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DB 설정 문제
안녕하세요 프로젝트 초기 설정을 토비님 강의 진행대로 따라하고 있는 중입니다.제가 docker 는 잘 몰라서 강의 자료에 있는 Rancher Desktop 을 그냥 설치했구요서버 구동하기 전에 먼저 켜고 토비님 강의 순서 대로 진행했습니다 compose.yaml 의 내용을 수정하기 전에는 오류없이 잘 되는데 토비님이 작성하신 대로 수정을 해서 서버를 구동하면 계속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제 디비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mysql를 완전 삭제하고 재설치 까지 해서 다시 해봐도 이전과 계속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데 ai 를 통해서 해결해보려고 해도 해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확인해보시고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실행시 콘솔? 계속 돌아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실행하게 되면 8080과 /hello같은 곳에 접속은 잘 되는데 영한님 화면과 다르게 이 실행창의 톱니바퀴가 계속 돌아가고, 밑에 ServletApplication.main()의 빌드가 되고있는 듯이 보이고, 실행 종료시에는이렇게 뜹니다.메세지:*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14.2/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BUILD FAILED in 4m 10s3 actionable tasks: 2 executed, 1 up-to-date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 순서 문의(자주 묻는 질문 완독 완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마지막 수업 "65. 다음으로" 강의에서 스프링 입문,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수강 후 스프링부트 JPA 로드맵을 진행해도 된다고 말씀해주셨었는데요. 이 말씀이 지금 2025년 7월 기준에도 적절한지 여쭙고자 질문 드립니다. 지금 현재 학습을 해야하는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프링 데이터 JPA와 QueryDsl 을 사용하는 프로젝트에 8월 초 투입이 될 예정영한 선생님 로드맵 중 스프링 관련 학습은 입문편과 핵심 원리 기본편 까지 학습함이전에 Spring + Mybatis로 개발경험이 있어서 1번 기술 스택을 우선적으로 추가해야 할 필요를 느낌 자주 하는 질문에 작성되어있는 백엔드 개발자 로드맵 유튜브 영상은 확인했습니다. 해당 로드맵은 핵심 원리 고급편 전 까지 듣고 JPA 로드맵을 청강 후 남은 고급편 등을 청강하는 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이 로드맵을 8월 초까지 다 듣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보니, 스프링부트 JPA를 먼저 장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늘 감사드리며 질문 마칩니다.감사합니다 :D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ThreadLocal 사용시 부작용이 있을수 있을까요? (ThreadLocal.remove()를 잘한다고 해도..)
안녕하세요ThreadLocal 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가정 -------Component A가 ThreadLocal을 사용합니다. ( myThreadLocal = ThreadLocal<Long>)Component B가 ThreadLocal을 사용합니다. ( otherThreadLocal = ThreadLocal<Long>)질문1. JVM 내부에는 2개의 ThreadLocal 객체가 생성되는게 맞을까요?2. 그러면 톰켓에서 시동시 만드는 스레드풀에 있는 200개 스레드 모두에 말씀하신 "스레드 내부의 저장소" (ThreadLocalMap with 2개의 key)가 생성이 될 것 같은데 맞을까요?3. 만약 2번이 맞다면, 코드 이런 저런곳에서 LocalThread를 사용하게 되면 3.1 시동시에 좀 더 오래걸릴것 같은데, 혹시 시동시 부하가 걸리는가 3.2 시동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고 해도, 부작용이 있을수 있는가?4. ProtoType의 Bean을 동적으로 만들고 그 Bean이 내부에서 ThreadLocal을 사용한다면 다른 Thread의 저장소(ThreadLocalMap)에서는 그 ThreadLocal의 저장공간이 없을것 같은데 맞을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고전파의 테스트 대역 사용 대상, 공유 의존성
안녕하세요복습을 진행하면서 단위 테스트(블라디미르 코리코프)를 같이 공부하는데, gpt와 씨름해 보아도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ㅠㅠ책에 따르면 고전파의 테스트 대역 사용 대상은 공유 의존성으로 유일하고, 이것의 예로 데이터베이스를 들고 있는데요.우빈님의 강의에 따르면 이것은 고전파의 방식과는 거리가 멀어 보여서 혼란이 옵니다테스트 대역을 쓰고 싶다면, 공유 의존성(데이터베이스)은 가능하다라는 뜻 인걸까요?만약 그렇다면, 고전파가 테스트 대역 사용에 엄격한 방식이라고 이해했었는데, 데이터베이스를 유일한 모킹 가능성 영역이라고 보는 것이 납득하기 어렵습니다강의에서 가르쳐주신 것처럼 외부 서비스(메일)을 모킹 처리 하는 것이 더 나은 방식, 혹은 고전파 다운 방식이라고 생각되어서 혼란스럽습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빌드 문제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s://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 1) 여기만 3.3.0(또는 3.2.5 등)으로 변경 --> <parent>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parent</artifactId> <version>3.3.0</version> <relativePath/> <!-- lookup parent from repository --> </parent> <groupId>com.example</groupId> <artifactId>demo</artifactId> <version>0.0.1-SNAPSHOT</version> <name>demo</name> <description>demo</description> <properties> <java.version>21</java.version> <lombok.version>1.18.36</lombok.version> </properties> <dependencies> <!-- Spring Boot Starters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data-jpa</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mail</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validation</artifactId> </dependency> <!-- 기타 의존성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context-support</artifactId> <version>6.0.3</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h2database</groupId> <artifactId>h2</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mysql</groupId> <artifactId>mysql-connector-j</artifactId> <scope>runtime</scope> </dependency> <!-- Lombok --> <dependency>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version>${lombok.version}</version>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 Jackson --> <dependency> <groupId>com.fasterxml.jackson.core</groupId> <artifactId>jackson-core</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fasterxml.jackson.datatype</groupId> <artifactId>jackson-datatype-jsr310</artifactId> <version>2.14.1</version> </dependency> <!-- Springdoc --> <dependency> <groupId>org.springdoc</groupId> <artifactId>springdoc-openapi-starter-webmvc-ui</artifactId> <version>2.0.2</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doc</groupId> <artifactId>springdoc-openapi-ui</artifactId> <version>1.6.14</version> </dependency> <!-- Test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est</artifactId> <scope>tes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build> <plugins> <!-- (선택) JDK 툴체인 강제 설정 --> <plugin>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toolchains-plugin</artifactId> <version>3.1.0</version> <executions> <execution> <goals> <goal>toolchain</goal> </goals> </execution> </executions> <configuration> <toolchains> <jdk> <version>${java.version}</version> </jdk> </toolchains> </configuration> </plugin> <!-- 자바 21 + Lombok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 <plugin>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compiler-plugin</artifactId> <version>3.11.0</version> <configuration> <release>${java.version}</release> <annotationProcessorPaths> <path>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version>${lombok.version}</version> </path> </annotationProcessorPaths> <fork>true</fork> </configuration> </plugin> <!-- Spring Boot Maven Plugin: Lombok 제외 유지 --> <plugin>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maven-plugin</artifactId> <configuration> <excludes> <exclude>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exclude> </excludes> </configuration> </plugin> </plugins> </build> </project>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시작하려는데 계속 오류가 발생합니다.
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Syntax error in SQL statement "drop table if exists [*]user cascade "; expected "identifier"; SQL statement:버전도 맞췄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JdbcTemplate에서 H2에 테이블이 없다는 오류 발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
미해결[1.5탄] 옆집 개발자와 같이 진짜 이해하며 만들어보는 첫 Spring Boot 프로젝트
섹션 5 의 18 대췅
커리큘럼 섹션 5 의 강의 18제목에 대췅 이라고... 의도 하신 거라면 괜찮습니다 ㅎㅎㅎ 혹시나 해서 알려 드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대신 Form 사용은 안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회원 등록 api 에서 아래 코드 처럼 saveMemberV1 메서드의 반환값은 new CreateMemberResponse(id)입니다. @PostMapping("/api/v1/members") public CreateMemberResponse saveMemberV1(@RequestBody @Valid Member member){ Long id = memberService.join(member); return new CreateMemberResponse(id); } 근데 MemberForm.java 에 id를 추가하고 이걸로 리턴받으면 안되나요?왜 굳이 DTO 를 만들어서 리턴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무에서 테스트 케이스 작성 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잘 하던 도중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 강의에서는 Service 계층에서만 테스트를 하고 있고 Repository 계층에서는 따로 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실무에서도 어차피 Service 계층이 Repository 계층을 당겨서 사용하는 것이기에 Service 계층에 대해서만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면 충분할까요 ?그리고 강의에서 Member의 Name을 unique로 잡으라고 말씀하시고 있는데, 실무에서는 id로 검증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겠죠 ?
-
미해결서버개발자 과제전형 완벽가이드 - 1편
Spring Cloud 버전 관리 문제
자바 21, 스프링 부트 3.4.5로 하는데dependencyManagement { imports { mavenBom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dependencies:2024.0.1" } }이 부분이 에러가 나는거 같아요Execution failed for task ':dependencies'.> Could not resolve all artifacts for configuration ':detachedConfiguration3'. > Cannot resolve external dependenc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pendencies:3.4.5 because no repositories are defined. Required by: root project :Possible solution: - Declare repository providing the artifact, see the documentation at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declaring_repositories.html빌드가 안되네요 ㅠㅠ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강의 자료를 PDF로 받아볼 수 없나요?
강의 자료를 PDF로 받아볼 수 없나요?? 제목이 곧 질문입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프로젝트 생성에서 에러가 나요
스프링 핵심원리 이해 1 - 프로젝트 생성 강의에서 이렇게 설정 후 core 압축 파일을제가 원하는 폴더에 풀어서 인텔리제이에서 열었고 현재 이 build.gradle 코끼리 버튼을 누르니 콘솔창에 밑에 사진처럼 에러가 떠요 여기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나도! 스프링으로 인공지능을 할 수 있다(인프1탄)
.getText()와 .getContent()질문입니다.
.getResult() .getOutput() .getText(); } .getoutput 다음 getContent가 있어야 하는데 gettext만 있습니다. getContent는 생성이 되지 않습니다. 똑같이 수업보면서 했는데 왜그런지 모르겠습니다. 물론 결과값은 설명하신 대로 똑같이 나오는기는 하는데 차이가 없나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과제를 위한 초기세팅
안녕하세요 과제를 하나씩 만들고있는데 4일차 과제인 api만들기를 하려고합니다! 그전까지는위처럼 기존 강의 초기세팅 된곳에 hw폴더를 만들어서 하고있는데 이렇게 말고 강의초반에 배운대로 spring.io에서 초기세팅을 새로해서 과제를 위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고싶은데요..! 혹시 현재 강의 초기세팅과 같이 하려면 어떻게해야될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1~2강 초기세팅 강의에서 spring.io로 처음부터 만드는걸 배울때 자바나 스프링부트 버전설정이런건 설명이 있었는데 그다음 의존성 이런건 나중에 설명이 나온다했던거같아서 정확히 모르겠습니다.강의에 혹시 있다면 어디를 참고하면 될지만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안녕하세요. 토비님! 도메인의 다양한 업데이트 요구사항을 Web API 계층에서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를 들으며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습니다.강의를 완강한 후에도 내면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조심스럽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생성과 관련된 설계는 강의에서 잘 이해가 되었지만, 업데이트(update)와 관련된 내용은 직접적으로 다뤄지지 않아 고민이 생겼습니다. 특히, 제 고민은 다음과 같습니다."도메인의 비즈니스 규칙이 Web API 설계에 어느 정도까지 직접적으로 드러나야 하는가?"현재 도메인 로직에서는 사용자의 여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비즈니스 규칙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비밀번호 변경 기타 세부정보 변경비즈니스적으로는 각각의 규칙이 잘 정의되어 있고, 각각의 변경 로직도 Member 객체 내에 명확히 메서드로 존재합니다.여기서, 이러한 비즈니스에 대해서 API에 어떻게 노출시켜야 하는가에 대해서 두 가지 선택지가 고려됩니다.1. 비즈니스 정의를 역할 별로 구성한다.POST /api/v1/members/{id}/change-password POST /api/v1/members/{id}/change-nickname생각이 나는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장점: 비즈니스에 따라 API를 관리하여 클라이언트가 이해하기 용이합니다.단점: 수정 가능한 필드가 많아질수록 API의 개수가 증가하며,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고, Restful 규칙에 위배됩니다.2. 하나의 update API로 통합한다.PATCH /api/v1/members/{id} { "password": "originalPassword123!", // nullable "detailRequest": { // nullable "email": "user@example.com", "nickname": "nickname123", "password": "newPassword456!" } }장점: API가 간결하여 확장이 용이하며,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값만 상황에 따라 요청하면 됩니다.단점: API가 비즈니스 책임에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결론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비즈니스 로직이 도메인 레이어에 잘 분리되어 있는 경우, API 계층에서도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좋은가요?도메인의 역할만 명확하다면 API는 통합해서 update 형식으로 만들어도 괜찮은가요?만약, 후자로 처리를 한다면 어디서 처리를 하는게 좋아보이시나요?서비스 계층도메인 계층// MemberModifyService public void update(Long memberId, MemberUpdate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memberId); if (request.password() != null) { member.changePassword(request.password()); } if (request.detailRequest() != null) { member.updateInfo(); } } -------- // MemberModifyService public void update(Long memberId, MemberUpdate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memberId); member.update(request); } // Member public void update(MemberUpdateRequest request) { if (request.password() != null) { changePassword(request.password()); } if (request.detailRequest() != null) { updateInfo(); } }뭔가, 이런 고민이 계속 드는 이유가 외부 계층에 종속적이지 않고 도메인에 의존하여 개발을 하더라도 실제로 저희가 처한 상황은 대부분 WebAPI 계층에서의 요청이 많다보니 외부의 행위 또한 도메인에 종속되어야 하는가 하는 고민이 생긴 것 같습니다. 양질의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request Scope 질문. 다른 강의에서 더 활용하는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드립니다.requset scope가 웹 스코프 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것을 어느 정도 인지가 되는 상황이지만, 여러 번을 들어도 "모르겠다"라는 는 말이 저절로 나옵니다...그래서 일단은 그냥 넘어 갈려고 합니다.여기서 질문입니다.requset Scope를 더욱더 활용하거나 공부하는 강의가, 다음 강의 및 다른 강의에서 있나요?추가1만약에 없다면 어떤 것을 들어야(해야지) 이해 할수 있을까요?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NaturalIdCache에 대한 보충 설명 및 사용법 공유
'25. 엔티티의 자연키 지정' 영상의 후반부에 적용한 @NaturalIdCache에 대해 추가로 학습한 내용이, 저처럼 해당 애노테이션을 처음 접한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글을 작성합니다. 강의에서 오해가 있을 수 있는 부분, 그리고 자연키에 캐시를 적용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강의 내용과 실제 동작의 차이점강의에서는 “같은 트랜잭션 안에서 같은 아이디 값을 가지고 여러 번 조회 시 Persistence Context 에 캐시된 값을 꺼내오는 것 처럼. @NaturalIdCache를 적용하면 이것도 영속 컨텍스트에 캐싱이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해당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Hibernate의 두 가지 캐시에 대해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1차 캐시 (First-Level Cache): 세션(영속성 컨텍스트) 범위의 캐시입니다. 같은 트랜잭션 안에서만 유효하며, 트랜잭션이 끝나면 사라집니다. Spring Data JPA에서는 기본적으로 @Id 에 대한 조회를 1차 캐시합니다. 2차 캐시 (Second-Level Cache): 세션 팩토리 범위의 캐시로, 여러 세션에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적용하려면 별도의 의존성 추가 및 캐시 관련 설정(@Cache 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같은 트랜잭션 안에서 캐시된 값을 꺼내온다."는 말은 세션 범위의 1차 캐시로 해석됩니다. 하지만 제가 직접 테스트해 본 결과, @NaturalIdCache는 1차 캐시가 아닌 2차 캐시와 관련이 있었으며, 1차 캐시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테스트를 통한 확인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강의에서 적용한 Member 엔티티의 @NaturalIdCache 를 제거하고, 자연키(Email)에 @NaturalId만 적용한 상황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테스트1: findByEmail 메서드를 사용한 조회Java@Test void NaturalIdFirstLevelCache() {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createMemberRegisterRequest(), createPasswordEncod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System.out.println("회원 저장 및 persistence context 초기화 완료"); // 같은 email(Natural ID)로 두 번 조회 Member findMember1 = memberRepository.findByEmail(member.getEmail()).get(); Member findMember2 = memberRepository.findByEmail(member.getEmail()).get(); assertThat(findMember1).isSameAs(findMember2); } Spring Data의 쿼리 메서드를 사용하여 이메일로 조회하는 findByEmail 메서드를 만들고, 한 트랜잭션에서 같은 회원을 두 번 조회했습니다. 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가 동작한다면, SELECT 쿼리는 한 번만 실행되어야 합니다.결과는 SELECT 쿼리가 두 번 실행되었습니다. 즉, 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가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테스트2: Hibernate의 자연키 관련 API를 사용한 조회@NaturalId를 다루는 글들을 찾아본 결과 Hibernate가 제공하는 자연키 관련 API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 커스텀 리포지토리를 구현했습니다.Java@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CustomizedMemberRepositoryImpl implements CustomizedMemberRepository {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ntityManager; @Override public Optional<Member> findByNaturalId(Email naturalId) { return entityManager.unwrap(Session.class) .bySimpleNaturalId(Member.class) .loadOptional(naturalId); } } 그리고, 테스트 1과 같은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Test void NaturalIdApi() { Member member = Member.register(createMemberRegisterRequest(), createPasswordEncoder()); memberRepository.save(member);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System.out.println("회원 저장 및 persistence context 초기화 완료"); Member findMember1 = memberRepository.findByNaturalId(member.getEmail()).get(); Member findMember2 = memberRepository.findByNaturalId(member.getEmail()).get(); assertThat(findMember1).isSameAs(findMember2); }결과는 SELECT 쿼리가 한 번만 실행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자연키에 대한 1차 캐시는 @NaturalIdCache 애노테이션과 무관하게, 전용 API를 사용해야만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NaturalIdCache의 용도@NaturalIdCache Javadoc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Specifies that mappings from the natural id values of the annotated entity to the corresponding entity id values should be cached in the shared second-level cache.…중략This annotation is usually used in combination with Cache, since a round trip may only be avoided if the entity itself is also available in the cache.대략 “natural id와 상응하는 id에 대한 매핑을 2차 캐시에 저장하는 애노테이션이고, 엔티티가 캐시되어있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Cache와 함께 사용된다.”라고 해석됩니다. 즉, 1차 캐시가 아닌 2차 캐시를 위한 애노테이션입니다. 정리2차 캐시 관련 설정 및 테스트를 마저 진행한 후 최종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키의 1차 캐시@NaturalIdCache 애노테이션과 관련 없습니다. 자연키에 @NaturalId만 붙이면 됩니다.반드시 Hibernate Session의 bySimpleNaturalId() 같은 전용 API를 사용해야 적용됩니다. 자연키의 2차 캐시@Cache와 @NaturalIdCache를 함께 사용해야 동작합니다.@Cache만 사용 시 @Id로 조회할 때만 2차 캐시가 동작합니다.@NaturalIdCache만 사용 시 자연키와 ID에 대한 매핑 정보는 캐시 히트되는 걸 확인했지만, ID와 엔티티에 대한 캐시가 없어서 캐시가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Cache와 @NaturalIdCache 모두 사용 시 ID를 통한 조회와 자연키를 통한 조회 모두 2차 캐시가 적용됩니다. 참고 자료Hibernate6.6 공식 문서NaturalCache javadocsbaeldung: Hibernate Natural IDs in Spring BootSpring Custom Repository 글의 오류나 부족한 내용을 알고 계신 분은 코멘트를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검증 실패 후 값이 빈칸인 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V1(@ModelAttribute Item item, BindingResult bindingResult, 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 Model model) { //검증 오류 결과를 보관 log.info("item.price1 = {}", item.getPrice()); //검증 로직 if (!StringUtils.hasText(item.getItemName())) { 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em","itemName","상품 이름은 필수입니다.")); }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Price() < 1000 || item.getPrice() > 1000000) { 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em","price","가격은 1,000 ~ 1,000,000 까지 허용합니다.")); } if (item.getQuantity() == null || item.getQuantity() >= 9999) { bindingResult.addError(new FieldError("item", "quantity", "수량은 최대 9,999 까지 허용합니다.")); } //특정 필드가 아닌 복합 룰 검증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Quantity() != null) { int resultPrice = item.getPrice() * item.getQuantity(); if (resultPrice < 10000) { bindingResult.addError(new ObjectError("item","가격 * 수량의 합은 10,000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현재 값 = "+resultPrice)); } } //검증에 실패하면 다시 입력 폼으로 if (bindingResult.hasErrors()) { log.info("errors = {} ", bindingResult); log.info("item.price2 = {}", item.getPrice()); return "validation/v2/addForm"; } //성공 로직 Item savedItem = itemRepository.save(item);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itemId", savedItem.getId());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status", true); return "redirect:/validation/v2/items/{itemId}"; }addItemV1에서 폼의 가격에 1원을 입력 후 저장했을 때 log.info("item.price1 = {}",item.getPrice()) 와 log.info("item.price2 = {}",item.getPrice())로 검증시작 전과 검증 실패 후(뷰 반환 직전)에 item.getPrice()의 값을 로그로 확인했는데, 둘다 1이 뜨더라구요.그럼 검증 실패후 뷰로 넘어갔을 때 뷰에서는 똑같이 1이 남아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뷰의 th:field="*{price}"는 item.getPrice()로 값을 가져오는데 왜 1이 아니라 null인건지 이해가 안됩니다..!-> 강의뒷편에 내용이 나오네요 ㅎㅎ해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