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book 클래스 import 에러..
자꾸 이렇게 나오는데 뭐가 문제인것일까요... ㅠㅠㅠ Book.java 도 오탈자는 없어보입니다 ㅠㅠ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의 위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ervice 계층에만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을 붙일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데이터베이스에게 요청을 보낼 때 하나의 작업 단위임을 인지시키기 위해 Transactional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DB에 저장하는 Repository 계층에도 붙일 수도 있는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git push 후 username 과 password를 물어보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이렇게 뜨는데 무었을 입력해야 하나요 ? 구글링 해본결과를 personal access tokens 을 만들어야 한다고 하는데 정말 그렇게 해야하는건가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Unir4, JUni5
지금 코드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해결방법을 몰라서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저는 테스트코드 만들때 JUnit 5 로 했는데, 강사님은 4로 하신거 같은데 그래서 발생하는 오류인가요? 아니면 처음부터 그냥 JUnit 4 로 테스트 코드 작성해야 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ssertThat 임포트
assertThat 임포트가 안되는데 어떤게 문제인가요 저는 JUit5 로 테스트코드 생성했습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서버 실행 실패
> Task :LibraryAppApplication.main() FAILED . ____ _ /\\ / ___'_ __ (_)_ _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2.7.6)2024-04-04 17:09:40.815 INFO 12468 --- [ main] c.g.libraryapp.LibraryAppApplication : Starting LibraryAppApplication using Java 17.0.9 on KONG with PID 12468 (C:\Project\project\library-app\build\classes\java\main started by jinju in C:\Project\project\library-app)2024-04-04 17:09:40.819 INFO 12468 --- [ main] c.g.libraryapp.LibraryAppApplication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1 default profile: "default"2024-04-04 17:09:41.422 INFO 12468 --- [ main] .s.d.r.c.RepositoryConfigurationDelegate : Bootstrapping Spring Data JPA repositories in DEFAULT mode.2024-04-04 17:09:41.474 WARN 12468 --- [ main] Config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 : Exception encountered during context initialization - cancelling refresh attemp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BeanDefinitionOverrideException: Invalid bean definition with name 'userRepository' defined in com.group.libraryapp.domain.user.User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Cannot register bean definition [Root bean: class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support.JpaRepositoryFactoryBean]; scope=; abstract=false; lazyInit=false; autowireMode=0; dependencyCheck=0; autowireCandidate=true; primary=false; factoryBeanName=null; factoryMethodName=null; initMethodName=null; destroyMethodName=null; defined in com.group.libraryapp.domain.user.User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for bean 'userRepository': There is already [Root bean: class [null]; scope=; abstract=false; lazyInit=null; autowireMode=3; dependencyCheck=0; autowireCandidate=true; primary=false; factoryBeanName=userConfiguration; factoryMethodName=userRepository; initMethodName=null; destroyMethodName=(inferred);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com/group/libraryapp/config/UserConfiguration.class]] bound.2024-04-04 17:09:41.505 INFO 12468 --- [ main] ConditionEvaluationReportLoggingListener : Error starting ApplicationContext. To display the conditions report re-run your application with 'debug' enabled.2024-04-04 17:09:41.521 ERROR 12468 --- [ main] o.s.b.d.LoggingFailureAnalysisReporter : ***************************APPLICATION FAILED TO START***************************Description:The bean 'userRepository', defined in com.group.libraryapp.domain.user.UserRepository defined in @EnableJpaRepositories declared on JpaRepositoriesRegistrar.EnableJpaRepositoriesConfiguration, could not be registered. A bean with that name has already been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com/group/libraryapp/config/UserConfiguration.class] and overriding is disabled.Action:Consider renaming one of the beans or enabling overriding by setting spring.main.allow-bean-definition-overriding=trueExecution failed for task ':LibraryAppApplication.main()'.> Process 'command 'C:/Program Files/Java/jdk-17/bin/java.exe'' finished with non-zero exit value 1 찾아본 결과이 문제는 Spring 애플리케이션의 빈(bean) 정의 중에 중복이 발생하여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에러 메시지에 따르면 userRepository 빈이 이미 UserConfiguration 클래스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또한 Spring Data JPA가 자체적으로 해당 빈을 생성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혹시 UserConfiguration 부분에 변경이 적용 안된게 있어서 그런걸까요?저 bean 부분을 지워도 .UserServiceV1 때문에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더라구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입니다.
스프링부트 jpa 활용 1 편 듣고 있는데hellocontroller 에서 오류나는데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testMember실행은 잘되나 쿼리문이 로그에 뜨질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estMember는 실행이 잘되는데요.선생님 처럼 쿼리문이 로그에 뜨질 않네요yml 파일도 제대로 따라친거같은데 따로 뭘 해줘야할까요?스프링 부트는 3.2.4버전입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JPA 를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강사님. 항상 정성 가득하고 충분한 설명 덕분에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 )강의를 듣다가 문득 호기심이 생겨 질문을 드립니다 !JPA 를 사용하는 이유가 DB가 변경 시에 유리하기 때문이라고 이해했습니다.그런데 만약 DB 변경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면, JPA 설정을 통해서 스프링이 DB 에 넣어주는 것 보다, 일일이 쿼리를 작성하는 것이 더 속도나.. 그런 측면에서 유리하지는 않나요?1개의 기능을 만드는데 그보다 많은 기능이 포함되어있는 어떤것을 쓰면 자원이 낭비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현업에서 DB를 변경할 일이 많아서 그런 것일까요?왜 요즘 MyBatis 보다 JPA 를 선호하는 추세인지도 궁금합니다. (취업 공고를 보면 MyBatis 보다는 JPA 가 많이 보이더라구요!)항상 감사하고 존경드리며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omain, Entity 차이점
DB에 저장될 예정인 UserData 있을 때 어떤 사람은 Domain으로 하고 또 다른 사람은 Entity라고 하는데 그 둘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또한 어떤 상황일때 domain, entity를 적절히 사용해야 하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bInit2 메소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dbInit2메서드를 똑같이 작성하고 db를 조회해봤는데 dbinit1 메서드에서 정의한 것만 db에 들어가고 dbinit2메서드 값은 db에 저장이 안됩니다혹시나 @Bean 등록후 확인해보니 등록이 되는데강의내용중 강사님은 @Bean등록 없이 그냥 하신것 같은데왜 이런걸까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git에서 커밋을 했는데, 계속 진행해도 되는지의 여부
40강. git 기초사용법을 듣고 있습니다. 코드를 github에 올리는 과정에서 처음에는 git add . 작성 시 아래와 같이 에러가 나타났습니다위와 같은 과정을 거쳤고, 커밋이 반영된듯 싶으면서도 fatal: unknown write failure on standard output이라는 문구가 떠 다음 과정을 진행하기 찝찝합니다. 이전에 git add .시 실행은 된 것 같지만 warning이 난것도 나중에 문제가 될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WHERE>태그 대신
<WHERE>태그 대신 WHERE 1=1 주고 강제적으로 true 준 이후에 and조건을 <if>안에 사용하는데 그게 더 안좋은 방법일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Oracle12cDialect 오류 해결 방법
(사진)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gavlyukovskiy 의존성을 추가했는데도 파라미터 로그가 보이지 않슴니다.
안녕하세요 다음과 같이 의존성을 했지만 보이지 않습니다.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다음과 같이 로그가 뜨며 현재 psy 관련 로그는 보이지 않습니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5.7' }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를 위해서 MemberProduct테이블을 만들어서 다대1로 할때 mapper를 어느 테이블로 해줘야하나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breproduct 클래스를 만들어서member클래스와 다대일을 할때두클래스중에 어느 클래스에 mapper를 넣어야하고 주인을 설정해야할지 갑자기 뇌정지가 와 버렸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TABLE_PER_CLASS 전략을 사용했는데 ITEM 테이블이 생겨요.
// JpaMain.javapackage hellojpa;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code try { Movie movie = new Movie(); movie.setDirector("aaaa"); movie.setActor("bbbb"); movie.setName("바람과함께사라지다"); movie.setPrice(10000); System.out.println("=== BEFORE ==="); em.persist(movie); System.out.println("=== AFTER ==="); System.out.println("movie.getId() = " + movie.getId()); em.flush(); em.clear(); System.out.println("movie.getId() = " + movie.getId()); Movie findMovie = em.find(Movie.class, movie.getId());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 finally { em.close(); } emf.close(); } } // Item.javapackage hellojpa; import jakarta.persistence.*; @Entity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TABLE_PER_CLASS) public abstract class Item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Lo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int getPrice() { return price; } public void setPrice(int price) { this.price = price; } } // Book.javapackage hellojpa; import jakarta.persistence.Discriminator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Entity public class Book extends Item { private String author; private String isbn; } // Movie.javapackage hellojpa; import jakarta.persistence.Discriminator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Entity public class Movie extends Item { private String director; private String actor; public String getDirector() { return director; } public void setDirector(String director) { this.director = director; } public String getActor() { return actor; } public void setActor(String actor) { this.actor = actor; } } // Album.javapackage hellojpa; import jakarta.persistence.Discriminator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Entity public class Album extends Item { private String artist; } TABLE_PER_CLASS 전략을 사용했는데도 ITEM 테이블이 생기고 ITEM 테이블에 값이 들어갔는데 왜 이러는 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 부분이랑 이해가 안되는부분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다대다를 하는데@jointable로 새로운 테이블을 만드는건 이해하는데새로운 테이블에 외래키를 넘겨주는데왜 한쪽 테이블에서는 mapper를 왜 쓰는지 이해가 안되네요. 예) Category 클래스안에 다대다라jointable를 사용해 새로운 테이블을 만든건 이해하는데근데 item클래스는 새로운 테이블에 외래키로 넘기는데item클래스는 도대체 mapper를 왜 쓰는건가요?이부분이 자세히 안 나와 있어서 의문만 생기네요 단순히 mapper가 읽기전용으로 쓰는걸로 아는데다대다 여기서는 그림조차 그려지지가 않네요ㅠㅠitem은 읽기전용? category를 주인장? 인건가요? parent: category child: list 이건 뭔가요? 다른클래스랑 연관관계도 없는데 갑자기 추가되서 혼동이 되네요 category_ITEM 테이블이 만들어지면서 category_ID, Item_ID가 자동으로 만들어지는데 저희가 컬럼을 만들지도않았는데 어떻게 자동으로 만들어지는지 어디부분에서 이루어지는건지 모르겠네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DB저장시 이전 내용 삭제 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현재 Hello JPA - 애플리케이션 개발 강의를 수강 중입니다.12:50에서 2L과 HelloB로 해서 돌렸는데 1, HelloA가 사라지고 2, HelloB가 들어갑니다.강의에서는 1, HelloA가 남아있는데 혹시 제가 뭘 잘못 설정한걸까요? 콘솔창에Hibernate: drop table if exists Member cascade 라고 뜨긴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 타입의 비교 ==과 equals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전에 배웠던 내용과 혼란이 와서 문의남깁니다!값 타입의 비교를 수강 중동일성(identity) 비교 : 인스턴스의 참조 값을 비교, ==사용동등성(equivalence) 비교 : 인스턴스의 값을 비교, equals 사용 이라고 가르쳐 주셨는데 int, char같은 기본형 타입은 call by value로 인스턴스의 값을 비교하고 ==을 사용하지 않나요?그리고 String의 경우 참조형으로 call by Reference로 인스턴스의 참조 값을 비교하고 equals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부분이 헷갈려서 정리가 잘 안됩니다 ㅠㅠ 설명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인스턴스"를 간과하고 있었네요 이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