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CloudFront 생성 UI
CloudFront 생성 UI가 변경이 됬는데 보충자료에 올라온거 봤는데 클릭 하는 창이 안 뜨네요 정식적으로 바껴서 그런가요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잘 사용하진 않지만 풀 외부 조인을 사용하신 사례가 궁금합니다!
풀 외부 조인을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사용하실 때가 있다고 했는데 어떨 때 사용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진행할 때는 어떠한 워크플로우로 진행하나요?
현업에서 보통 n8n 워크플로우를 Python 노드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전처리를 진행하나요? Python 환경과 n8n 환경을 sync를 맞춰서 연동하는 좋은 꿀팁 혹은 구조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JPA (ORM) 개발자를 위한 고성능 SQL (High-Performance SQL)
JSON 타입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에서 JSON 타입을 활용하는 부분이 인상 깊어서, 이를 실무 API 배치 작업에도 적용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현재는 API 호출 비용 절감을 위해 응답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외부 API는 언제든 스펙이 변경될 수 있어서, '원본 응답을 그냥 JSON 형태 그대로 저장하는 게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다만 저희는 MySQL을 사용하고 있어서, PostgreSQL의 Materialized View 같은 기능을 직접 활용할 수 없습니다.대신 MySQL에서 JSON 컬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백오피스 조회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JSON 컬럼에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자주 조회하는 필드는 생성 컬럼을 두고 인덱스를 적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인지, 아니면 JSON은 단순 보존용으로만 두고, 정규화된 별도 테이블을 함께 운영하는 것이 나은지,또는 다른 고성능 패턴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실무에서도 외래 키를 쓸수 있지만 쓰지 않는 경우?
실무에서도 외래 키(Foreign Key)를 쓸수 있는 상황이지만특별히 쓰지않고 처리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예를 들어 시스템 초기에 보다 유연한 설계를 위해?데이터 보전을 위해? 아니면 쓸수 있으면 최대한 쓰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핵심만 골라배우는 CSS3
style 속성마다 박스 형태를 따로 따로 가지나요?
a tag, span 태그는 각각의 박스 성질을 가지고 있다하셨는데, 줄바꿈을 해도 각각의 박스 성질을 유지하나요?
-
미해결2시간으로 끝내는 프론트엔드 테스트 기본기
Jest의 test와 it 사용에 대한 컨벤션 질문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중 jest에서 한글로 적을 때는 test, 영어로 적을 때는 it으로 적는 게 가독성이 좋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실무 팀에서는 이런 네이밍 컨벤션을 어떻게 정하고 유지하는지, 혹시 Prettier, ESLint 같은 도구로 특정 스타일(예: test만 사용)을 강제하는 경우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AI 시대의 혁신적인 게임 개발 입문 with Unity6
Input Setting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완강한 시점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먼저는 Unity6를 이용한 강의가 많이 없어서 좋은 강의 제공해주심에 감사 인사드립니다. 다름이 아니고 Input관련 함수를 사용하려고 하면 Project Settings에서 Both로 바꾸어야 하는 점, 그리고 사용하셨던 함수들은 옛날버전이어서 곧 지원이 끊긴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앞으로 배워나갈 제 입장에서는 공부할때부터 새로 제공되는 함수를 주로 사용하려고 하는 편이 아무래도 낫겠죠...?사실 현재 시중에 있는 여러 프로젝트들도 왠만하면 다 레거시 함수들을 쓰고 있을거라 생각이 드네요..너무 당연한 질문일 수도 있지만 유니코티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메모리의 형태가 전체설계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1. 질문 챕터] : HDL19장 4분 50초[2. 질문 내용] : 같은 메모리 크기라도 Width와 Depth를 다를 수 있다고 해당 강의를 보고 이해 했습니다. 갑자기 든 궁금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령 넓고 얕은 메모리와 좁고 깊은 메모리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FPGA 내부의 라우팅 복잡도나 타이밍 마진, 전력 소모에 어떤 실질적인 차이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에러가 발생했을 때 어디까지 구글링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강의 영상에 대한 질문이 있으시면, 상세히 문의를 작성해주시면, 주말/휴일 제외, 2~3일 내에 답변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는 평생 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강의 답변이 도움이 안되셨다면, dream@fun-coding.org 로 메일 주시면 24시간 내에 재검토하겠습니다.- 괜찮으시면 질문전에 챗GPT 와 구글 검색을 꼭 활용해보세요~-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다운로드 방법포함)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너무 지피티에 의존해도 안된다고 하는데 배우는 단계에서 얼마나 지피티를 활용해야 할지 감이 안잡히네요..
-
미해결회사에서 바로 쓰는 업무자동화 AI 에이전트 (w. n8n, LangGraph)
데이터 전처리 작업 구성관련 질문
안녕하세요!!n8n으로 데이터 자동화 워크플로를 만들고 있는데데이터 전처리 작업을 어떻게 구성하는 게 좋을지 고민이 됩니다. 실무에서는 보통 n8n 내부 Python 노드로 어느 정도 수준까지 전처리를 하고복잡한 전처리가 필요한 경우에 외부 Python 환경과 연동하는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n8n과 Python을 함께 쓰는 효율적인 구조가 있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설계 1편, 현대적 데이터 모델링 완전 정복
조건 제약 처리 부분 질의
안녕하세요.섹션 8에서 장바구니에 주문을 생성할 때 같은 상품이 중복으로 생성되게 하지 않게 제약 조건을 걸었는데실무에서는 쿼리에서 제약 조건을 거는 지아니면 애플리케이션에서- 없을 때 추가- 있을 경우 수량 증가와 같이 아니면 비즈니스 로직에서만 처리 하는 지어떤 케이스나 어느 비율로 적용하는 사례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템플릿과 콜백의 역할 경계를 구분하는 기준
안녕하세요! 토비님ㅎㅎ 강의를 잘 듣고있는데, 궁금한게 있어 여쭤봅니다! 템플릿/콜백 구조에서 '고정된 틀(템플릿)'과 변하는 로직(콜백)의 경계를 어디까지 두는 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강의에서는 ApiTemplate 안에서 URI 생성, 응답 처리, 예외 변환까지 모두 포함되어 있는데, 이런 부분들도 콜백으로 분리하는게 맞을까요 아니면 템플릿 내부에 두는 게 더 적절할까요?
-
해결됨옵시디언 마스터 클래스(생산성을 바꾸는 기록 습관)
강사님께서 쓰시는 지식관리 도구가 더 있을까요?
옵시디언을 기존에 알고만 있었는데 이번에 제대로 써보려고 합니다.예전부터 에버노트, 노션이나 스크리브너와 같은 지식관리체계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는데요.기록이라는 어플하나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있더라구요.그래서 요즘에는 spark이나 n8n같은 도구들을 저한테 맞춰서 쓰고 있습니다.강사님은 어떤 체계를 갖추셨는지 궁금하네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테스트를 작성하지않아도 되는 경우
안녕하세요 토비님명료한 설명, 가르침받고 있습니다!테스트 관련해서 모든 클래스마다 테스트가 있어야하나 생각해보다가 크게 두 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남겨봅니다~ 1.작성하는 모든 클래스에 대해 테스트를 해야하는지, 테스트를 만들지 않아도 괜찮은 경우가 있을까요?예를 들면 아래 경우에 테스트 의미가 있을까라고 생각이 들었네요 테스트 대상 클래스가 협력자(?)를 추가 로직없이 wrapping하는 경우, 즉 대상 클래스가 단순 wrapper인 경우 2.강의 중에서 PaymentService에 있던 valid 체크로직을 Payment로 이동하였고, 이에 따라 PaymentTest에 도메인 오브젝트에 대한 테스트를 작성하였습니다.헌데 PaymentServiceTest에서 valid에 대한 test suite가 있는 상황입니다. 이 경우 PaymentServiceTest만으로 PaymentTest는 커버가 되는 상황이기에 PaymentTest의 valid 테스트는 하지않아도 되는거 아닐까요?혹은 Payment에서 테스트하는게 더 적절하다면 PaymentService에서 valid 테스트는 하지않고 단순 Payment가 생성되었는지만 체크하도록 테스트를 수정해야할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생성자 직접 호출 vs 팩토리 메서드 패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해당 질문 자체가 질문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것일지 고민되어서 먼저 찾아봤지만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찾지 못하여서 질문을 남겨봅니다..애초에 질문거리가 되지 못하는 것이었다면, 제가 어느 부분에서 잘못 생각한 걸까요?🥲 public class AppConfig {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return new OrderServiceImpl(new MemoryMemberRepository(), new FixDiscountPolicy()); } }위 AppConfig처럼 생성자를 직접 호출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방식과 팩토리 메서드 패턴처럼 생성자를 간접적으로 호출하는 방식 중 어느 방식이 더 객체 지향적으로 좋은 방식일까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이력서 작성에 대한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신입 개발자로 이력서를 준비하며 몇 가지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1. 이력서는 간결해야 한다고 들었는데 한 프로젝트당 설명은 보통 어느 정도 분량이 적절할지 궁금합니다. A-B-C 패턴처럼 결과 위주로 간결하게 쓰는 게 좋은지, 배운 점까지 포함하는 게 나을지 고민됩니다. 2. 강의를 듣고 기존 프로젝트를 리팩토링하려고 하는데, 이 경우 프로젝트 기간과 개선 기간을 따로 구분해 써야 할지, 아니면 하나로 묶는 게 더 나을지 구성을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3. 성과 수치화 외에 신입 개발자 이력서에서 눈길을 끄는 프로젝트 작성 방식이나 구조가 있었다면 어떤 게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유니티6] 따라하면서 배우는 고박사의 Top-Down Shooting 게임
볼륨 확인 요청
재화시스템에서4:10에 키보드 소리가 마이크에 들어가서 볼륨을 낮추셨는지,11:08에서의 스크립트 생성 한다는 이야기의 볼륨이 너무 낮아져있는듯합니다. 19:28에 갑자기 볼륨이 돌아와서이어폰으로 듣고있었으면 불편했을수도 있겠습니다.중요한건 아니지만
-
미해결[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디자인시스템 관련
우선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 저는 B2B 회사에서 PM/기획자로 일하고 있는데요회사 내 디자이너는 없이 기획자와 프론트 엔지니어 협의를 통해서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서비스를 만드는 건 괜찮으나 통일된 UI/UX를 제공하기에는 많이 아쉽다보니 이번에 강의를 듣게 되었어요 디자인 업무를 하진 않았어서 강의를 반복으로 들어야 할 것 같은데요...강사님이 보시기에...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회사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또는 효과적일까요? 강의에서 말씀해주신대로 초기 시간/인력이 투여되지만 해놓으면 확실히 좋을 부분이라서..고민이 좀 되네요디자이너가 없다면 아무래도..더 시간이 걸릴 것 같은데요 강사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
해결됨BigQuery(SQL) 활용편(퍼널 분석, 리텐션 분석)
array 등
안녕하세요 데이터분석가로 근무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array 등과 같은 기능이 저는 다소 생소한데 자주 쓰는 문법인지 궁금합니다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