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0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앞선 로직으로 1차 캐시에 (이름: entity, 값: 10), ...이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스냅샷)
벌크 연산을 수행하여 모든 DB 로우 값을 5씩 곱합니다.
연산을 마치면,
1차 캐시에는 (entity, 10), ...
DB에는 (entity, 50), ...과 같은 값이 저장되어 있을 것입니다.
제가 알기로, flush()는 스냅샷과 비교하여 1차 캐시의 변경 사항을 DB에 반영합니다. (실행하여도 1차 캐시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만약 벌크 연산 후 flush, clear를 연달아 실행하면 1차 캐시의 값이 벌크 연산을 덮어씌워 값이 오염되는 것 아닌가요?
따라서 flush -> 벌크 연산 -> clear가 맞는 호출 순서가 아닐까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ongYun Won님.
벌크 연산과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 조작에 관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질문해주셨네요. 이와 관련된 내용을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영속성 컨텍스트(1차 캐시)와 데이터 일관성:
벌크 연산은 데이터베이스 레벨에서 수행되며, 이는 영속성 컨텍스트와는 별개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벌크 연산 이후, 영속성 컨텍스트(1차 캐시)에는 이전의 상태값이 남아있고, 데이터베이스에는 변경된 값이 저장됩니다. 이로 인해 영속성 컨텍스트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flush()
의 역할:
flush()
는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변경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합니다. 하지만, 벌크 연산이 진행된 경우에는 벌크 연산 후 flush()
는 벌크 연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는 flush()
가 벌크 연산의 결과를 덮어쓰지 않기 때문이며, 영속성 컨텍스트 내의 개체들에 대한 더티 체킹(dirty checking)을 수행할 대상이 없기 때문입니다.
clear()
의 역할:
clear()
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초기화하여 이후의 연산이 항상 최신의 데이터베이스 상태에 기초하도록 합니다. 이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낡은 캐시된 데이터를 제거하여 불일치를 해소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올바른 호출 순서:
따라서 벌크 연산 후에는 flush()
, clear()
를 통해 정합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벌크 연산 전에 flush()
를 미리 사용하여, 현재 영속성 컨텍스트의 상태를 DB에 반영한 후 벌크 연산을 수행하면 데이터 일관성을 더 확실히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추가로 참고하실 수 있는 유사한 질문과 답변 링크를 소개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