. 해결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싱글톤방식의 주의점"강의와 이번강의의 내용이 헷갈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예전 강의(싱글톤방식의 주의점 ) 에서 싱글톤객체 사용시 공유되는 전역변수를 사용하면 문제가 되므로 사용하면 안된다고 이해했습니다.(싱글톤객체는 여러 쓰레드에 의해 공유되므로 )이번 강의 에서 싱글톤객체의 필드에 프로토타입 스코프의 객체를 주입받아서 사용하는데 이 객체가 프로토타입스코프여서 문제가 되는게 아니라 해당 객체의 전역변수를 변경하는 로직이 문제가 되는거 아닌가요? 주입받는 객체가 프로토타입 스코프가 아니라 싱글톤스코프여도 여러스레드에 의해 공유되는 전역변수를 변경하는 로직이 문제가 되는건 아닌지요. 싱글톤사용시 공유되는 전역변수를 변경하는 로직을 사용하면 안되다고 이해했는데 이번강의 에서는 싱글톤 객체에 주입받는 객체가 프로토타입스코프여서 문제가 되는걸로 이해가 잘되질않아서요. 질문이 너무 두서가 없는것 같지만 해당부분이 잘이해가 안됩니다.ㅜ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update에서 new BeanPropertySqlParameterSource()사용시 문제
강의에서 update부분을 new BeanPropertySqlParameterSource()로 변경해서 사용해 보았는데 수정이 정상적을 이루어 졌습니다. I’d가 어떻게 자동으로 매핑이 되는건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이원분산분석 C()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있어 글 남깁니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첫 번째 질문이원 분산 분석 5분 30초 즈음, 모든 변수에 C()로 감싸주는게 차라리 속 편하다고 하셨는데, 만약 독립변수 중에 범주형이 아닌 수치형 변수에다가도 C()로 감싸주어도 될까요?+ 인프런 AI 댓글을 보고, 결론을 요약해보았습니다.이원 분산 분석에서1. object형 + 범주형 특성 => 앞에 C()를 붙인다.2. int/float형 + 범주형 특성 => 앞에 C()를 붙인다.3. int/float형 + 범주형 특성 X => 앞에 C()를 붙이지 않는다.요약한 내용이 맞을까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두 번째 질문또한 이원 분산 분석이 아니라, 일원 분산 분석에서 독립 변수가 범주형 변수면 C()로 감싸주어야 할까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세 번째 질문예시문제 작업형3 /로지스틱 회귀 강의 중 7분 12초 즈음에,model = logit("Survived ~ C(Gender) + SibSp + Parch + Fare", data=df).fit()부분에 SibSp 와 Parch는 수치형이지만 범주형 특성을 띄고 있는데, 이 부분에는 C()를 왜 안하는건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태블로 레벨UP
LOD Exclude 예제 (State Profit 기여도)
주 내 Profit에 기여하는 정도 표현하실 때,SUM([Profit]) / ATTR({EXCLUDE [City] : SUM([Profit])})이 식을 쓰셨는데요, 주별 Sum(Profit)이 마이너스인 곳에서는마이너스가 클 수록 기여도가 크게 계산됩니다.(음수 나누기 음수라서) 예를들어 Arizona - Phoenix 보시면,Arizona 전체 Profit 합이 -3428 이고,Phoenix에서 Profit 합이 -2791 인데,0.814로 가장 기여를 크게 했다고 표시됩니다.(강의에서 설명하실 때 -로 뜨는게 손실이라고 표현하셔서 말씀 드립니다. 즉 원이 크다고 수익을 많이 내는게 아님) 위와 같이 음수와 양수가 섞여있는 사례에서,기여도를 표시하려면 [평균값]- [해당값]가 큰게 손실이 크고,작은게 이득이 크다고 해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렇게 음수랑 양수가 섞여있는 곳에서 비율계산이 익숙하지가 않아서,제가 생각한게 맞는지 코멘트 달아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widget.color 가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widget.color가 동작 방식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ㅜ stateful 클래스와 state 클래스를 바인딩 시켜주면 widget.color의 state클래스에서 widget은 stateful클래스를 참조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런타임 의존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배치프로세서가 컴파일 시점에서는 mylist 인터페이스 의존을 하고 런타임에 생성자 주입을 한다고 하는 데 main 함수도 결국 컴파일 되는 것 아닌가요? 배치프로세서가 유연해 지는 건 이해할 수 있는 데 런타임시점에서 의존성이 주입된다는 부분이 좀 잘 이해가 안갑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문제 풀이1번 enum AythGrade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물어볼게 있어서 질문을 남깁니다.이넘 AuthGrade 클래스를 보면 이넘 상수 생성자에(이렇게 말해도 되나요?).ex) GUEST(1,"손님"), LOGIN(2, "로그인회원") ..... 값을 넣어서 level를 넣는것을 볼수 잇었습니다.근데 생각해 보니까이넘 상수 생성자? 를 정의할때 실수로 오타를 내서, level의 값을 잘못 넣는 경우의 수가 발생할수도 있을것 같은데..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 오타를 안낼 까요?자바 문법상. 생성자 의 level값이 같아도 문제가 되지 않아,예방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그리고 '이넘 상수 생성자' 이렇게 말해도 되나요? 아니면어떻게 말해야 하나요? 이것도 대답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답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배리어블 컬러 추가한 것만 볼 수 없나요?
안녕하세요. 스타일로만 작업하다가 이번 작업부터 배리어블 활용해서 디자인시스템을 구축해보고자 합니다.다른 파일에서 배리어블 컬러가 적용된 에셋을 복사해오거나 하면그에 연결된 배리어블이 자동으로 추가되는데, 자동으로 추가되지 않고 제가 사용하고자 하는 파일에서 추가한 배리어블만 볼 수는 없나요? 그리고, 해당 파일의 배리어블 콜렉션 외의 컬러가 적용된 오브젝트를 찾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예외처리 질문
안녕하십니까, 현재 섹션3까지 수강하였는데 예외처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아직 예외상황 발생시 백엔드와 프론트엔드에서 무엇을 해야할 지 잘 모르겠는데 예외가 발생했을때 백엔드에서는 어떤 정보를 넘겨줘야하나요? 강의에서처럼 상태코드와 메시지만 넘겨주면 백엔드에서 할 일은 끝인가요?마찬가지로 프론트에서도 어떻게 대처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Arm 아키텍처: 가상화(Virtualization) [저자직강 3부-2]
EL1 IRQ??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 남깁니다. 강의 중간에 "EL1의 guest OS가 처리해야하는 irq를 Hypervisor에서 hooking을 해서 처리하게 할 수 있다" 라고 하셨는데요, EL1의 irq라는게 무슨 뜻인가요??? 제가 이해하기로는 EL1에서 코드가 수행하고 있을때 irq가 발생하는걸 뜻하느거 같습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아니면 irq마다 EL1 irq EL2 irq와 같이 처리해야하는 EL이 정해져있나요???
-
미해결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EhCacheManagerFactoryBean
그레이들 추가후 EhCacheConfig 만들때 EhCacheManagerFactoryBean를 죽어도 못찼네요(Cannot resolve symbol 'EhCacheManagerFactoryBean')invalicache , rebuild , clean build 등등 해봤지만 소용이 없는데 혹시 다른데 더 체크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섹션1 빌드하고 실행하기
강의자료 보면서 윈도우로 cmd에서 빌드하는 법 보면서 하려고 하는데 이렇게 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그리고 강사님이 ll이라는 명령어를 쓰시는데 저는 그것도 입력하면 위랑 똑같이 나와서 그 명령어에 대해서도 설명 부탁드립니다. 윈도우는 다른 명령어를 쓰는 걸까요..? 그리고 1분 45초 부분에서 "꺼볼게요" 하고 끄시는데 끄는 방법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엔티티 필드 순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 @ManyToOne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JsonIgnore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JsonIgnore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 @OneToOne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주문시간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주문상태 [ORDER, CANCEL] 이렇게 작성하면 보면 h2에서 필드에 작성한대로 id ||member || delivery 이렇게 나와야 하는데저는 member || delivery ||id 이렇게 나 순서가 보장되지 않게 나옵니다.인터넷에 찾아보니 엔티티 필드 순서가 데이터베이스의 컬럼 순서를 결정하지 않기 때문에 schema-generation.scripts.create-target을 주어야 한다고 나와있는데 해당 강의 코드를 보아도 저런 걸 설정하지 않았는데 강의에서는 어떻게 필드가 순서가 보장이 되었나요?1번답변을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7359/hbm2ddl-%EB%A5%BC-%EC%9D%B4%EC%9A%A9%ED%95%B4-%ED%85%8C%EC%9D%B4%EB%B8%94-%EC%83%9D%EC%84%B1%EC%8B%9C-%EC%BB%AC%EB%9F%BC-%EC%88%9C%EC%84%9C-%EC%88%98%EC%A0%95-%EB%B0%A9%EB%B2%95여기서 찾았는데요. 실무에서는 ddl을 직접입력하라는건데요. 그런데 궁금한점이 실무에서는 fechjoin이나 joincolum을 안쓰나요? ddl을 입력하는거면 joincolum(외래키)까지 같이입력하는거 아닌가요? 2. @ManyToOne 컬럼에서 조인할 때 데이터 테이블명을 기준으로 조인하고 OneToMany는 mappedBy 할 때 클래스명을 기준으로 하는것처럼 보입니다. 혹시 이유 좀 알 수 있나요? OneToMany에서 자기 자신을 바라봐서 mapped by여도 참조는 둘다 똑같이 클래스로 들어가거나 테이블명으로 들어가야 하는거 아닌가요?3.엔티티 설계시 주의점 24분에서 질문이있습니다. 아래처럼 연관관계 메소드는 중심이 되는지점에 입력하라고 하셨는데요. member 메소드에는 왜 getOrders() 에서 add()이고 orderItem은 왜 그냥 add(orderItem);만 붙나요? 저는 orders가 리스트라서 getOrders로 붙이는 줄 알았는데 orderItems도 리스트라서요. 그리고 orderItem에서 가르키는 this는 무엇인가요? 매소드 내에서 this가 없어요. this 우선순위가 메소드 내부에 this가 있을 때 this를 지칭하고 나머지는 클래스를 지칭하는건가요?// setMember 메서드는 Order 객체에 Member 객체를 연결하고, 역방향으로도 Member의 주문 목록에 이 Order를 추가합니다. public void setMember(Member member) { // 현재 Order 객체의 member 필드에 매개변수로 받은 Member 객체를 할당합니다. this.member = member; // Member 객체의 getOrders 메서드를 호출해 주문 목록을 가져온 뒤, 현재 Order 객체(this)를 그 목록에 추가합니다. // 이는 Member 객체 내부의 주문 목록에도 현재 Order 객체가 포함되도록 하는 역방향 연결을 설정합니다. member.getOrders().add(this); }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add(orderItem); orderItem.setOrder(th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