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CPU모듈 Timing Analyze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제공해 주신 CPU모듈의 타이밍 분석을 해보고 싶은데 알려주신 방법으로 타이밍 분석을 하면No paths to report 라고 뜨고 데이터가 나오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온도계 온도 측정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주소는 나오는데 온도의 값이 나오지 않습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일까요.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sdc파일 확인을 위한 timing delay코딩 과정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create_clock -name root_clk -period 20 [get_ports {clk}]derive_pll_clocksderive_clock_uncertainty 챕터3의 마지막 tool시연 영상에서 해당 부분을 입력하고 run synthesis하는 과정에서 막혔습니다.저는 이미 비바도가 설치되어 있기에 해당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실습 진행중이었습니다.다만 비바도의 경우 xdc파일 형태로 런이 진행되고, derive_pll_clocksderive_clock_uncertainty위의 두 문장은 적용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이럴 경우 어떤 코드를 작성해야 해당 기능을 대체할 수 있을 까요? 양질의 강의 감사 드립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온도센서 HardFault 질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에 혹시 답이 있을 수 있어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온도센서 강의 듣고 따라하다가 자꾸 HardFault_Handler에 걸려서 왜 그런가 찾아보니까 Ds18b20_Init();랑 Ds18b20_ManualConvert();을 주석처리 하면 HardFault에 안 걸리더라고요. 영상 다시 보면서 전부 똑같이 따라해도 HardFault에 걸리는데 뭐가 문제인가요?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과제 질문[Wrapper를 활용하여 FPGA vs. ASIC 각각의 모델 설계하기]
안녕하세요 첫 과제 진행에 있어 질문이 생겨 남깁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왜 같은 SRAM 모델을 똑같이 인스턴스 시켜주냐' 입니다. 제가 이해한 바는 `define 한 줄로 시뮬레이션, FPGA, ASIC을 선택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이번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동일한 모듈은 그저 인스턴스 해준다는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들어 질문드립니다. 상황에 맞게 다른 모듈을 정의해주어야하는게 아닌가요?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에서는 시뮬레이션 전용 SRAM 모듈을 인스턴스 해줘야하고 FPGA에서는 FPGA 전용 모듈을 인스턴스 해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제 생각이 틀린 것일까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st-link 디버깅 오류 문제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st-link 디버깅이 안돼서 문의드립니다. 이런식으로 디버깅 버튼 누르면 이런 오류 메세지 출력되구요 근데 또 유틸리티는 업데이트랑 읽기는 됩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st-link 디버깅 문제 문의
지속적으로 위의 에러가 발생하여debug configuration을 보니 위와 같이 ST-LINK S/N에 스캔된 것이 아무것도 없는게 문제일까요? 다른 비슷한 질문에서 강사님이 답변해주신 내용들은 적용을 해보았으나 되지 않습니다.IDE 버전 역시 현재 공식사이트에서 지원해주는 제일 높은 버전인 1.17.0 부터 제일 낮은 1.15.1 까지 해보았으나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아래의 사진들을 보면 ST Link가 연결이 된 것 같은데 IDE에서만 인식을 못하는걸까요? Utility로 업데이트는 성공적으로 되나IDE에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려면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전원 역시 공급 역시 핸드폰 어답터를 통해 해보았으나 에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네요.혹시 제가 놓친 부분이나 , 더 확인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오랜 시간 삽질하다 해결하지 못해 문의 드립니다..!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cache 테스트벤치 코드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제 화면에는 삼코치님의 화면대로 run all이 뜨지 않는데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HDL 0강] Hello world 실행시 not found 문제
강의대로 진행 시, 실행이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step2 vivado 설치 중 오류
모든 전 과정을 마무리하고 step.2 마지막 vivado install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도와주세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ubuntu와 리눅스 연결문제 도와주세요
지금 다 지우고 새로 깔고 진행중인데 문제는 ubuntu 20.04 터미널을 닫은 후 새로 설치하였는데 mobaxterm에서 인식을 못하는 건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현재 1강 ~6:00분 경까진 진행하여 ubuntu 사용자 계정 생성과 wsl 최신 업데이트는 완료했습니다.)제발 도와주세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스위치를 눌렀다가 뗄때 인터럽트가 걸리는 문제
스위치를 누를 때만 인터럽트가 발생해야 하는데 스위치를 눌렀다가 뗐을 때도 인터럽트가 발생을 합니다.BUTTON_GAP의 수치를 바꿔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ioc에서도 falling edge로 설정을 했음에도 문제가 계속 발생합니다.부품도 바꿔가면서 사용했지만 문제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제가 놓친 부분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timebase source를 systick timer로 하신 이유
timebase source를 왜 systick timer로 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보통 새로운 stm32 프로젝트에서 FreeRTOS를 추가하면 꼭 timebase를 systick timer가 아닌 다른 timer로 설정하라는 경고가 나오는데 왜 systick timer로 하신 건가요?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1강 리눅스 환경 구축 중 문제가 생겼습니다.
1강 리눅스 환경 구축 중 ubuntu 22.04.5 LTS 클릭할 시, 이름/비번 창이 아닌 이런 화면이 뜹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vivado
안녕하세요. tool 관련 질문드립니다.vivado로 진행해도 상관이 없을까요?또한 zynq z7-20 보드가 있어 직접 설계한 부분을 hw에서 구현출력값을 확인하고 싶어 질문드립니다. 앞으로 프로젝트 진행과정에서 직접 hw구현 시 어떠한 방식으로 확인 가능할까요?예를 들어 serial 통신이나 ila같은 방식으로 확인하는게 좋을까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AI HW 설계를 위한 바이블, CNN 연산 완전정복 (Verilog HDL + FPGA 를 이용한 가속기 실습)
소프트 맥스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AI 가속기 관련해 최근 연구를 시작하게 된 석사과정생입니다강의 감사히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고, 일반적으로는 matrix multiplication에 관한 가속기가 연구되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최근에 제가 진행하고 있는 연구 주제가 softmax 연산에 관한 가속기라, 이러한 연구에 관해 질문을 좀 드리고 싶습니다.강의 중에 CNN에서는 사실상 마지막 단에서 max값만 찾아 분류를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굳이 inference시에는 softmax연산을 진행하지 않아도 된다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혹시 그렇다면 softmax연산을 가속하는 것 자체가 큰 contribution이 없는 연구일까요?CNN말고 transformer에서도 Query와 Key의 유사도를 구하고 이를 가중치 값으로 쓰기 위해 softmax연산을 사용하는데, 여기서도 굳이 inference시에 softmax연산을 사용할 필요 없이,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나열하기만 하면 되는 건지 의견을 여쭙고 싶습니다.연구를 하며 정말 많이 헤매고 있었는데,이 분야에 대해 저와 같은 초심자도 이해하기 쉽도록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혹시 강의 내용과 많이 벗어나는 질문이었다면 죄송합니다 ㅠㅠ 현업자 분의 의견을 여쭙고 싶어 올리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modeling code?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2장 12분 40초[2. 질문 내용] : modeling code이기 때문에 실제 하드웨어 모듈이 되면 안된다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ㅠ베릴로그로 모듈 내용을 작성하고 synthesis 를 통해 실제 하드웨어로 만들 수 있게 바꾸는거 아닌가요?모델링 코드의 역할이 실제 하드웨어에 들어가는 모듈을 작성하기 전에 모듈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하는건가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zip압축파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삭제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섹션2-3 1분30초 [2. 질문 내용] : .zip압축파일 제외한 나머지를 모두 삭제해도 되나요? .Identifier .bin .log .jou tools 들을 삭제해도 되나요?그리고 설치영상이 두 개 올려져 있던데, 첫번째 영상만 봐도 상관없나요? (첫번째 영상만 따라했고 vivado &실행까지 정상적으로 됩니다) 그리고 mobaxterm다운로드 할때, 첫번째 영상에선 Portable edition을, 두번째 영상에선 Installer edition을 다운받으셨던데 둘 중 무엇을 설치해야하나요?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
미해결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Arm 아키텍처의 구조와 원리 - 1부 저자 직강 (2024년 버전)
3.2.2.4 모드 복귀 부분
IRQ 모드에서 슈퍼바이저 모드로 복귀할 때의 SPSR_irq.M에 왜 다시 0x13을 넣어주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미 해당 레지스터는 0x13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SPSR_irq가 아니라 SPSR_svc.M에 CPSR.M을 넣고 오히려 CPSR.M을 0x13으로 변경해야하는 것이 아닌가요?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해결)업그레이드 질문
안녕하세요, st link를 교환받은 학생입니다. st link와 연결하여 위의 프로그램을 통해 업그레이드 진행은 성공적으로 되었습니다.이후 st link와 보드를 연결하고 ide내부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HAL_INIT();디버깅 오류가 나서 업데이트 창이 뜸)하였으나위와 같은 오류가 떴습니다.보드에도 따로 usb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업그레이드를 진행하였으나 2번의 오류가 다시 발생합니다.** st link와 보드를 연결시 보드에 불이 들어오지 않습니다.이후 보드에 휴대폰 충전 어댑터를 이용해 전원을 공급하면 일시적으로 빨간불이 들어오나 이내 곧 다시 꺼집니다.더 진행해봐야 할 사항이 있을까요? 해결하였습니다.고속 충전용 휴대폰 어댑터를 사용해서 보드에 전원이 바로 꺼지는 것인가 싶습니다.낮은 출력의 어댑터를 이용하여 보드에 전원 공급시 빨간불이 지속적으로 들어와있는 상태였고3.IDE에서 기존 설정해둔 폴더와 파일을 삭제 후 다시 처음부터 프로젝트를 만들었습니다. 더불어 경로상에 한글이 없도록 지정해두었습니다. 위 3가지를 모두 적용하였더니 정상적으로 HAL_Init()에서 걸렸습니다. 이것이... 임베디드의 길인가요,, 추가질문 - 보드에 별도 전원을 연결하지 않을시 보드에 LED가 들어오지 않는다면 실습하는 동안은 계속 보조 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해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