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7장 AXI4 lite channel waveform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eg) 몇 장, 몇 분 몇 초 쯤. or 수강생 분들이 봤을 때 어디구나?! 할 수 있게 표기 부탁 드려요.7장 11분 ~ write 관련 waveform 설명 부분입니다 [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7장 강의 write 부분에서 강의에서 올려주신 부분과 제가 강의를 따라가며 수행한 부분의 파형이 다른데 해당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 1) 강의에서는 AWVALID 신호가 먼저 1이 되면, 이후 AWREADY가 1이 되어 handshake가 일어나고, 2) 동시에 WVALID와 WREADY의 handshake도 발생하여 3) 그 때의 AWADDR이 가리키는 주소 번지에 WDATA값이 적히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해당 부분이 제 실습 파형에서는 위 사진과 같이 1,2,3번의 과정에서의 파형이 강의와 모두 맞지 않으며, 제 실습 파형만 가지고 보더라도 4,8,C번지 모두 0이 적혀야 맞을 것 같은데, 뒤에 정상적으로 진행되는 read 부분을 살펴보면, 해당 번지에 강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1,2,3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질문 내용을 요약하자면, 1) 이론적인 부분에서 제가 이해한 내용이 맞는지, 2) 맞다면 제 실습 시뮬레이션의 경우 어떻게 저런 결과가 나오는 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섹션1의 첫번째강의에서 WebStorm으로 프로젝트 진행할때의 질문
WebStorm으로 작업하신다고 하시고 프로젝트 처음에 불러오는 과정이 안나와서 짐작으로 frontend/ch02_start폴더를 만들고 cmd콘솔에서 npm install react-router-dom진행했거든요. 근데 강사님이 실습하는 폴더구조가 다르거든요? 이 과정이 생략되어있어서.. src폴더, public폴더가 자동으로 안생기는데 임의로 src폴더 만들고 그냥 하는건가요? 중간 과정 생략된걸 짐작으로 따라하려다보니 확신이 안들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 생성 시점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커넥션이 처음 생성되는 시점이 언제인지 질문드립니다..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을 호출하는 시점에 커넥션이 처음 생성되는것인지, 아니면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을 호출하는 시점에 커넥션이 처음 생성되는것인지 질문드립니다..현재 강의에서는 DataSourceUtils.getConnection()의 경우에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 새로운 커넥션을 생성해서 반환한다고 되어있는데, 다음강의 에서는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을 호출해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는데 이떄 커넥션을 생성한다고 되어있습니다..그래서 두가지 경우중 언제 커넥션이 생성되는것인지 혼란이와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위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1.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을 통해 트랜잭션 매니저가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넥션을 생성해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한다. bizLogic()안에 있는 fingById()나 update()를 통해 getConnection() 즉, DataSourceUtil.getConnection(dataSource)를 하게되면, 이때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있는 경우이므로, 해당 커넥션을 반환한다. 즉, findById()를 할떄의 커넥션과 update()를 할떄의 커넥션이 동일하다.2.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을 하지않으면, 이때는 트랜잭션을 시작하지않은것이므로,bizLogic()안에 있는 fingById()나 update()를 통해 getConnection() 즉, DataSourceUtil.getConnection(dataSource)를 하게되면, 이때는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도 없고,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이므로, 새로운 커넥션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즉, findById()를 할떄의 커넥션과 update()를 할떄의 커넥션이 각각 다르다.
-
해결됨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가상 머신 질문
가상머신을 설명해주실때 OS위에 프로그램이 있다고하셨는데, OS위에 프로세스가 있는거 아닌가요?즉 아래와 같은 구조가 맞지 않나요?프로세스OS하드웨어 그리고 프로그램끼리도 간섭이 일어날 수 있나요? 예시를 들어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MySQL on Docker
프로덕션 환경에서 데이터 베이스 구성에 대하여.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한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local /dev / qa / staging 환경에서 아닌프로덕션 환경에서 mysql( 기타 kafka, redis ..) 을도커 컨테이너로 실행하여 서비스를 하는 추세 일까요? 어플리케이션 서버나 게임서버 등은이미지화 해서 도커 컨테이너로 실행 하는 걸로 들은것 같은데,데이터베이스나 메세지큐 같은 것들도 도커 컨테이너로 실행하여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회사마다 다르겠지만클라우드(gcp, aws, azure) 회사가 제공하는 PaaS ?? 를 이용하는 곳도 있을 것 같고,ec2 나 azure vm 에 직접 MYSQL 을 설치(docker 가 아닌)하여 서비스 하는 곳도 있을 것 같은데,강사님께서 근무하시는 게임회사나 기타 다른 회사들은 프로덕션 환경에서도 mysql 을 도커 컨테이너로 실행하여 서비스를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대외비가 아닌 부분에서 답변해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처음하는 플러터(Flutter) 기초부터 실전까지 [풀스택 Part4] (쉽고 견고하게 단계별로 다양한 프로젝트까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테마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재미있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과는 별개의 질문입니다. ^-^; 다름이 아니라 강의 동영상처럼 테마를 바꾸려면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요?Material Theme UI 등 여러 가지를 받아서 적용해 봐도 딱 맘에 드는 것이 없습니다.강의 동영상의 테마가 바탕화면도 진하고 괄호도 알록달록하게 나와서 좋아 보입니다.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인터페이스 명칭 정의는 어떤 방법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인터페이스 명칭만드는데 뒤에 able을 붙이는 경우랑 단순히 명사로 명칭을 짓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각각 이유가 있으신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강사님 v3 만들때
MyView에 뷰를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Map으로 username과 age 에 관련한 파라미터값이 전달이 되고 Myview (두번째코드에서) 그 내용이 전달이 되는 거 맞나요 ? (강의를 3번 돌려봤는데 좀 애매해서 질문드립니다.) (블로그 글도 찾아봤는데 데이터를 뷰로 전달하는 코드인 것 같은데 정확히 이해가 안돼서 질문 드립니다.)package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ModelView;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MyView;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controller.MemberFormControllerV3;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controller.MemberListControllerV3; import hello.servlet.domain.web.servlet.frontcontroller.v3.controller.MemberSaveControllerV3; import jakarta.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karta.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Map; // /front-controller/v3/* URL 패턴을 처리하는 서블릿 @WebServlet(name = "frontControllerServletV3", urlPatterns = "/front-controller/v3/*") public class FrontControllerServlet3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Map<String, ControllerV3> controllerMap = new HashMap<>(); public FrontControllerServlet3() { controllerMap.put("/front-controller/v3/members/new-form", new MemberFormControllerV3()); controllerMap.put("/front-controller/v3/members/save", new MemberSaveControllerV3()); controllerMap.put("/front-controller/v3/members", new MemberListControllerV3()); } @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System.out.println("FrontControllerServlet3.service"); String requestUri = request.getRequestURI(); ControllerV3 controller = controllerMap.get(requestUri); if (controller == null) {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NOT_FOUND); return; } Map<String, String> paramMap = createParamMap(request); ModelView mv = controller.process(paramMap); String viewName = mv.getViewname(); MyView view = viewResolver(viewName); view.render(mv.getModel(), request, response); } private Map<String, String> createParamMap(HttpServletRequest request) { Map<String, String> paramMap = new HashMap<>(); request.getParameterNames().asIterator().forEachRemaining(paramName -> paramMap.put(paramName, request.getParameter(paramName))); return paramMap; } private MyView viewResolver(String viewName) { return new MyView("/WEB-INF/views/" + viewName + ".jsp"); } } public void modelToRequestAttribute(Map<String,Object> model,HttpServletRequest request) { //.jsp는 setAttribute를 씀 model.forEach((key,value)->request.setAttribute(key,value)); //request에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model에 있는 정보를 requestAttribute로 바꾼다. //request에 값을 다 담아둔다. } }
-
해결됨빠르게 git - 핵심만 골라 배우는 Git/Github
Git bash 우클릭 보이지 않음
로컬저장소를 만들고 그 안에 Git bash우클릭을 시도해도 보이지 않습니다. 맥 Terminal을 따로 열어 깃이 설치되었는지 보면 설치가 분명 되었다고는 나옵니다. 어찌된 영문인지 잘 모르겠어서 실습을 못하고 있는데 도와주세요 ㅠ .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원-핫 인코딩 get_dummies()질문
안녕하세요 ! import pandas as pd df = pd.DataFrame({'item':['TV','냉장고','전자렌지','컴퓨터','선풍기','선풍기','믹서','믹서']}) pd.get_dummies(df) 이렇게 실행하니 0,1값대신 True/False값이 결과로 출력되는데 문제점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ㅜ실행결과 사진입니다.
-
해결됨빠르게 git - 핵심만 골라 배우는 Git/Github
원격 저장소 조회(추가)
아래처럼 나오는 건 어떤 에러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인터페이스 테스트인데 왜 구현체가 나오는건가요?
코드를 보면 초기화를 MemoryItemRepository로 하지 않고 ItemRepository로 초기화를 했는데 인터페이스는 구현체가 아니라서 함수가 정의가 안 되어있는데 어디서 구현체를 들고와서 테스트가 진행되는건가요..?
-
해결됨딥러닝 이론 + PyTorch 실무 완전 정복
Section 3의 [이론] Regression task의 Loss: L1, L2, Huber, Log Cosh Loss "미분가능"관련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Section 3의 [이론] Regression task의 Loss: L1, L2, Huber, Log Cosh Loss 에서 질문이 있습니다."미분 가능"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MAE loss처럼 0에서 미분이 불가능 한 경우에는 gradient를 계산할 수 없는데 어떻게 해당 loss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인가요?또 Huber loss는 한 번만 전 구간 한번만 미분가능하고,Log Cosh loss는 전 구간 2번 이상 미분가능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한 번만 미분 가능한 것보다 2번 이상 미분가능한 것의 장점이 무엇인가요?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일급컬렉션 메서드 반환타입 List로의 반환 vs 일급컬렉션으로 반환
안녕하세요강의보다가 일급컬렉션에 정의한 메서드들의 반환타입이 일급컬렉션 타입으로 반환하기도 하고 LIst<>로도 반환하기도 하셨던거 같았는데요 어느 기준을 가지고 어떤 타입으로 반환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가 붙은 메소드를 정말 동시에 접근하는 경우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리며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멀티 코어라는 가정하에, synchronized가 붙은 메소드를 정말 동시에 호출하는 경우에는 어떤 스레드가 Lock을 가져가는지 궁금합니다. 정말 동시에 호출되면 두 스레드 모두 Lock을 획득할 수 있는지 조회할 때 획득할 수 있다고 조회가 될 것 같아서요.
-
해결됨Flutter로 SNS 앱 만들기
섹션8 접속중인 사용자의 정보표시에서 에러발생했어요.
signOut()에서 에러 발생했어요.한번 봐주세요..로직을 멜로 보냅내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BankAccountV5 lock.unlock() 작성 여부
BankAccountV5에서 lock.tryLoc()을 사용하는 경우, lock을 얻지 못하면 WAITING하지 않고 바로 return false;하므로 finally { lock.unlock(); }라는 코드가 필요 없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이 코드가 꼭 필요한 코드인가요?
-
해결됨빠르게 git - 핵심만 골라 배우는 Git/Github
혹시 아래처럼 계속 파일을 찾을 수 없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자꾸 화면처럼 나오지 않아서 애를 먹고 있는데 제가 뭘 잘못 한 걸까요..?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bram depth 관련
안녕하세요,bram 총 용량이 600KB 이상일 때, 36KB 단위로 나눠져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그러면 (* ram_style = "block" *) reg [16-1:0] ram [0:30000-1];위와 같이 width 16bit, depth 30000으로 하면 약 60KB 로 36KB를 넘어섭니다.그러면 bram을 36KB 단위로 module을 분리해 줘야 하는지, 아니면 합성툴이 자동으로 처리해주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TLS 는 데이터를 힙영역에서 가져갈때 깊은복사가 일어납니까 얕은복사가 일어납니까?
TLS 는 데이터를 힙영역에서 가져갈때 깊은복사가 일어납니까 얕은복사가 일어납니까?점유를 해야하니 느낌상 얕은복사일것같긴한데, lock을 하는거면 깊은복사를 하는것같기도하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여쭙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