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bang2451님의 프로필 이미지
bang2451

작성한 질문수

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4-4. 격리성 레벨 학습 및 실습

트랜잭션 격리성 설계도 어필포인트로 가져갈 수 있을까요?

작성

·

14

0

기존에는 @Transactional만으로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들으며 동시에 재고를 조회·갱신하는 상황에서 격리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뒤늦게 인식했습니다.

 

이런 흐름을 이력서에서 “단순 구현 → 시스템 안정성 중심의 설계로 성장한 과정”으로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너무 이론적으로 보일까요?

(항상 서비스 내 로직만 고려해서 롤백 여부로 트랜잭션을 생각했는데, 큰일이네요ㅜㅜ )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ang2451님.

백엔드 개발 과정에서 트랜잭션의 격리성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해 나가는 과정은 매우 중요한 기술적 성장이며, 이력서에서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아랫부분에서 이 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하기:

  1. 문제 인식 및 해결 과정:

    • 최초에는 @Transactional을 사용하며 데이터 일관성을 보장한다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격리 수준이 시스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깨닫고 개선한 과정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습니다.
    • 문제를 인식하고, 어떻게 이를 해결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단순한 이론적 지식 습득을 넘어 문제 해결 능력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2. 성장 과정의 강조:

    • 견고한 트랜잭션 설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과정을 기술적 성장의 한 부분으로 강조하세요.
    • 단순 구현에서 시스템 안정성을 고려한 설계로 나아간 점을 드러내는 것은 백엔드 개발자로서의 깊이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3. 프로젝트 적용 사례:

    • 특정 프로젝트에서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이해하고 적용한 실제 사례가 있다면 추가적으로 설명하시면 좋습니다.
    • 예를 들어, 재고 관리 시스템에서 격리성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를 설명하면 더욱 설득력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 과정은 단순히 이론적이기보다는 실무에서의 실질적인 적용 경험이기 때문에, 이력서에서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하는 데 적합합니다.

관련하여 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질문과 답변 링크들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bang2451님의 프로필 이미지
bang2451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