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카프카 완벽 가이드 - 코어편
min.insync.replicas 설정에 따른 Producer 전송 이해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해당 강의자료에서는 producer가 leader partition에게 보낸 메시지를 leader가 follower에게 복제하는 그림(화살표)이던데이 과정은 전강의(ISR(In-Sync_Replicas)의 이해)에서 follower들이 fetch해서 가져가는 것과는 별개인것인가요?화살표(data전송방향)가 달라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클럭의 의미를 설명해주시는 부분에 질문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데이터시트 읽어 주는 남자 1의 10분 30초 부분에 대한 질문입니다.1M의 의미가 8,388,608이라고 하셨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처음 시작하는 Infrastructure as Code: AWS & 테라폼
18강 Function 활용하기
18강의 vpc에 들어가서 backend의 s3 bucket을 제 bucket으로 고쳐도 계속 403 에러가 떠서 문의 드립니다 , key도 바꿔봤고, dynamo_db의 이름도 바꿨는데도 error message는 s3 bucket에 대한 error만 뜨네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샐러리(Celery)
celery의 로그 설정을 django의 settings.py에서 따로 해줘야 하는게 있을까요?
django의 logger를 사용해 log를 출력하는 경우CELERYD_HIJACK_ROOT_LOGGER = False를 해줘야 하는지요?celery의 동작과 관련한 모든 기본 출력을 django log에 함께 출력하는 방법이 있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비전공자 직장 병행 합격했습니다.
비전공자(심지어 법학 전공입니다)에 직장 병행하면서 시험 준비했는데,강의 듣고 한번에 합격할 수 있었습니다. 강의가 체계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어서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시험 전날 늦은 시간에 질문 올렸는데도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답안 제출 못할 뻔 했는데 빠르게 답변해주셔서 숙지하고 답안 잘 제출할 수 있었습니다 ㅎㅎ;
-
미해결JSP 웹 쇼핑몰 프로그래밍 기본 과정(JSP WEB Programming)
autoflush 가득 차지않아도 강제출력? 가득차면 자동출력?
말로 설명은 가득차지 않아도 라고 하시는데 설명글은 버퍼가 가득 차면 자동출력이라고 적혀있어서요뭐가 맞는거에요? 인프런 ai답변좀 해주세요
-
해결됨spring boot actuator 파헤치기
다음 강의를 준비하신다면 음질좀 높여주실 수 있으신가요..?ㅠㅠㅠ
강의 내용에 대해 질문해 주세요에러가 날 경우 본인 코드가 있는 git 주소를 알려주거나 최대한 상세히 적어주세요
-
미해결삼각형의 실전! OpenAI Triton 초급
앞으로의 강의 계획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전 공지에서 혹시 Softmax, Flashattention 등의 내용까지 초급으로 포함시키실 것이라고 말씀하셨는데혹시 강의가 추가되는 일정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V 질문
안녕하세요.강의 코드에서 ret = -1e6; 로 되어 있는 걸 -1 로 대신 대입하면 문제가 틀리게 되는 이유가 뭔가요?here == n 까지 도달하면 0이 리턴되고, 시간과 금액은 자연수로 주어지므로, 한 번 끝까지 구해진 경우는 모두 dp값이 0보다 큰 값이 저장될 것 같은데 왜 틀리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LFU 가장 참조 횟수가 적은 것
가장 참조 횟수가 적은게 1과 2 둘다 가능한건가요?이하 CHAT-GPT 내용입니다. GPT의 내용이 맞는지 봐주십쇼.LFU 알고리즘 시뮬레이션초기 상태페이지 프레임: [ , , ]참조 횟수: {}페이지 0이 들어옴페이지 프레임: [0, , ]참조 횟수: {0: 1}페이지 1이 들어옴페이지 프레임: [0, 1, ]참조 횟수: {0: 1, 1: 1}페이지 2가 들어옴페이지 프레임: [0, 1, 2]참조 횟수: {0: 1, 1: 1, 2: 1}페이지 0이 다시 들어옴 (이미 존재)페이지 프레임: [0, 1, 2]참조 횟수: {0: 2, 1: 1, 2: 1}페이지 0이 다시 들어옴 (이미 존재)페이지 프레임: [0, 1, 2]참조 횟수: {0: 3, 1: 1, 2: 1}페이지 1이 다시 들어옴 (이미 존재)페이지 프레임: [0, 1, 2]참조 횟수: {0: 3, 1: 2, 2: 1}페이지 2가 다시 들어옴 (이미 존재)페이지 프레임: [0, 1, 2]참조 횟수: {0: 3, 1: 2, 2: 2}페이지 3이 들어옴 (페이지 교체 필요)페이지 프레임: [0, 1, 2] -> [0, 1, 3]참조 횟수: {0: 3, 1: 2, 2: 2} -> {0: 3, 1: 2, 3: 1}여기서 페이지 2가 교체되는 이유는 페이지 2와 페이지 1의 참조 횟수가 동일하지만, LFU 알고리즘에서 일반적으로 먼저 들어온 페이지(혹은 임의의 선택)가 교체 대상이 됩니다.최종 상태페이지 프레임: [0, 1, 3]참조 횟수: {0: 3, 1: 2, 3: 1}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양방향 @OneToMany 에서의 단순 delete(Instance) 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질문 올립니다. 다름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Parent, Child 가 있고 이 둘을 양방향으로 맺었을때@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Entity public class Parent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parent", cascade = CascadeType.PERSIST) private final Set<Child> children = new HashSet<>(); public Parent(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void addChild(Child... childs) { for (Child c : childs) { c.addParent(this); children.add(c); } } } @G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Entity public class Child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parent_id", nullable = false) private Parent parent; public Child(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void addParent(Parent parent) { this.parent = parent; } }아래와 같이 테스트코드를 짜면@AutoConfigureTestDatabase(replace = AutoConfigureTestDatabase.Replace.NONE) @DataJpaTest(showSql = false) class ParentRepositoryTest { @Autowired ParentRepository parentRepository; @Autowired ChildRepository childRepository; @Rollback(false) @Test @DisplayName("delete, deleteAll, deleteAllInBatch 를 비교한다.") public void differenceBetweenDeleteAllAndDeleteAllInBatch2() { Parent parent1 = new Parent("부모 1"); Child child1 = new Child("자식 1"); Child child2 = new Child("자식 2"); Child child3 = new Child("자식 3"); parent1.addChild(child1, child2, child3); parentRepository.save(parent1); Parent parent = parentRepository.findAllWithChildren("부모 1").get(); parent.getChildren().remove(child1); childRepository.delete(child1); } }parent.getChildren().remove(child1); 의 존재 여부에 따라 delete 쿼리가 나갈지 말지 결정되더라구요.이거에 대해서 고민을 해봤습니다. 제가 내린 결론은"하나의 tx 에서 Parent 가 속한 Child 들 중 하나를 childRepository.delete(Child) 혹은 deleteAll() 을 통해 지우려할때, Parent 의 Child 의 컬렉션에서 지울 Child 를 먼저 remove 하여 부모 자식간의 연결관계를 끊어주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삭제할 Child 를 repository 에서 지우기만 하면 Parent 에 남아있는 컬렉션에는 지워진 데이터가 카컬렉션에 남아있어 로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Parent 에서 지울 Child 를 먼저 remove 를 사용하지 않으면 delete 쿼리가 나가지 않는 것이고, 먼저 remove 를 하면 delete 쿼리가 나가는 것이다"라고 결정지었습니다. 아무래도 JPA 에서 최고 권위자인 김영한강사님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고아객체 제거인 orphanRemoval 은 일부러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순수 delete 에서만 그 원리를 알고싶습니다. 항상 무지성으로 querydsl 혹은 in 절로 지우기만해서 근본을 까먹은거같네요 ㅠㅠ)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section4 - chapter4.ts 사용자 정의 타입가드
// 1function isDog(animal: Animal) animal is Dog { return (animal as Dog).isBark !== undefined;}// 2function isDog(animal: Animal) animal is Dog { return "isBark" in animal;}수업에서는 1번을 알려주셨는데 코드를 2번과 같이 작성하지 않은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csrf Post 요청 시 에러
안녕하세요.csrf.http 파일로 /csrf post 방식에 헤더에 값을 넣어서 테스트 중인데요.강사님이 말씀해주신 방법으로 해도 테스트가 진행이 안되서 질문드립니다.login 페이지에 생성된 토큰 값을 요청 시에 같이 전달했는데 왜작동이 되지 않을까요??### GET request with a header GET http://localhost:8080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POST request with a header POST http://localhost:8080/csrf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POST request with a header POST http://localhost:8080/csrf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_csrf = GQUnQECQsPrRDBd53iPaRAYfoKozqh0dZfg91MeDiOKw3OOtKjUQcHb00578aiNN6A7ufTEpjZMAyXswV85b4KSyutqB7IeY ### Send GET request with json body GET http://localhost:8080/csrfToken Content-Type: application/json위는 csrf.http 파일입니다.강사님은 요청이 성공적으로 되는데 저는 똑같이 로그인 페이지가 계속 나오더라구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수동 빈 등록에서의 의존관계 주입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해당 강의에서 컴포넌트 스캔으로 빈을 등록할 때 의존 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중 생성자 주입, setter 주입, 필드 주입, 일반 메소드 주입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아래 코드와 같은 수동 빈 등록에서//AppConfig.java //memberRepository 빈은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1. 이렇게 하면 생성자 주입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2. 이렇게 하면 setter 주입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set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return memberService; } //3. 필드 주입은 어차피 setter가 필요하므로 생략 //4. 이렇게 하면 일반 메소드 주입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3(){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Impl(); memberService.init(memberRepository()); return memberService; } }각 번호대로 작성하면 되나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Vitis tool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맛비님. vitis tool로 혼자 공부하며 이것저것 하다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이상하게 Vitis에서는 txt 파일이 읽히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맛비님. vitis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 인프런 (inflearn.com)제가 방법을 찾아보다 이전에 다른분께서 질문하셨던 내용을 찾아서 블로그 보며 공부를 하려 했는데 블로그가 들어가지지 않아서 이렇게 한번 더 질문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강의외에 질문을 드려서 죄송합니다.. 항상 강의 돌려보며 공부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켠김에 출시까지] 유니티 캐주얼 모바일 MMORPG (M2)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M2 1주차 강의(섹션 1. 클라/서버 프레임워크와 이동 동기화)를 들어봤는데 서버와 클라 강의가 너무 문외한이라 환불하고 M1강의를 살려고 했는데 이미 자료를 다운받아서 환불이 불가능 하더라고요.질문1. 2주차부터는 전투, AI, 자동사냥등 유니티 게임 기능구현이 주된 내용같은데 2주차부터 제대로 들으면 될까요? 질문2. 1주차 내용이 설명이 없어 이해가 안되는데 이에 맞는 강의추천이나 문서 알려주실 수 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교안관련 문의드립니다
오늘 유튜브에서 우연히 이 강의를 알게되어서목차 내용보고 확신이 들어 바로 구매 하였습니다.실기시험까지는 얼마 남지 않아서 열심히 해보려고합니다.근데 강의 듣기전에 교안이 있으면인쇄를 해놓고 영상 재생해보려고 하는데 어디에도 교안은 따로 없는거같아서요!!원래 교안이 없는것이고,그냥 영상만 보고 쭉 이해하면 되는것인가요?
-
해결됨[켠김에 출시까지] 유니티 캐주얼 모바일 MMORPG (M2)
패킷모아보내기 관련 해서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루키스님^^루키스님 덕분에 고퀄 강의를 또 듣게 되어 정말 무궁한 영광입니다.프로젝트가 어떻게 완성되어 갈지 흥미진진하고 너무 기대됩니다. ㅎㅎ들뜬 마음을 부여잡고 복습을 하다가 문득 라이브에서는 캐치를 못한 부분이 있어서 바쁘신 와중에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ㅜ다름이 아니고 기존 강의에서는 서버 프로젝트에서 패킷모아보내기 관련 코드가 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이번에는 해당 부분이 보이질 않는 것을 보니 일부러 해당 부분을 빼놓으신 것 같은데 혹시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패킷 모아보내기 작업은 따로 안하실 예정이신가요?
-
미해결캐글 실습으로 배우는 데이터 사이언스
수료증 발급 문의
안녕하세요.강의 수강 완료 후 수료증 발급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절차가 어떻게 되는지, 수료증 어디서 받아야하나요?회사 제출 용도로 필요하기에 문의드려요
-
해결됨대용랑 채팅 TPS에 대한 stateful 서비스 구축하기
채팅 클라이언트는 누구와 연결되는지
안녕하세요 강사님복습을 하다가 궁금한 점이 3가지 정도 생겨 질문드립니다.1) 채팅 유저가 최초 접속을 하면컨트롤 서버에 접속가용 가능한 채팅 서버의 주소를 응답받음해당 채팅 서버와 소켓 연결이런 흐름으로 이해했는데 맞을까요?프론트 단 코드에서는 채팅 서버와 직접 소켓 연결하는 코드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2) 사용자가 채팅 시, 채팅 서버가 도중에 다운되면 사용자는 컨트롤 서버에 재연결 시도하여 가용가능한 채팅 서버를 재할당 받는 것인가요?3) 컨트롤 서버에 api 주소 중 /server-list 라는 api 가 있던데 해당 API 는 누가 호출하는 것인가요? 가용가능한 서버 리스트를 내려주는 API 로 이해했는데, 그럼 채팅 사용자가 해당 API 를 직접 찌르는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