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멀티 모듈 구성
안녕하세요 토비님,우선 강의를 통해 제가 알고 있던 헥사고날과 DDD(도메인 주도 설계)에 대해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습니다.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토비님께서 생각하시는 헥사고날에, DDD 과 멀티 모듈의 바람직한 설계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여기서의 멀티 모듈은 우선 MSA 를 제외하고 순수 멀티 모듈을 통해 시스템을 설계를 한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습니다.가장 흔하게 보이는 멀티 모듈 구성의 패턴은 Storage (JPA), External (외부 Dependency), N 개의 서비스에 해당하는 Web Server 모듈 & 기타 등이 있는 것 같은데요. 멀티 모듈을 현 강의에서 보여주고 말씀해주시는 헥사고날과 DDD 와 결합했을 때, 어떻게 구성하면 좋을지 많은 생각이 들고 또한 현업에서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어서 토비님의 생각이 궁금해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개인적인 호기심 질문인데요
도메인에 "속성과 행위가 모두 포함"되어야하는데 그러면 만약에 "행위" 자체가 "외부 의존"을 가져야만 하는 경우에는 이런 것은 어떻게 만드는 것이 좋을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모듈 facets jpa추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7:13경 하신 설정이최신 intellij와 스프링부트에서도 필요한 설정인가요?어떤 기능을 하는 설정인지 궁금합니다.2025년 기준 인텔리제이에서 확인할 수 없어 여쭙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TestConfiguration 관련 설명과 실제 동작이 다른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토비님! 좋은 강의 정말 감사드립니다.@TestConfiguration 에 대한 설명을 해주신 부분 중에서 테스트 결과와 다른 부분이 있는 것 같아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 <28. 회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테스트 (2)> 의 11:38에서 "@TestConfiguration 에 어떤 Bean을 정의하면 이게 우선이 되어 돌아갑니다." 라는 말씀을 해주셨는데요.해당 말씀이 맞는지 테스트해 보기 위해, 현재의 강의 예제 코드에서 @TestConfiguration 이 붙은 클래스의 PasswordEncoder를 정의한 Bean 메서드의 이름을 testPasswordEncoder로 변경하고 테스트를 돌려 보니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EmailSender의 경우 DummyEmailSender에 @FallBack 이 붙어 있어서 @TestConfiguration 의 EmailSender Bean 메서드의 이름을 다르게 구성하더라도 테스트는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TestConfiguration 이 정의되었다고 해서 우선순위로 동작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고,기존 Bean의 적용 우선순위에 따라 @TestConfiguration 에서 정의한 메서드 이름과, 이를 사용하는 곳의 필드 이름이 동일한 경우 해당 Bean을 찾아서 동작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하고 있거나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편히 말씀 부탁드립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pring_cloud_gateway_requests_seconds_count를 Execute시 다른 요청을 하지 않았음에도 오류 요청의 숫자가 계속 증가합니다.
spring_cloud_gateway_requests_seconds_count{httpMethod="GET", httpStatusCode="401", instance="localhost:8000", job="apigateway-service", outcome="CLIENT_ERROR", routeId="user-service", routeUri="lb://USER-SERVICE", status="UNAUTHORIZED"}22spring_cloud_gateway_requests_seconds_count{httpMethod="GET", httpStatusCode="404", instance="localhost:8000", job="apigateway-service", outcome="CLIENT_ERROR", routeId="order-service", routeUri="lb://ORDER-SERVICE", status="NOT_FOUND"}회원가입과 로그인만 하더라도 이러한 것들의 숫자가 올라가 총 요청 수 중 성공한 숫자가 매우 적습니다. chat gpt에서는 자동으로 health-check를 해서 그렇다라고는 하는데 정확히 어떤 것이 문제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istinct 질문입니다.
23:20분에서 distinct를 사용하면 같은 식별자를 가진 엔티티를 제거한다고 하시는데여기서 같은 식별자에서 식별자가 어떤걸 말하는건가요?id(pk)인가요? 그런데 id(pk)가 같을 수는 없을 것 같은데..
-
미해결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선생님 덧글의 답글
혹시나 못보실까 싶어서 글로 남겨요 여기 답변입니다. 환경변수 설정잘되있고 ide 상에서 java -version 쳤을때 잘나옵니다 ㅠㅠstart.spring.io 여기서 만들떄도 21 버전으로 선택했구요혹시나 문제 있나싶어서 ide도 다시 지웠다 깔고, jdk도 다시 지웠다 깔고 , start.spring.io 도 다시 새로 하고 해도 안되네요 ㅠㅠ Execution failed for task ':restapi.prac.Prac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Program Files\Java\jdk-21\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9s3 actionable tasks: 1 executed, 2 up-to-date 이 에러메시지가 도대체 뭔질 모르곘네요,,, gpt한테 물어봐도 알수없는 말만하고... 만들어보고싶은데 시작도 못하고 있으니 너무 답답하네요.... gpt 계속 괴롭혀도 이상한말만해요
-
미해결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재업) 선생님 제발 도와주세요
일단 여기서 이렇게 뜨구요 이거 전에Spring Initializr여기서 설정하고 그거 열어줘서 작업하는건데 저렇게 뜨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혹시나 PracApplication.java 에서 실행하면 Execution failed for task ':restapi.prac.Prac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Program Files\Java\jdk-21\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12s3 actionable tasks: 1 executed, 2 up-to-date 이렇게 또 에러가 뜨구요...추가로 ai답변으로 build.gradle 의 dependencies 확인하래서 이거 확인했는데 이상없는거 같고 정상적으로 C:\Program Files\Java\jdk-21\bin\java.exe 이 경로에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build.gradle을 연 상태로 run을 하면되는데 (localhost:8080 은 안열림)application.properties 에서는 run 버튼 자체가 활성화가 안되있고 PracApplication.java 에서는 run이 활성화는 되있지만 계속 제가 말헀던 에러가 뜹니다제발 ai답변말고 선생님이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앞에 내용 다 따라했는데 실행이안됩니다 자꾸
일단 여기서 이렇게 뜨구요 이거 전에Spring Initializr여기서 설정하고 그거 열어줘서 작업하는건데 저렇게 뜨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혹시나 PracApplication.java 에서 실행하면 Execution failed for task ':restapi.prac.Prac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Program Files\Java\jdk-21\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BUILD FAILED in 12s3 actionable tasks: 1 executed, 2 up-to-date 이렇게 또 에러가 뜨구요...
-
미해결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실행시 에러
실행시 이런 에러가 뜹니다..
-
미해결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최초에 서버 키는게 안됩니다 ㅠㅠ
스프링 오토컨피규어 이거 치는것도 회색글자로 저렇게 나오고 위에 spring boot 구성 파일은 얼티메이트에서 지원됩니다 이런것도 뜨고... 실행버튼도 안됩니다 ㅠㅠ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react 소스 부탁드립니다!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덕분에 처음 서버 개발할 때 큰 도움 되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메일 : kei02012@naver.com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gisterRequest 의 검증 방식으로 @Valid 와 초기화 스크립트의 차이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훌륭한 강의 너무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토비님의 고견 덕에 제 개발 세계관을 정리하는데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의 데이터 검증 파트에서 질문이 있습니다.MemberRegisterRequest 의 검증 방법으로 jakarta.validation 을 사용하도록 설명해주셨는데요.(1) MemberRegisterRequest 의 생성자 또는 팩토리 매서드에서 값을 검증하는 방식과 validation 어노테이션을 이용하는 방식을 어떻게 구분해서 쓰는지? 와 (2) validation 어노테이션이 활용되는 영역의 범위가 궁금합니다.저는 코틀린 스프링부트로 강의를 따라가고 있어서 코틀린 기준으로 예시를 들면, 보통 저렇게 도메인 레이어에서 비즈니스 로직에 직접 사용되는 데이터를 검증하는 경우에는 코틀린의 init 블록 내에 비즈니스 관련 데이터 검증 로직을 넣어서 해당 클래스 객체의 데이터 정합성이 항상 보장되게 해왔는데요. (게다가 도메인 레이어의 클래스다보니 더욱 타 기술 의존 없이 검증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서 init 블록을 애용해왔습니다.)반대로, Valid 는 외부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터들의 아주아주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 검증 용도(Nullable, 숫자, 이메일, 공백 여부 등) 정도로만 사용해왔습니다. 애초에 제공해주는 어노테이션의 기능이 비즈니스 의미를 담기엔 턱없이 부족해서, "데이터가 비즈니스 의미상으로는 틀릴 수 있어도, 타입 자체는 맞아" 정도만 보장해주는 용도라고 느꼈습니다.그래서 강의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파라미터나 도메인 객체의 상태를 검증하는 용도로 사용하시는 모습이 조금 낯설게 느껴졌습니다.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파라미터에 들어있는 데이터는 이미 컨트롤러에서 기본 검증은 끝난 데이터들이라고 생각해서요.게다가 Valid 를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에서도 쓰기 시작하면, 컨트롤러와 서비스에서 중복 검사를 하게 될 것 같습니다.이런 점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고 어떻게 구분하시는지 그 기준이 궁금합니다.Q&A 의 다른 질문들에 대한 토비님의 답변들을 보면서도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고견 감사합니다! 🙂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4일차 과제 'SQLSyntaxError: Table not found Error' 질문
4일차 과제의 문제 1번을 해결하려고 코드를 작성하고 Table도 생성해서 run 해보았는데, 자꾸 Table not found 에러가 뜨면서500 internal error가 발생합니다. 이 에러 때문에 테이블도 3번 다시 생성하고, show tables 했을 때도 table이 모두 잘 출력됩니다. 대소문자 바꿔서도 다 해봤는데 왜 이런 오류가 뜨는지 모르겠습니다..ㅜㅜ 도와주세요ㅠ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관련된 질문
강의에서도 잠깐 언급되지만, 전체적인 강의 내용이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의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과는 지향하는 바는 같지만 그 구현에 있어서 어느정도 거리가 있다고 느껴지는데요..!"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이 책을 읽으면서도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이 좋은 아키텍처라는 생각이 들었었고, 그 지름길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러다보니 강의에서 언급해주시는 일부 내용들은 이 지름길을 사용했다는 것으로도 저한테는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또 다른 측면으로 토비 선생님께서 강의에서 말씀하시는 내용들이 매우 타당하고 이것 또한 매우 클린하며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장점을 매우 잘 살리고 있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제가 궁금한 건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에서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들에 대해 토비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회사에서 많은 시니어 분들이 헥사고날과 관련해서는 저자마다 주장하는 내용이 다른 경우가 많으니 최대한 많이 접하고 스스로 기준을 삼는 것이 좋다라고 조언을 주시기도 하셔서 더욱 궁금하네요 ㅎㅎ:)!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내용 중 GenerationType.SEQUENCE 일 때 실습에서 생기는 차이점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https://inf.run/Viaq1저도 이분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서 여쭤봅니다. main메소드를 한번만 실행하여 진행하여도 em.persist() 메소드가 여러번 실행될 때 현재 값이 51이 아닌 101이 됩니다 혹시 24년도 최신버전으로 진행할때 자바는 17, 하이버네이트는 6으로 업데이트되면서 javax가 아닌 jakarta를 사용해서 생기는 일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Sink Connect시 테이블 생성아 안됩니다
현재 my-sink-connect 등록도 잘되었고 아무 문제없이 작동을 잘 합니다. 또한 파워쉘을 통해서 데이터가 shema형태로 잘 통신되는 것도 확인 잘 되었습니다. 하지만 my_topic_users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아 문제가 생겼습니다. 오류 메시지나 로그 또한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 해결을 어떻게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PS C:\Work\kafka_2.12-3.4.0> .\bin\windows\kafka-console-consumer.bat --bootstrap-server localhost:9092 --topic my_topic_users --from-beginning{"schema":{"type":"struct","fields":[{"type":"int32","optional":false,"field":"id"},{"type":"string","optional":true,"field":"user_id"},{"type":"string","optional":true,"field":"pwd"},{"type":"string","optional":true,"field":"name"},{"type":"int64","optional":true,"name":"org.apache.kafka.connect.data.Timestamp","version":1,"field":"created_at"}],"optional":false,"name":"users"},"payload":{"id":1,"user_id":"user1","pwd":"1111","name":"userA","created_at":1753221466000}}{"schema":{"type":"struct","fields":[{"type":"int32","optional":false,"field":"id"},{"type":"string","optional":true,"field":"user_id"},{"type":"string","optional":true,"field":"pwd"},{"type":"string","optional":true,"field":"name"},{"type":"int64","optional":true,"name":"org.apache.kafka.connect.data.Timestamp","version":1,"field":"created_at"}],"optional":false,"name":"users"},"payload":{"id":2,"user_id":"user2","pwd":"2222","name":"userB","created_at":1753221589000}}mysql> use mydb;Database changedmysql> show tables;+----------------+| Tables_in_mydb |+----------------+| orders || users |+----------------+ { "name": "my-sink-connect", "config": { "connector.class": "io.confluent.connect.jdbc.JdbcSinkConnector", "delete.enabled": "false", "connection.password": "test1357", "auto.evolve": "true", "connection.user": "root", "tasks.max": "1", "topics": "my_topic_users", "value.converter.schemas.enable": "true", "name": "my-sink-connect", "auto.create": "true", "connection.url": "jdbc:mysql://localhost:3306/mydb" }, "tasks": [ { "connector": "my-sink-connect", "task": 0 } ], "type": "sink"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17강 강의중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실습중 문의드립니다. 강의랑 똑같이 하던중에 저에게만 에러가 나는부분이 있어 문의드립니다.@Override public Long register(TodoDTO todoDTO) { Todo todo = dtoToEntity(todoDTO);dtoToEntity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Cannot invoke "java.lang.Long.longValue()" because the return value of "com.project.reactserver.dto.TodoDTO.getTno()" is null에러가 발생하는데 당연히 tno값을 안넣었으니 null인데 강사님 강의에서는 잘 진행이 되는데뭐가 문제인지.. 물론 TodoDTO에는 @Data 어노테이션도 작성했고 Setting에서 어노테이션 활성도 확인했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안녕하세요 토비님
질문이 있어 남깁니다.30. 회원 애플리케이션 기능 추가 강의 중 Activate 메서드를 작성하면서 설명해주신 Spring Data Jpa 사용시 save를 사용해야 한다고 공식문서에 나와있다고 하셨는데 해당 문서에 대한 링크를 알수있을까요?save를 안티패턴이라고도 설명을하고 불필요한 오버헤드 발생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강의의 내용 처럼 JpaRepository가 아닌 Repository를 사용 하는경우에는 필수적으로 save를 해야 하나 JpaRepository의 경우는 Jpa 자체에서는 save라는 것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엔티티를 생성할때만 사용을하고 업데이트의 경우는 생략을 해야하는 것일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 타입 컬렉션과 엔티티 차이점
강의 00:30 경에List<Child> childList 가 나오는데요, 이거는 엔티티라고 하시고 이후에 값 타입 컬렉션을 코드를 보면 Set<String> favoriteFoods , List<Address> addressHistory 는 값 타입 컬렉션이라고 하시죠. 그런데 아무리봐도 엔티티와 값타입의 차이점이 뭔지 모르겠습니다.값 타입 컬렉션의 테이블 구조가 위와 같은데일반 1:N 엔티티 구조에서도 위와 비슷할 것같구요.. 강의 2분 55분 정도부터 언급하시는데 별도의 id 를 넣으면 엔티티라고 하시는데, 그렇다면 엔티티와 값타입의 차이점은 단지 별도의 id 유무인가요?클래스 관점에서나 테이블 관점에서 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엔티티는 별도의 pk(id)가 존재하고, 값 타입은 엔티티처럼 별도의 하나의 pk는 존재하지는 않고그저 여러 필드?컬럼?값들을 묶어서 pk로 구성하는 건가요?이것이 맞다면 id차이 하나로 엔티티 따로 값 타입 컬렉션 따로 개념이 나뉘고 값 타입 컬렉션에는 별도의 어노태이션을 사용하고 삽입, 삭제, 변경의 방법도 다를 정도인건가요?id차이로 이렇게까지 나눌 이유가 있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