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에뮬레이터가 실행이 안 되네요..
환경변수, SDK 설정은 수없이 확인해보았고 지웠다 깔았다도 반복해보았습니다. 경로에 한글이 들어가 있지도 않았는데 도저히 에뮬레이터가 작동할 생각을 안 하네요.. 디바이스 매니저에서 추가를 해서 에뮬레이터 실행을 누르면 바로 오류가 뜨지 않고 실행은 되는데 정말 잠깐 뜨고 사라진 다음 작업 표시줄에만 남아있습니다.그래서 다시 눌러보면 각종 dll 파일들이 없다고 뜹니다.libandroid-emu-metrics.dlllibprotobuf.dlllibandroid-emu-agents.dlllibglib2_windows_msvc-x86_64.dll이렇게 네 종류가 뜹니다.노트북 기종은 950sbe/951sbe 입니다. 혹시 제 노트북이 플러터 프로그램과 호환이 안 되는걸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기본형vs참조형3-메서드호출과 관련해서 Integer 객체와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의 10분51초에서 참조형 객체는 함수로 매개변수를 불러들일경우, 주소값을 가져와서 함수내에서 값이 변경되면 주소값의 값이 바뀐다고 들었습니다.다만, Integer 객체의 경우, 참조객체인것으로 알고있는데,아래와 같이 Data 가 아닌 Integer 객체를 전달하니 두 결과가 모두 10이 나옵니다.Integer 값은 왜 바뀌지 않는것인가요?public class Ref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 Integer a = 10; System.out.println(a); change(a); System.out.println(a); } private static void change(Integer x){ x =20; } }
-
해결됨Supabase, Next 풀 스택 시작하기 (feat. 슈파베이스 OAuth, nextjs 14)
타입에러에 관해 질문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타입에러가 발생했습니다.데이터베이스와 todoDto모두 설정 및 정상적으로 가져온거 같은데요마우스를 올려보고 에러내용도 확인해보면 타입은 다 같게 설정되어있는거 같습니다.타입자체를 비교해서 대입 하려해도 에러가나오네요..플러그인을 통해서 시각화해서 좀 더 자세하게 머가 문제인지 비교해봐도 타입이 같습니다..혹시 뭐가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AWS(Amazon Web Service) 중/상급자를 위한 강의
ECS + ECR + CodeBuild 실습 - 1부 가 안됩니다
ECS + ECR + CodeBuild 실습 - 1부 가 안됩니다강사님 강의를 그대로 실행하였는데 계속 화면에 "안녕하세요! .... " 문구가 뜨지 않고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음만 나옵니다aws화면도 좀 바꼈고헤서 보충강의 까지 보고 진행했는데뭔가 Dockerfile이 안 맞는지 서비스 시작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ㅠㅠ에러 발생했던 로그 화면 첨부합니다
-
미해결Vue.js 완벽 가이드 - 실습과 리팩토링으로 배우는 실전 개념
안녕하세요 vue 2.7로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실무에서 최하위 자식의 props와 watch의 관계를 여쭈고자 합니다.
다름은 아니고 vue2.7 버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실무에서 업무를 진행하다. 한가지 의구심이 들어서 질문을 여쭈고자 합니다.부모 에서 ref 반응형 데이터가 존재하는데 이 반응형 데이터를 바로 아래 자식으로 props를 넘겨주었고 이 넘긴 props를 watch를 사용해서 변화가 있을때 어떤 로직을 처리하겠다.로 구현을 했습니다. 구현과정에서 컴포넌트를 나눌 필요가 생겨서 자식안에 자식을 하나 더 만들고 최상위 부모로 부터 받은 props를 그 최하위 자식에게 전달 후 최하위 자식에서 watch를 통해 어떤 로직을 처리하겠다. 로 구현을 했을때 최하위 자식에서 watch가 정상적으로 props의 변화를 인지 하지 못하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props값을 렌더링 했을때는 최하위 자식에서도 정상적으로 변했습니다. 결국 최하위 자식에서 deep과 immediate 옵션을 설정해 해결했는데 왜 이런식으로 동작했는지 검색을해도 나오지 않아서 궁금해서 여쭙고자 합니다. 여기서 ref 데이터 타입은 object이고 초기값은 null 입니다. 추가적으로 최하위 자식은 항상 렌더링 되는것이 아닌 v-if v-else가 걸려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람다식과 스트림에 대해서는 강의가 없을까요!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순수 jdbc h2Database와 연동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Wrong user name or password에러가 뜨는데 어떻게 해야되나요?org.h2.jdbc.JdbcSQLInvalidAuthorizationSpecException: Wrong user name or password [28000-224]이 오류가 떠요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런타임 예외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체크예외보다는 런타임 예외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해봤는데, 잘 이해하고 있는 게 맞을까요?체크예외든, 언체크예외든 대부분의 예외는 컨트롤러나 서비스 계층에서 복구가 불가능한 예외이다.하지만 이 중에서 언체크예외를 사용한다면, 컨트롤러와 서비스 계층에서 디테일한 예외까지 의존하고 알 필요가 없어진다. 이러한 한 가지의 이유로 언체크예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
-
해결됨세계 대회 진출자가 알려주는 코딩테스트 A to Z (with Python)
좋은 풀이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문제를 푸는 도중에 갑자기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4779 재귀문제를 푸는데, 예제 출력을 분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제만 가지고 직관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 했습니다.먼저 선을 만들고, 선을 3으로 나누면서 몫이 0이 되면 선을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 나누는 방법을 생각했습니다.def cantor(n): line = '-' * (3 ** n) def divide(part): if len(part) == 1: return part N = len(part) // 3 return divide(part[:N]) + ' ' * N + divide(part[-N:]) return divide(line) n = int(input()) result = cantor(n) print(result)강의에서는 예제 출력을 보고 케이스마다 공백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공백에 3^(k-1)을 넣어줘서 푸셨는데, func() + 공백 + func() 형식으로 recursive case를 푸는 방법은 전혀 생각이 안났습니다.경험이 많이 없어서 강의대로 푸는 방법이나 스킬을 익혀야 하는지, 아니면 직관적으로 푸는게 좋은지 궁금합니다.직관적으로 푸는게 나쁜건 아닌데 강의대로 푸는게 더 구현이 편한 것 같기도 해서 질문드려요.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N 질문 있습니다.
4분 30초쯤에 log64부분이 이해가 안되는 사람은 시간 복잡도 관련되어서 보고 오라고 하셨는데 시간복잡도에서 재귀함수 관련돼서는 몇번 중복되느냐에 따라 ()^n의 복잡도를 가진다는 이야기만 있는데 혹시 다른 부분에 언급 되어 있을까요? 제가 못찾는 걸까요ㅠㅠ 어디 부분을 봐야되는 것일까요?왜 log2 64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ㅠ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로그 관련 질문
예외와 관련된 로그를 찍는데 로그 레벨을 log.error가 아닌 info로 두는 이유가 있나요?System.out.print()보다 log를 남기는 방법이 더 선호되는 이유가 있나요?에러라는 표현과 예외라는 표현은 같다고 봐도 무방할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AB 테스트 실무자 완벽 가이드
여기서 유의수준은 p-value와 동일한가요?
5% 라 나와서 p-value라고 생각했는데 계속 듣고 있으면 그것도 아닌 것 같고, 유의수준은 어떻게 결정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Arm 아키텍처의 구조와 원리 - 1부 저자 직강 (2024년 버전)
강의 내용 짤린건가요?
안녕하세요. 5.1.2강의를 보는데 20분정도 마지막쯤에 PL에 대해서 설명하는 부분이 1초정도 나왔다가 짤린듯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H2Database 로컬 호스트에서 거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렇게 해서 접속을 했는데거부합니다.홈화면에 test.mv.db까지 완성한 단계입니다.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궁금한게 있어요!
안녕하세요 해당 강의 보면서 Sprite와 Unity에서의 Atlas 관련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BitBlt을 사용해서 Sprite 하나씩 그려주고 있어서 나중에 CPU, GPU에게 부담이 갈 수 있는 상황이라 가정하면 Unity에서의 Atlas처럼 한번에 묶어서 처리하도록 만들게 될텐데 여기서 궁금한게 Atlas라는게 여러개의 Sprite들을 다시 하나의 Texture로 만드는 과정일까요?그리고 이렇게 Atlas같은 기능을 활용하면 CPU, GPU에게 덜 부담을 주게 되는건 알겠는데 메모리 상으로는 여러 Sprite로 묶은 Texture를 만들어야하니까 메모리적으로는 불이익을 볼 수 있는걸까요?
-
해결됨장래쌤과 함께하는 쉽고 재미있는 SQL 이야기
누적 백분위 구하기 질문
선생님 안녕하세요 쿼리로 누적 백분위 구하려고하는데 질문드립니다 A 10B 20C 30D 40E 50Sum: 150이렇게 있을때 상위 10%, 20%, 30% .. 등등에 속하는 개수는 몇개인지 구하려하는데요 예를 들어 150의 10%인 15를 만족하는 갯수는 전체 중 1개( A = 10) 20%인 30 을 만족하는 갯수는 전체 중 2개 (A와 B) 전체 중 100%는 5개 (A, B, C, D, E) 이런식으로 누적 백분위를 구하고싶은데 이렇게도 가능할까요? 그럼 A+B 값이 10% 에 드는지 20%에 드는지 A+B+C 값은 몇프로에 드는지 각각 case when을 써서 비교해보려고했는데 누적 합산을 A+B, A+B+C 이렇게 끊어서 비교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Retention 쿼리를 작성하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Weekly Retention은 diff_of_week 을 활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리텐션 변화를 구합니다. 따라서, 제가 생각했을 때, Weekly Retention을 구하는 쿼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고 진행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주차별로(시간에 따라) 활동 중인 사용자 수는 달라질 것이다.user_type에 따라 활동 중인 사용자 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2.의 경우는 만약의 신규/복귀... 유저를 구분한다면, 해당 가설을 기반으로, Weekly Retention을 구하는 행위를 한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추가 궁금증)Retention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분석하는 경우도 있을까요? (실무에서) 저는 Retention을 분석하기 전에, Retention과 관련이 높은 것이 무엇일지, 가설을 세우고 검정을 해보았습니다. 가설: 방문일수는 Retention에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데이터 범위: 2022-08-01 ~ 2022-11-01D7_retention : (bool) 사용자의 첫번째 이벤트 시점 ~ 7일 이후에도 활동을 하면, 1 아니면 0D30_retention : (bool) 사용자의 첫번째 이벤트 시점 ~ 30일 이후에도 활동을 하면, 1아니면 0import os from google.cloud import bigquery from google.oauth2 import service_account import pandas as pd import statsmodels.api as sm from scipy.stats import pointbiserialr import numpy as npos.environ['GOOGLE_APPLICATION_CREDENTIALS'] = './service_account.json' key_path = './service_account.json' credentials = service_account.Credentials.from_service_account_file( key_path, scopes = ["https://www.googleapis.com/auth/cloud-platform"], ) client = bigquery.Client(credentials=credentials, project=credentials.project_id, location="US")query = """ WITH user_visits AS ( SELECT user_pseudo_id, COUNT(DISTINCT event_date) AS visit_days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BETWEEN '2022-08-01' AND '2022-11-01' GROUP BY user_pseudo_id ), retention_data AS ( SELECT user_pseudo_id, MIN(event_date) AS first_event_date, MAX(event_date) AS last_event_date, CASE WHEN MAX(event_date) >= DATE_ADD(MIN(event_date), INTERVAL 7 DAY) THEN 1 ELSE 0 END AS D7_retention, CASE WHEN MAX(event_date) >= DATE_ADD(MIN(event_date), INTERVAL 30 DAY) THEN 1 ELSE 0 END AS D30_retention FROM advanced.app_logs WHERE event_date BETWEEN '2022-08-01' AND '2022-11-01' GROUP BY user_pseudo_id ), combined_data AS ( SELECT v.user_pseudo_id, v.visit_days, r.D7_retention, r.D30_retention FROM user_visits v JOIN retention_data r ON v.user_pseudo_id = r.user_pseudo_id ) SELECT * FROM combined_data; """df = client.query(query).to_dataframe() df['visit_days'] = pd.to_numeric(df['visit_days'], errors='coerce').astype(np.float64) df['D7_retention'] = pd.to_numeric(df['D7_retention'], errors='coerce').astype(np.float64) df['D30_retention'] = pd.to_numeric(df['D30_retention'], errors='coerce').astype(np.float64) # 결측치가 있는지 확인하고 제거 df = df.dropna(subset=['visit_days', 'D7_retention', 'D30_retention']) # 상수항 추가 X = sm.add_constant(df[['visit_days']]) # D7_retention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 모델 적합 y_D7 = df['D7_retention'] logit_model_D7 = sm.Logit(y_D7, X).fit() print(logit_model_D7.summary()) # D30_retention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 모델 적합 y_D30 = df['D30_retention'] logit_model_D30 = sm.Logit(y_D30, X).fit() print(logit_model_D30.summary())visit_days_range = np.linspace(df['visit_days'].min(), df['visit_days'].max(), 100) prob_D7 = logit_model_D7.predict(sm.add_constant(visit_days_range)) prob_D30 = logit_model_D30.predict(sm.add_constant(visit_days_range)) plt.plot(visit_days_range, prob_D7, label='D7 Retention Probability') plt.plot(visit_days_range, prob_D30, label='D30 Retention Probability', linestyle='--') plt.xlabel('Visit Days') plt.ylabel('Retention Probability') plt.title('Retention Probability vs Visit Days') plt.legend() plt.show()따라서, 방문일수는 Retention과 상관성을 보인다. 가설2. 방문일 수는 user_type에 따라 각기 다른 상관성을 보일 것이다.결론: user_type은 new_user, current_user는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높은 상관성을 가지나, 휴면 유저, 복귀 유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으며, 낮은 상관성을 띈다. 이렇게 결론을 내놓는 방식이, 적합한 방식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강사님 REST API와 GraphQL에 관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graphql의 장점이 딱 원하는 데이터만 가져온다는 것은 이해가 되는데, REST API도 딱 원하는 DB 컬럼만 요청해서 가져오거나 할 수도 있지 않나요? 이게 어떠한 차이가 있나 궁금합니다. ㅎㅎ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hwp.TableCellBlcok() 코드 미작동
안녕하세요 일코님더위에 건강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일코님께서 제공해주신 코드인데,, 어제까지는 잘 작동하는데 오늘 다시 실행해보니 >>> hwp = Hwp().hwp >>> hwp.MoveToField("3") True >>> hwp.TableCellBlock()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din>", line 1, in <module> File "C:\Users\samsung-user\anaconda3\Lib\site-packages\win32com\client\__init__.py", line 580, in __getattr__ raise AttributeError( AttributeError: '<win32com.gen_py.HwpObject 1.0 Type Library.IHwpObject instance at 0x1750723382032>' object has no attribute 'TableCellBlock' hwp.TableCellBlock() 코드가 작동하지를 않네요 ㅠㅠ왜이런 걸까요? hwp.TableCellBlock() hwp.TableCellBlockExtend() hwp.TableColEnd() hwp.MoveToField("3") 까지는 올바르게 작동을 하는데,, 위의 테이블 관련 코드가 다 작동하지 않네요.감사합니다 ^^
-
해결됨[풀스택 완성] Supabase로 웹사이트 3개 클론하기 (Next.js 14)
isPending vs isLoading
안녕하세요 로펀님tanstackquery에서 최근에 isPending이 생겨서 어느 블로그에선가 봤는데 이제 isPending을 사용하면 된다고 했던 것 같은데혹시 둘의 차이가 있을까요?어느 시점에서는 이것을 사용해야 한다라는 가이드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