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파이썬으로 한글오피스에 저장한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문서에서 모든 수식에 alt + 2( 한글오피스에 저장한 2번째 매크로)를 적용하고 싶습니다.챗 gpt는 pyautogui.hotkey('alt', '2') 를 이용하라고 하는데 적용이 되지 않아서 질문 드립니다. ctrl = hwp.HeadCtrl while ctrl: if ctrl.CtrlID == "eqed": eqedCtrls.append(ctrl) ctrl = ctrl.Next for ctrl in eqedCtrls: hwp.SetPosBySet(ctrl.GetAnchorPos(0)) hwp.FindCtrl() pyautogui.hotkey('alt', '2') hwp.Run("Cancel")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강사님의 형변환결과값이랑 저의 형변환결과값이 다른경우...ㅠㅠ
=========================================[질문 내용]public class Casting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ng maxIntValue= 2147483647; //int 최고값 long maxIntOver= 21474836478L; //int 최고값 + 1(초과) int intValue=0; intValue = (int) maxIntValue; // 형변환 System.out.println("maxValue Casting= "+ intValue); intValue = (int) maxIntOver; //형변환 System.out.println("maxIntOver Casting = " + intValue); } } 근데 저의 결과값은 ..... 이렇게 나오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 컨테이너 , DI 컨테이너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를 열심히 보다가 스프링 컨테이너 와 DI 컨테이너 란 용어가 나오는데 스프링 컨테이너 = DI(또는 IOC) 컨테이너 라고 할 수 있을까요?? 스프링 컨테이너도 빈의 생성, 소멸, 의존 관계를 관리 해주는 컨테이너라고 알고있는데 DI 컨테이너도 동일한 기능을 하고 있고그렇다면 스프링 컨테이너 = DI(또는 IOC) 컨테이너 라고 이해 해도 괜찮은지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유형2번 에러
ValueError: could not convert string to float: '기타'선생님 자꾸 fit이쪽에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ㅠㅠ미치곘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상속관계 Joined - 임시 테이블로 생성/삭제로 인한 성능 문제
안녕하세요 영한님.상속관계 Joined 매핑을 사용할 때, 부모테이블에 대하여 업데이트 쿼리 시 임시 테이블 Create Drop 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최근에 플젝을 진행하면서 JPA 상속관계 Joined 전략을 활용했는데요, 프로젝트 초기에는 정규화된 테이블 구조로 먼저 진행하고, 추후 성능 이슈가 발생하면 단일 테이블 전략으로 역 정규화를 논의하는 것이 나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입니다.Domain// 부모 엔티티 @Entity @DiscriminatorColumn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JOINED) public class Notification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notification_id") private Long id; @Enumerated(value = EnumType.STRING) @Column(nullable = false, columnDefinition = "varchar(50)") private NotificationEventType notificationEventTyp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 @Column(name = "\"read\"", nullable = false) private Boolean rea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nullable = false) private User notifier; }// 자식 엔티티 @Entity public class RecruitmentNotification extends Notification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recruitment_id", nullable = false) private Recruitment actor; } @Entity public class StudyNotification extends Notification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study_id", nullable = false) private Study actor; } @Entity public class ReviewNotification extends Notification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review_id", nullable = false) private Review actor; } Service@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NotificationCommandService { private final NotificationRepositoryImpl notificationRepository; public void updateNotificationsAsRead(final User user, final List<Long> notificationIds) { notificationRepository.updateNotificationsAsRead(user.getId(), notificationIds); } } Repositorypublic interface NotificationJpa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Notification, Long> { @Modifying @Query("UPDATE Notification n " + "SET n.read = true " + "WHERE n.notifier.id = :userId AND n.id IN :notificationIds") void updateNotificationsAsRead(final Long userId, final List<Long> notificationIds); }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NotificationRepositoryImpl {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q; private final NotificationJpaRepository notificationJpaRepository;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void updateNotificationsAsRead(final Long userId, final List<Long> notificationIds) { notificationJpaRepository.updateNotificationsAsRead(userId, notificationIds); em.flush(); em.clear(); } } 부모테이블에 대하여 업데이트 쿼리 시, JPA 구현체가 자체적으로 임시 테이블을 Create 및 Drop 하는 로그를 확인했습니다.create temporary table if not exists HT_notification(notification_id bigint not null, primary key (notification_id)) drop temporary table HT_notification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는데요.보안 이슈 등을 고려하여, 현재 상용 DB 의 백엔드 사용자 권한에 DDL을 제외하였습니다.이에 따라 임시 테이블을 생성하지 못하고, 500 에러가 발생하는 상황입니다.JPA 상속 관계 매핑 전략만을 위해 DB 사용자 권한을 넓게 가져가는 것이 올바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 업데이트 API를 호출할 때마다, 임시 테이블을 생성하고 드랍하는 행위가 매우 비효율적이라 생각되는데,이럴 경우 Single 테이블 전략으로 수정하거나, 상속관계 매핑 자체를 안쓰는 방법밖엔 없을까요?상속관계 매핑 전략은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DB 테이블의 조작을 손쉽게하는 장점이 있긴하지만,결국 상용 서비스 중인 DB를 세팅할 땐 데이터베이스 레벨에서 DDL을 직접 세팅하는게 좋고, 기존의 장점이 상쇄되는 느낌입니다.성능적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상속 관계 매핑을 활용하는게 좋은 접근 방법인지 판단이 서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
미해결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디버깅 - Basic [저자 직강 1부-2]
실습 자료 중 ftrace_tracer 파일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nop_tracer 파일에는 ftrace_log.c, get_ftrace.sh, nop_ftrace.sh가 있는데, ftrace_tracer 파일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원래 이런 것인가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설치 환경 설정 시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 발생
안녕하세요 . 동영상 첫번째 그대로 설치 방법을 따라하는데 설치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오류 원인 및 해결 방안이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설치 버전은 영상과 동일한 버전을 설치하였습니다. ) This is a fresh install.Running in batch mode...Copyright (c) 1986-2024 Xilinx, Inc. All rights reserved.INFO - User has accepted the EULAs.ERROR - The value specified for Edition (null) is invalid. Valid edition names are "Vi vado ML Standard","Vivado ML Enterprise". Please specify a valid edition name using -e <edition name> or point to an install configuration file using -c <filename>.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py3_run 오류가 납니다(코드 첨부)
안녕하세요, 이전에 테스트 데이터를 넣었을 때 오류가 난다고 했던 수강생입니다. 주구매상품과 구매지점을 넣어서 훈련시키는 건 해결했는데(이전 질문은 해결됨), 수치형 데이터로 훈련시킬 때 아래와 같은 오류메세지가 뜹니다. 농산물은 주구매상품에 있는 변수던데 수치형만 넣었는데도 불구하고 어디서 나온건지.. 이해가 안됩니다..우선 제가 입력했던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바쁘신 와중에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mport pandas as pd pd.set_option('display.max_columns',None) train = pd.read_csv("data/customer_train.csv") test = pd.read_csv("data/customer_test.csv") train['환불금액'] = train['환불금액'].fillna(0) test['환불금액'] = test['환불금액'].fillna(0) #cols=['주구매상품','주구매지점']#0.6117 cols=['회원ID','총구매액','최대구매액','환불금액','방문일수','방문당구매건수','주말방문비율','구매주기'] target=train.pop('성별') #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le=LabelEncoder() #for col in cols: # train[col]=le.fit_transform(train[col]) # test[col]=le.transform(test[col]) 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x_tr,x_val,y_tr,y_val=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0.2, random_state=0)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model=RandomForestClassifier() model.fit(x_tr,y_tr) pred=model.predict_proba(x_val) #print(pred)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c_auc_score print(roc_auc_score(y_val, pred[:,1])) pred = model.predict_proba(test) submit = pd.DataFrame({ 'pred': pred[:,1] }) submit.to_csv('result.csv', index=False) print(pd.read_csv('result.csv'))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상속관계 Joined 매핑 - 임시 테이블 Create Drop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영한님.상속관계 Joined 매핑을 사용할 때, 부모테이블에 대하여 업데이트 쿼리 시 임시 테이블 Create Drop 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최근에 플젝을 진행하면서 JPA 상속관계 Joined 전략을 활용했습니다.부모테이블에 대하여 업데이트 쿼리 시, JPA 구현체가 자체적으로 임시 테이블을 Create 및 Drop 하는 로그를 확인했습니다. Domain// 부모 엔티티 @Entity @DiscriminatorColumn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JOINED) public class Notification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notification_id") private Long id; @Enumerated(value = EnumType.STRING) @Column(nullable = false, columnDefinition = "varchar(50)") private NotificationEventType notificationEventType;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LocalDateTime createdAt; @Column(name = "\"read\"", nullable = false) private Boolean rea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nullable = false) private User notifier; }// 자식 엔티티 @Entity public class RecruitmentNotification extends Notification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recruitment_id", nullable = false) private Recruitment actor; } @Entity public class StudyNotification extends Notification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study_id", nullable = false) private Study actor; } @Entity public class ReviewNotification extends Notification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review_id", nullable = false) private Review actor; } Service@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NotificationCommandService { private final NotificationRepositoryImpl notificationRepository; public void updateNotificationsAsRead(final User user, final List<Long> notificationIds) { notificationRepository.updateNotificationsAsRead(user.getId(), notificationIds); } } Repositorypublic interface NotificationJpa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Notification, Long> { @Modifying @Query("UPDATE Notification n " + "SET n.read = true " + "WHERE n.notifier.id = :userId AND n.id IN :notificationIds") void updateNotificationsAsRead(final Long userId, final List<Long> notificationIds); } @Repository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NotificationRepositoryImpl { private final JPAQueryFactory q; private final NotificationJpaRepository notificationJpaRepository; private final EntityManager em; public void updateNotificationsAsRead(final Long userId, final List<Long> notificationIds) { notificationJpaRepository.updateNotificationsAsRead(userId, notificationIds); em.flush(); em.clear(); } } 업데이트 API를 호출할 때마다, 임시 테이블을 생성하고 드랍하는 행위가 매우 비효율적이라 생각되는데,이럴 경우 Single 테이블 전략으로 수정하거나, 상속관계 매핑 자체를 안쓰는 방법밖엔 없을까요? 상속관계 매핑 전략은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DB 테이블의 조작을 손쉽게하는 장점이 있긴하지만,결국 상용 서비스 중인 DB를 세팅할 땐 데이터베이스 레벨에서 DDL을 직접 세팅하는게 좋고, 기존의 장점이 상쇄되는 느낌입니다.성능적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상속 관계 매핑을 활용하는게 좋은 접근 방법인지 판단이 서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
해결됨초보자를 위한 BigQuery(SQL) 입문
Espanso 실행 문제 해결
안녕하세요. 수업 유익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Espanso를 다운받아서 설정해봤는데요! 텍스트 편집기에서 수정까지 되었고, espanso 프로그램에서 open search bar 를 눌러봤을 때 첨부드린 이미지처럼 :sql 이 잘 들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sql 과 같은 trigger 단어를 입력해도 변하지 않아서 어떤 다른 해결 방법이 있을지 문의드립니다.혹시 espanso의 설정 수정까지는 잘 되었으나, espanso가 어떤 권한 문제로 적용이 안될 수도 있나요? 추가로 시도해볼만한 방법이 있다면 안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M.B.I.T> 테스트 페이지 만들기! with Django
사이트 접속이 안돼요
http://mbit.weniv.co.kr/ 사이트 접속이 안돼요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스토리북과 UI 테스트
강사님 VS Code 테마가 예뻐서 어떤거 쓰시는지 궁금해요.☺️
강의를 들으면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강의를 따라하는데 에러가 발생하는 부분강의에는 없지만 스토리북에 대해 궁금한 부분들을 자유롭게 질문으로 올려주세요!확인하는대로 최대한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런것도 여기 질문해도 되나요? 강사님 VS Code 테마가 예뻐서 어떤거 쓰시는지 궁금합니다 ☺ 찾아봤는데 비슷한게 안보여서 질문드렸어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6:49 print 출력부분
시험환경에서 작업형1, 3 은 따로 결과를 기입하는 부분이 있다고 알고있습니다.결과쓰는 부분에 답을 81 이라고 쓰면 될것 같은데, print() 로 써야 한다고 하는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결과 제출을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Id 대신 name을 사용하는 이유
강의에서 사용자는 Id로 조회하고, 도서는 name으로 조회하는데 별도의 이유가 있을까요?실제 구현한다면 동일한 도서명이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일관성을 위해 강의를 참고하며개인적으로 두가지 다 Id로 조회하도록 구현하고 있었습니다. Dto나 Repository 등에서 타입과 이름만 잘 변경해주면 문제가 없을꺼라고 생각했는데중간에 제가 잘못 설계한 곳이 있는지 도서 대출시 BookRequestLoan에 값이 계속 안넘어옵니다. 혹시 Id (long 타입)로 조회하면 크게 달라지는 코드가 있거나 주의해야하는 부분이 있는지여쭤보고 싶어서 문의글 남깁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섹션 7. post
<form action="item.html" th:action method="post"> <div> <label for="itemName">상품명</label> <input type="text" id="itemName" name="itemName" class="formcontrol" placeholder="이름을 입력하세요"> </div> <div> <label for="price">가격</label> <input type="text" id="price" name="price" class="form-control" placeholder="가격을 입력하세요"> </div> <div> <label for="quantity">수량</label> <input type="text" id="quantity" name="quantity" class="formcontrol" placeholder="수량을 입력하세요"> </div> <hr class="my-4"> <div class="row"> <div class="col"> <button class="w-100 btn btn-primary btn-lg" type="submit">상품 등 록</button> </div> <div class="col"> <button class="w-100 btn btn-secondary btn-lg" onclick="location.href='items.html'" th:onclick="|location.href='@{/basic/items}'|" type="button">취소</button> </div> </div> </form>여기서 method="post"인데 html 폼 데이터로 전송된다고 교재에 적혀있는데, 요청 데이터 전송에는Get 파라미터html 데이터 폼 전송http api 형식 데이터 전송3가지중 Post이기에 Get은 아니지만, 왜 미디어 타입에 관한 건 명시되어 있지않은데, 왜 무조건 html 폼 데이터로 전송 되는 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여러 서버에서 db 접근 시 동시성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러 서버에서 db에 접근할 경우 sequence전략의 인덱스 처리가 궁금합니다.allocationsize를 50으로 설정한 경우a 서버에서 1~50까지 확보, 다음 인덱스번호 51번(a서버에서 아직 종료되지 않음)b 서버에서 인덱스번호 요청 51번 반환, 51~100번 인덱스 사용만약 해당 상황의 a서버에서 데이터를 3개 추가한 후 종료된다면 1,2,3번 인덱스만 사용되고 4~50번 인덱스는 앞으로 사용되지 않는건가요??그리고 여러 서버를 작동시키고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한다면 중간중간 비어있는 인덱스가 많아질 것인데, 비어있는 인덱스는 재활용이 불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빠르게 git - 핵심만 골라 배우는 Git/Github
pr 이후 브랜치 삭제 질문드립니다
pr을 날린 후, 마지막에 브랜치를 지워주면 좋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 이때 브랜치를 지우는게 로컬의 브랜치를 지우는건지, 아니면 원격의 브랜치를 지우는 건지 궁금합니다수업에서 보여주셨던 git branch -D 브랜치이름 는 로컬의 브랜치를 강제 삭제하는 명령어로 알고 있습니다 ! 그럼 로컬의 브랜치만 지우고, 원격의 브랜치는 지우지 않는 건가요 ?!
-
미해결[백문이불여일타] 데이터 분석을 위한 SQL 실전편 (무료 미니 코스)
이메일 오픈 비율 값이 예시와 다르게 나와요
이메일 오픈 비율을 카운트로 뽑고 구글에서 퍼센테이지 변환 했습니다. 그런데 제시된 데이터 프레임에 있는 퍼센테이지와는 다른 값이 나왔는데 .. 문제가 없는건가요?? 분석 자료로 주신 엑셀 자료에서도 모드에서 제공되는 예시와 동일한데 저만 결과가 다르게 나오니까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반응형 웹사이트 포트폴리오(Architecture Agency)
css full reload 문제가 발생하여 질문드립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esignWorks Architecture Agency</title> <script src="js/jquery-2.1.4.js"></script> <!-- Page Scroll Effects JS & CSS --> <script src="js/velocity/modernizr.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ui.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main.js"></script> <link rel="stylesheet" href="js/velocity/velocity.css"> <!-- Smooth Scrolling --> <script src="js/jquery.scrollTo.min.js"></script> <!-- Custom JS & CSS --> <script src="custom.js"></script>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link rel="stylesheet" href="responsive.css"> </head> <!-- hijacking: on/off - animation: none/scaleDown/rotate/gallery/catch/opacity/fixed/parallax --> <body data-hijacking="on" data-animation="rotate"> <div class="container"> <section class="cd-section visible" id="home">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1.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about">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2.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project">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3.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pla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4.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awards"> <div> <div class="content"> <div class="awards-inner"> <div class="about-awards"> <div class="about-heading"> <!-- 이런식으로 부모요소로 묶기 --> <h2>2024 <br>Architecture Awards <br>Winner</h2> <hr class="bar"> <p> The mission of the Architecture MasterPrize (AMP) is to advance the appreciation and exposure of quality architectural design worldwide. The AMP architecture award celebrates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the fields of architectural design,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Submissions from architects all around the world are welcome. </p> <!-- 새창에서 띄우기 타겟 블랭크 --> <a href="https://architectureprize.com/" target="_blank">View the awards</a> </div> </div> <div class="victory-jump"> <img src="/images/victory-jump.png"> </div> </div> </div>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location"> <div> <div class="content"> <div class="location-inner"></div>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contact">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7.jpg"> </div> </div> </section> <header> <div class="gnb-inner"> <div class="logo"> <a href="#none"><img src="images/logo.png"></a> </div> <div class="gnb"> <div class="menu"> <a href="#home">Home</a> <a href="#about">About</a> <a href="#project">Project</a> <a href="#plan">Plan & History</a> <a href="#awards">Awards</a> <a href="#location">Location</a> <a href="#contact">Contact</a> </div> <div class="slogan">We design places, not projects.</div> </div> <div class="trigger"> <span></span> <span></span> <span></span> </div> </div> </header> </div> <!-- 스크롤 부분 --> <a href="#" class="gototop"><img src="images/gototop.png"></a> <!-- 폰트어썸 아이콘부분 --> <a href="#" class="btn-hiring"><i class="fa fa-commenting"></i> Hiring</a> <nav> <ul class="cd-vertical-nav"> <li><a href="#0" class="cd-prev inactive">Next</a></li> <li><a href="#0" class="cd-next">Prev</a></li> </ul> </nav> </body> </html> * pc버전 */ /* Google Web Font : Montserrat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ontserrat:200,300,400,5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anrope:300,400,500,6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Source+Sans+Pro:wght@200;300;400;600;700;9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Overpass&display=swap'); /* FontAwesome CDN 4.7 */ @import url('https://stackpath.bootstrapcdn.com/font-awesome/4.7.0/css/font-awesome.min.css'); /* Reset CSS */ * { box-sizing: border-box; } ul { list-style: none; } a { text-decoration: none; } /* Default CSS */ body { font-family: 'Montserrat', sans-serif; color: #222; font-size: 15px; margin: 0; height: 100vh; background-color: #fff; } /* Entire Layout */ .cd-section { height: 100vh; } .cd-section > div { height: 100%; position: relative; } .content { background-color: #ddd; position: absolute; width: calc(100% - 40px); height: calc(100% - 80px); left: 20px; bottom: 20px; overflow: hidden; } /* Header */ header { position: fixed; top: 0; left: 0; width: 100%; } .gnb-inner { /*border: 1px solid #000;*/ width: calc(100% - 40px); margin: auto; height: 60px; line-height: 60px; } .logo { float: left; } .logo img { padding-top: 17px; } .gnb { float: right; } .menu { display: none; } .menu a {} .slogan { font-size: 16px; font-style: italic; } .trigger { display: none; } /* Hiring Button */ .btn-hiring { position: fixed; right: 50px; bottom: 50px; color: #fff; background-color: #000; /* 앞 px상하,뒤 px좌우 */ padding: 10px 20px; border-radius: 20px; /* 가로,세로,퍼짐정도 */ box-shadow: 5px 5px 20px rgba(0, 0, 0, 0.38); transition: 0.5s; } .btn-hiring .fa { transform: rotateY(180deg); margin-right: 5px; } /* 버튼이 눌리는 느낌 */ .btn-hiring:active { transform: scale(0) } /* ################### Section : awards-winner ################### */ .awards-inner { height: 100%; border: 1px solid #ddd; } .awards-inner > div { border: 1px solid #000; float: left; width: 50%; height: 100%; position: relative; } .about-awards { background-color: #1a1f24; color: #fff; } .about-heading { position: absolute; top: 50%; left: 50%; transform: translate(-50%, -50%); text-align: center; width: 70%; } .victory-jump { background-color: #fff; } .victory-jump img { position: absolute; top: 50%; left: 50%; transform: translate(-50%,-50%); width: 80%; }선생님께서 올려주신 비쥬얼스튜디오 full reload 해결 방법 강의를 듣고 적용시킨 후 작업 중이였는데 갑자기 코딩 시 최상단으로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설정을 다시 확인하고 익스텐션에서 open sever를 재설치하였음에도 해결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react-native-gesture-handler 라이브러리 설치 후 에러
❗질문 작성시 꼭 참고해주세요최대한 상세히 현재 문제(또는 에러)와 코드(또는 github)를 첨부해주셔야 그만큼 자세히 답변드릴 수 있습니다.맥/윈도우, 안드로이드/iOS, 버전 등의 개발환경도 함께 적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에러메세지는 일부분이 아닌 전체 상황을 올려주세요!환경 : 윈도우, 안드로이드에뮬 : Pixel 5 API 33 + Android13.0버전 : jdk11, react-native 0.72.6, node 20, gradle 8.0.1{ "name": "Matzip", "version": "0.0.1", "private": true, "scripts": { "android": "react-native run-android", "ios": "react-native run-ios", "lint": "eslint .", "start": "react-native start", "test": "jest" }, "dependencies": { "@react-native-masked-view/masked-view": "^0.3.0", "@react-navigation/native": "^6.1.9", "@react-navigation/stack": "^6.3.20", "react": "18.2.0", "react-native": "0.72.6", "react-native-gesture-handler": "^2.13.4", "react-native-safe-area-context": "^4.7.4", "react-native-screens": "^3.27.0" }, "devDependencies": { "@babel/core": "^7.20.0", "@babel/preset-env": "^7.20.0", "@babel/runtime": "^7.20.0", "@react-native/eslint-config": "^0.72.2", "@react-native/metro-config": "^0.72.11", "@tsconfig/react-native": "^3.0.0", "@types/react": "^18.0.24", "@types/react-test-renderer": "^18.0.0", "babel-jest": "^29.2.1", "eslint": "^8.19.0", "jest": "^29.2.1", "metro-react-native-babel-preset": "0.76.8", "prettier": "^2.4.1", "react-test-renderer": "18.2.0", "typescript": "4.8.4" }, "engines": { "node": ">=16" } } react navigation 사용을 위해 라이브러리를 하나씩 추가하는 도중에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yarn add @react-navigation/nativeyarn add react-native-screens react-native-safe-area-context@Override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super.onCreate(null);}import android.os.Bundle;yarn add @react-navigation/stackyarn add react-native-gesture-handlerimport 'react-native-gesture-handler';위 단계까지 하면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합니다.info Reloading app... BUNDLE ./index.js error: Error: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lstat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prop-types\node_modules\react-is' at Object.realpathSync (node:fs:2707:29) at DependencyGraph.getSha1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node-haste\DependencyGraph.js:214:12) at Transformer._getSha1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Bundler. js:26:26) at Transformer.transformFile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DeltaBundler\Transformer.js:106:19) at Bundler.transformFile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Bundler. js:60:30) at async Object.transform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lib\transformHelpers.js:143:12) at async Graph._processModule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DeltaBundler\Graph.js:257:20) at async Graph._traverseDependenciesForSingleFile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DeltaBundler\Graph.js:249:5) at async Graph.traverseDependencies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DeltaBundler\Graph.js:157:9) at async DeltaCalculator._getChangedDependencies (C:\Users\uersname\Desktop\Matzip\frontend\node_modules\metro\src\DeltaBundler\DeltaCalculator.js:281:42) 시도해 본 것android 폴더에서 ./gradlew cleanreact-native doctorreact-native-gesture-handler 다운그레이드node_modules 폴더 삭제 후 yarn install or npm install강의 소스 코드와 버전 일치하도록 package.json 수정 후 yarn install react native 프로젝트 새로 생성 후라이브러리 yarn 명령어로 설치하지 않고 강의 소스 package.json로 교체 후 yarn install 시 아래와 같이 오류 발생info Opening the app on Android... info JS server already running. info 💡 Tip: Make sure that you have set up your development environment correctly, by running react-native doctor. To read more about doctor command visit: https://github.com/react-native-community/cli/blob/main/packages/cli-doctor/README.md#doctor FAILURE: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 Where: Build file 'C:\Users\username\Desktop\Matzip2\node_modules\react-native-gesture-handler\android\build.gradle' line: 310 * What went wrong: Execution failed for task ':tasks'. > Could not create task ':react-native-gesture-handler:checkIntegrityBetweenArchitectures'. > java.lang.reflect.UndeclaredThrowableException (no error message) * Try: >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BUILD FAILED in 6s npm uninstall react-native-gesture-handler 해당 라이브러리 삭제 후index.js import 'react-native-gesture-handler' 주석 처리 하면 정상적으로 빌드 되고 에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어떻게 하면 react-native-gesture-handler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