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Layout이 Dynamic이면 하위 페이지도 다 Dynamic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로 Next.js를 배울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Full Route Cache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레이아웃 파일에서 cookies()나 headers() 같은 동적 함수를 사용하는 경우, 그 아래에 있는 페이지들도 영향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서 블로그 레이아웃에서 사용자 테마를 쿠키로 가져오고 있고, 블로그 포스트 페이지 자체는 force-cache로 정적 데이터만 사용한다면, 이 경우 페이지가 Static으로 빌드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상위 레이아웃이 Dynamic이면 하위 페이지도 함께 Dynamic으로 처리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멀티 모듈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은행 서버 핵심 기능 [ Kotlin & Spring ]
Advice 패턴을 다시 분리할 수 있나요
ao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advice 패턴을 사용하셨는데, 매번 코드에 advice가 들어가는게 좀 번거로울 수도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aop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사용한거지만,, 혹시 Advice를 aop처럼 분리시켜서 적용시키는 방법이 따로 또 있을까요
-
미해결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Rust는 어떻게 컴파일 타임에 dangling reference를 막나요?
안녕하세요!강의를 통해 dangling reference를 Rust가 컴파일 타임에 막는다는것에 대해 잘 학습할 수 있었습니다.그 원리가 조금 더 궁금합니다.Rust는 참조의 생명주기를 어떤 기준으로 분석해서“이 참조는 원본보다 오래 살 수 없다”고 판단하나요?단순히 스코프만 보는 건지, 아니면 변수의 사용 시점까지 추적하는 건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확률과 통계 101
표본의 분위수 구하는 방법
표본의 분위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 조금 헷갈렸습니다.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α 분위수는 α * 100% 위치의 값이다'라고 하셨는데,'위치'가 단순히 데이터의 개수로 따져서n * α 를 가리키는 건지,아니면 데이터 범위 안에서{x_(n) - x_(1)} * α + x_(1) 에 가까운 값의 sub index를 찾고자 하는 건지 혼동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58. 인덱스와 정렬]을 듣다가 질문입니다.
database mysql을 사용하다가 질문드립니다create index idx_items_stock_quantity on items(stock_quantity);이렇게 인덱스를 생성하고 order by를 다음과 같이 stock_quantity를 기준으로 한다면,explain select * from items order by stock_quantity;이렇게 실행계획을 보면 이 쿼리의 type이 적어도 ALL로 나오진 않을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냥 인덱스를 stock_quantity를 기준으로 생성하면 알아서 정렬이 되어 있을 거니까요. 그런데, 실제로 확인해보니까 type이 ALL로 나옵니다. 왜 그런걸까요?(by Claude Sonnet 4.5) select *의 경우 1. stock_quantity 인덱스를 활용한 랜덤 I/O를 하는 경우2. 테이블을 순차적으로 쭉 읽는 순차 I/O를 하는 경우이 두 경우 중 옵티마이저가 2번째 방법을 활용해서 그렇다고 합니다. 그냥 이렇게 알고 있으면 될까요?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실무에서 배치 메타데이터 관리
$ kill-9.. 킬구형 추석 연휴는 잘 보냈는가.. 처음에 텍스트로만 구성된 강의인 걸 결제한 후 알게되어 당황했지만.. 걱정 마라.. 금방 킬며들었다.. 눈으로 읽고 생각하는 즐거움을 알게되었다.. 무엇보다 그동안 피로했을 내 귀를 지켜줘서 고맙다.. 아직 강의 초반이지만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 올린다.. 대용량 트래픽을 다루는 회사에서는 배치 메타데이터의 양도 어마어마할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배치 메타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 지가 궁금하다.. 혹시 배치 메타데이터를 활용할 일이 없을 것 같으면 안쌓는 것도 권장하는 방법인가..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젠킨스 배포 질문
안녕하세요 젠킨스 설정을 따라해 보면서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git actions를 사용해서 cicd 환경을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데요, 이때는 레포지토리에 커밋내용이 푸시되면 이를 감지해서 자동으로 빌드가 되게끔 워크플로우를 작성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젠킨스에도 이러한 기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비전공자인데 AI가 발전한 요즘 백엔드로 진로를 하고 싶으면 어떤식으로 공부를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비전공자이고 백엔드로 하고 싶은데,AI가 발전한 현재 시점에서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할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
미해결ASP.NET Core MVC +ASP.NET Core +REST API +.NET 8.0
이후 예정된 강의 문의를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국내 닷넷계열의 강의 중에선 여러 분야를 다뤄주시고 계셔서 닷넷쪽 지식에서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maui 관련 강의도 올려쥬신 만큼 이후에 혹시 블레이저 쪽 강의를 만들어주실 계획이 있으실까요?
-
미해결
경력기술서 및 포트폴리오
안녕하세요 할리님!강의 너무 잘 들었습니다. 경력기술서 내용과 포트폴리오 내용이 겹치는 것 같아 고민입니다.포트폴리오에는 경력기술서에서 짧게 요약한 내용을 좀 더 길게 푼다는 식으로 접근해서작성해도 괜찮을까요? 포트폴리오 제작 시 너무 내용이 길어지는 것 같아 줄이다보면 경력기술서와 흡사해지는 것 같아 고민이 됩니다..!
-
해결됨프론트엔드 마스터클래스
배포 관련 내용 추가될 예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혹시 CDN 등 배포 관련 섹션이나 내용이 추가될 예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컬럼 분리관련
강의중 로직이 복잡해지면, 테이블에서 관련 컬럼들을 다시 분리해야 하는날이 올 수 있다고하셨는데컬럼을 다시 분리해야 할 때, 실무에서는 어떤 절차로 나누는지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에는 어떤 게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외래키를 실무에서 거는게 좋을까요?
외래키 제약조건을 통해 보다 정확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하지만 실무에서는 외래키로 인해서 데드락이 발생하는 케이스가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외래키로 인해 운영 상에서 제약조건을 잠시 해제해야된다던가 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 같은데, 실무에서도 외래키를 주로 걸고 운영할까요??
-
미해결강의 하나로 끝내는 백엔드 모든 지식!
백엔드 신입으로써 알아야할 보안에 대한 기본 수준이 궁금합니다
검색을 해보니 강의 내용 중 나오는sql인젝션xss, HttpOnlycsrf, SameSitehttps이 부분들은 보통 기본적으로 많이 선택해서 꼭 알아야 하고 연습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그 외에도 알려주신 것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할까요? 아니면 이런 방법들이 있구나 하고 굳이 직접 사용해볼 필요는 없는 걸까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트랜잭션 격리성 설계도 어필포인트로 가져갈 수 있을까요?
기존에는 @Transactional만으로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들으며 동시에 재고를 조회·갱신하는 상황에서 격리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뒤늦게 인식했습니다. 이런 흐름을 이력서에서 “단순 구현 → 시스템 안정성 중심의 설계로 성장한 과정”으로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너무 이론적으로 보일까요?(항상 서비스 내 로직만 고려해서 롤백 여부로 트랜잭션을 생각했는데, 큰일이네요ㅜㅜ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할때 인덱스 질문이 있습니다.
두개 이상의 테이블을 조인 할 때 서로 다른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로 ORDER BY 정렬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것 같은데 이런 경우에는 인덱스를 어떻게 생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낙관적락vs. 레디스락
충돌 빈도가 낮지만 피크 타임에 스파이크가 있는 서비스라면, “낙관적 락+재시도”와 “레디스 락” 중 어떤 구성이 유지보수/비용/성능 면에서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파일을 만드는 단위가 궁금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보니 db 파일들은 히스토리가 어떻게 관리되고 어떤 단위로 파일을 나누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 SQLP 자격증의 유효성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 지식공유자님.현재 자바개발 2년차 개발자입니다.자바와 DB공부를 병행하고 있습니다.자바와 스프링 공부 vs SQLP 공부로 고민을 한다면,자바와 스프링 공부보다 SQLP를 따기위한 노력에 가중치 높이는게 좋은 선택일까요?
-
해결됨면접 전에 알고 가면 좋을 것들 - 신입 Java 백엔드 개발자편
JVM/GC 최적화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GC와 JVM 메모리 관리에 대해 설명해주신 부분을 듣다가, 제가 겪었던 Thread Starvation 문제가 떠올라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 제가 겪었던 상황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 1차 문제 발생[프로젝트 환경]- Spring Boot 3.x, Java 21- AWS EC2 t3.small (2 vCPU, 2GB RAM)- Docker 컨테이너 배포- 개발 서버 (비용 최적화 목적) [문제 발생 과정]초기에는 Docker 메모리 제한 없이 JVM만 -XX:MaxRAMPercentage=75.0로 설정했습니다. 카카오 소셜 로그인 기능을 추가한 후 배포 시 Thread Starvation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초기 설정 (문제 발생)- Docker: 메모리 제한 없음- JVM: -XX:MaxRAMPercentage=75.0 (호스트 2GB의 75% = 1.5GB) [결과]- JVM이 힙 1.5GB + 스택/Metaspace 400MB = 총 1.9GB 사용- OS/Docker 600MB 사용- 총 2.5GB 필요 → t3.small 2GB 초과- Thread Starvation 발생 [1차 해결]Docker 메모리 제한을 추가하고 JVM heap을 축소했습니다.# DockerfileENTRYPOINT ["java", "-XX:+UseZGC", "-Xms512m", "-Xmx1g", "-jar", "app.jar"]# 배포 스크립트docker run -d --memory="1.5g" --memory-swap="1.5g" --cpus="1.8" ... ✔ 2차 문제 발생이후 구글/네이버 소셜 로그인, CRUD API들이 추가되면서 다시 Thread Starvation이 발생했습니다.AWS EC2 서버를 재부팅하고 SSH로 서버에 접속해서 원인을 파악해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은 당시 작성했던 깃허브 이슈 내용입니다.✏ 문제 상황 정리1. 컨테이너 상태 확인- docker ps -a | grep nugudi-dev (컨테이너는 실행중이지만 unhealthy 상태)- docker top nugudi-dev (컨테이너 내부 프로세스 확인: 아무런 프로세스도 출력되지 않았습니다 → Java 프로세스가 죽은 상태) 2. 헬스체크 실패 원인 확인- Connection reset by peer 에러 →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응답할 수 없는 상태 3. 컨테이너 로그 확인- HikariCP에서 반복적으로 Thread Starvation 경고 → GC가 CPU를 독점하여 애플리케이션 스레드들이 실행될 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는 상태 4. OOM Killer 확인- docker inspect 명령으로 OOMKilled 여부 확인 → false → Linux의 OOM Killer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한 것이 아니라, Java 프로세스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GC Thrashing 상태에서 스스로 응답 불가 상태 5. 메모리 사용량 측정- EC2 인스턴스의 실제 메모리 사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중지한 상태에서 free -m 명령 실행- OS + Docker 데몬: 256MB 사용- t3.small 인스턴스의 총 메모리: 1901MB- → 컨테이너에 안전하게 할당 가능한 메모리: 1901MB - 256MB = 1645MB (약 1.6GB) 6. Docker 메모리 사용량 확인 (docker stats nugudi-dev --no-stream)- 재부팅 후 안정화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메모리 사용량 확인: 866MB / 1.5GB (56%) 사용- 안정화된 상태의 메모리 사용량.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시작 단계에서의 피크 메모리 사용량은 아닙니다.) 7. CPU 크레딧 확인- 78-90 크레딧 유지하고 있음. 따라서 CPU 크레딧 고갈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문제의 원인은 메모리 부족으로 인한 GC Thrashing으로 예상됩니다. 🧐 원인 파악[메모리 부족 원인]애플리케이션 시작 단계에서는 모든 클래스를 한 번에 로딩하고, 모든 Spring Bean을 생성하며, DB 커넥션 풀을 초기화하는 등 메모리 사용량이 피크에 달합니다. 이 시점에서 필요한 메모리가 Docker limit인 1.5GB를 초과하면서 메모리 부족 상태가 발생했습니다.메모리를 확보할 수 없게 된 GC는 계속해서 메모리 확보를 시도하며 CPU의 90% 이상을 소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스레드들이 실행될 기회를 얻지 못하는 Thread Starvation 상태에 빠지게 된 것으로 예상됩니다.[ZGC의 문제점]현재 사용 중인 ZGC는 초저지연을 목표로 설계된 GC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위해 복잡한 메모리 구조를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heap 크기의 10-20%를 Native Memory로 추가 소비합니다. 현재 너구디의 설정인 1GB heap 기준으로 약 200MB의 Native Memory를 사용하는 것입니다.반면 G1GC는 heap의 약 5%만을 Native Memory로 사용하므로 약 50MB 정도만 필요합니다.따라서 ZGC를 G1GC로 변경하면 약 150MB의 Native Memory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ZGC는 수백 GB 이상의 대용량 heap과 초저지연이 중요한 프로덕션 환경에 적합하지만, 1GB 정도의 작은 heap을 사용하는 너구디 개발 서버에서는 오히려 메모리 오버헤드가 부담이 됩니다. G1GC는 10-50ms의 pause time을 가지지만, 개발 서버에서는 이 정도의 지연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메모리 효율성이 훨씬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애플리케이션 시작 vs 안정화 메모리 차이]docker stats로 확인한 866MB(56%)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작을 완료하고 안정화된 상태의 메모리 사용량입니다. 하지만 애플리케이션 시작 단계에서는 훨씬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합니다.시작 단계(0-2분)에서는 JVM이 모든 클래스를 메모리에 로딩하고(+200MB), Metaspace를 초기화하며(+150MB), Spring Boot가 모든 Bean을 생성하고(+300MB), DB 커넥션 풀을 초기화하며(+100MB), 캐시를 초기화(+100MB)합니다.이 시점의 피크 메모리 사용량은 1400-1500MB 입니다. 시작이 완료된 후(3분 이후)에는 GC가 불필요한 임시 객체들을 정리하면서 메모리 사용량이 800-900MB로 감소하여 안정화됩니다. 🤔 질문1. GC 알고리즘 선택에 대해1GB 수준의 heap에서 ZGC보다 G1GC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변경했습니다. 이러한 판단이 적절한지 여쭤보고싶습니다. ZGC는 어느 정도 규모의 heap부터 효과적인지 궁금합니다. 2. -Xms = -Xmx 설정에 대해gemini 코드 리뷰에서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초기 힙과 최대 힙을 동일하게 설정하여 힙 확장 오버헤드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받았습니다.메모리가 빡빡한 상황(여유 100MB)에서 처음부터 1.2GB를 할당하는 것이 안전한 선택이 맞을까요..! 오히려 512MB로 시작해서 필요할 때 늘리는 게 더 안전한것일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3. Docker 메모리 제한과 JVM heap 비율에 대해현재 Docker 1.6GB 중 JVM heap 1.2GB (75%)로 설정했는데, 이 비율이 적절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비율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4. Native Memory 측정에 대해현재는 관련해서 정리해둔 기술 블로그 등을 통해 (G1GC는 heap의 5%, Metaspace 100MB 등)로 추정했는데, 실제로 정확히 측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XX:NativeMemoryTracking=detail 같은 옵션을 운영 환경에서 사용해도 성능에 영향이 없을까요?! 5. 현업에서의 리소스 관리이런 제한된 리소스 환경을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메모리 설정의 기준은 어떻게 정하시는지 궁금합니다! 6. 모니터링 지표Thread Starvation을 사전에 감지하려면 어떤 지표를 모니터링해야 할까요?? 강의 내용과 연결하여 최근에 개발하면서 궁금했던 부분들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초기 스타트업에서 백엔드 개발을 하고 있는데 개발하면서 이슈가 생기면, 강의들을 보기도 하고 구글링을 열심히 하기도 하고 AI와 정말 긴 대화를 나누기도 하면서 원인을 찾고 저희 상황에 제일 적합한 해결책을 찾고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문제 상황을 맞게 파악한건지, 가장 최선의 해결책을 찾은게 맞는지 늘 더 생각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스스로의 판단에 확신을 갖기 위해서 더욱 더 많이 공부하고 기반을 탄탄하게 해야함을 느낍니다.Thread Starvation 문제를 겪고 제가 파악하고 해결한 방법이 적합한지, 리소스 관리와 관련해서 현업에서는 어떻게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지 여쭤볼 수 있는 분이 주변에 없어서 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