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lightgbm 3.3.2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맥북m2 사용중입니다. venv환경에서 pip install lightgbm==3.3.2를 했지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나옵니다.3.3.2없이 가장 최신 버젼이 4.5.0은 아주 쉽게 잘 설치가 됩니다. 혹시 강의를 수강할 때 3.3.2가 꼭필요한가요? conda 환경으로 설치를 진행해도 3.3.2는 설치가 안되더라구요ㅠㅠ 구글링을 해서 하라는 것은 다 했는데 해결이 안나와서 문의 드립니다..==========================================pip install lightgbm==3.3.2Collecting lightgbm==3.3.2 Using cached lightgbm-3.3.2.tar.gz (1.5 MB) Installing build dependencies ... done Getting requirements to build wheel ... done Preparing metadata (pyproject.toml) ... doneCollecting wheel (from lightgbm==3.3.2) Using cached wheel-0.44.0-py3-none-any.whl.metadata (2.3 kB)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numpy in ./study/lib/python3.9/site-packages (from lightgbm==3.3.2) (1.24.3)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scipy in ./study/lib/python3.9/site-packages (from lightgbm==3.3.2) (1.13.1)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scikit-learn!=0.22.0 in ./study/lib/python3.9/site-packages (from lightgbm==3.3.2) (1.0.2)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joblib>=0.11 in ./study/lib/python3.9/site-packages (from scikit-learn!=0.22.0->lightgbm==3.3.2) (1.4.2)Requirement already satisfied: threadpoolctl>=2.0.0 in ./study/lib/python3.9/site-packages (from scikit-learn!=0.22.0->lightgbm==3.3.2) (3.5.0)Using cached wheel-0.44.0-py3-none-any.whl (67 kB)Building wheels for collected packages: lightgbm Building wheel for lightgbm (pyproject.toml) ... error error: subprocess-exited-with-error × Building wheel for lightgbm (pyproject.toml) did not run successfully. │ exit code: 1 ╰─> [83 lines of output] INFO:root:running bdist_wheel INFO:root:running build INFO:root:running build_py INFO:root:creating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callback.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compat.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plotting.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__init__.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engine.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dask.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basic.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libpath.py -> build/lib/lightgbm INFO:root:copying lightgbm/sklearn.py -> build/lib/lightgbm INFO:root:running egg_info INFO:root:writing lightgbm.egg-info/PKG-INFO INFO:root:writing dependency_links to lightgbm.egg-info/dependency_links.txt INFO:root:writing requirements to lightgbm.egg-info/requires.txt INFO:root:writing top-level names to lightgbm.egg-info/top_level.txt INFO:root:reading manifest file 'lightgbm.egg-info/SOURCES.txt' INFO:root:reading manifest template 'MANIFEST.in' WARNING:root:no previously-included directories found matching 'build' WARNING:root:warning: no files found matching '*.so' under directory 'lightgbm' WARNING:root:warning: no files found matching '*.so' under directory 'compile' WARNING:root:warning: no files found matching '*.dll' under directory 'compile/Release' WARNING:root:warning: no files found matching '*.dll' under directory 'compile/windows/x64/DLL' WARNING:root:warning: no previously-included files matching '*.py[co]' found anywhere in distribution WARNING:root:warning: no previously-included files found matching 'compile/external_libs/compute/.git' INFO:root:adding license file 'LICENSE' INFO:root:writing manifest file 'lightgbm.egg-info/SOURCES.txt' INFO:root:copying lightgbm/VERSION.txt -> build/lib/lightgbm INFO:wheel:installing to build/bdist.macosx-10.9-universal2/wheel INFO:root:running install INFO:LightGBM:Starting to compile the library. INFO:LightGBM:Starting to compile with CMake.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string>", line 95, in silent_call File "/Library/Frameworks/Python.framework/Versions/3.9/lib/python3.9/subprocess.py", line 373, in check_call raise CalledProcessError(retcode, cmd) subprocess.CalledProcessError: Command '['cmak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install-_35mq2ue/lightgbm_4b238c34e6dd4d93979880ebb06cf41d/compile']' returned non-zero exit status 1. During handling of the above exception, another exception occurred: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ers/ike/py3-9/study/lib/python3.9/site-packages/pip/_vendor/pyproject_hooks/_in_process/_in_process.py", line 353, in <module> main() File "/Users/ike/py3-9/study/lib/python3.9/site-packages/pip/_vendor/pyproject_hooks/_in_process/_in_process.py", line 335, in main json_out['return_val'] = hook(**hook_input['kwargs']) File "/Users/ike/py3-9/study/lib/python3.9/site-packages/pip/_vendor/pyproject_hooks/_in_process/_in_process.py", line 251, in build_wheel return buildbackend().build_wheel(wheel_directory, config_settings,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build_meta.py", line 421, in build_wheel return self._build_with_temp_dir(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build_meta.py", line 403, in buildwith_temp_dir self.run_setup()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build_meta.py", line 503, in run_setup super().run_setup(setup_script=setup_script)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build_meta.py", line 318, in run_setup exec(code, locals()) File "<string>", line 334, in <module>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_init__.py", line 117, in setup return distutils.core.setup(**attrs)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distutils/core.py", line 183, in setup return run_commands(dist)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distutils/core.py", line 199, in run_commands dist.run_commands()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distutils/dist.py", line 954, in run_commands self.run_command(cmd)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dist.py", line 950, in run_command super().run_command(command)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distutils/dist.py", line 973, in run_command cmd_obj.run()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vendor/wheel/bdist_wheel.py", line 403, in run self.run_command("install")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distutils/cmd.py", line 316, in run_command self.distribution.run_command(command)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dist.py", line 950, in run_command super().run_command(command) File "/private/var/folders/q_/cgds3zcd57z43n2hc_mfsklr0000gn/T/pip-build-env-nmcdsyxm/overlay/lib/python3.9/site-packages/setuptools/_distutils/dist.py", line 973, in run_command cmd_obj.run() File "<string>", line 248, in run File "<string>", line 198, in compile_cpp File "<string>", line 99, in silent_call Exception: Please install CMake and all required dependencies first The full version of error log was saved into /Users/ike/LightGBM_compilation.log [end of output] note: This error originates from a subprocess, and is likely not a problem with pip. ERROR: Failed building wheel for lightgbmFailed to build lightgbmERROR: ERROR: Failed to build installable wheels for some pyproject.toml based projects (lightgbm)==========================================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깃허브 부분까지도 다 듣고, 깃허브에 README기능을 알게되어 어떤 기능이 있는지 등을 간단히 적어두었는디 괜찮을까요?또한 깃허브에 계속 올려놔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저작권 때문에여!)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Spring REST Docs 관련 질문 사항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 유용하게 잘 보고 있습니다.테스트 기반 문서에 대해서 의문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기존에 작성한 MockMVC를 활용한 Controller단 테스트는, REST Docs를 사용하기 위해 만든 테스트가 있다면 중복되는 테스트는 제외를 해도 관계가 없을까요?예시로, 정상 Case 테스트와, 예외 Case (비교적 다수) 가 하나의 API에 테스팅 될 것 같은데, 정상 Case 테스트만 RestDocs로 운용, 나머지 예외 케이스는 Mocking 하여 별도의 Test 진행.아니면 controller 테스트는 Docs로 구분, 정상케이스만 .andDo(...) 적용하여 같은 테스트 파일에 포함되도록 설정 등등... REST Docs의 가장 큰 장점은 테스트가 완료된 API End Point만 명세화되어서 작성 된다고 느껴졌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통과해야 merge가 가능하도록 branch 전략을 수립하거나, CI/CD 과정에 포함시키는 등을 진행하면 Swagger를 통한 명세 작성에 비해 떨어지는 접근성을 지닐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다만, 테스트코드의 강제성 부분에서는 장점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혹시 다른부분의 장점이 또 있을까요?테스트 코드 작성 부분이 많이 약해 도움받을 목적으로 강의를 수강하게 되었는데, 많은 부분에서 도움을 받은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6분 37초 영상 질문있습니다.
한번 풀어보고 강의 들을려했는데, 문제 보자말자 울렁증이 와서 포기했습니다.. 자꾸 이러면 안되는데 큰일입니다 ㅠㅠ 자바쪽이 유독 이러네요.. 영상 설명에는 count변수(기본생성자) 에 대한 설명을 듣지 못한것 같은데,_inst = new Connetion(); 를 통해 생성함으로써기본생성자 private Connetion()를 불러왔다고 인지하고 있는데 맞는가요? 또한 현재 어떤부분이 부족한지를 인지를 못하겠네요 강의를 다시한번 정독해야할지 고민입니다.. 정답률이 50%가 채 안되네요..
-
미해결수학으로부터 인류를 자유롭게 하라(기초대수학편)
혹시 강사님과 대화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혹시 강사님과 대화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reApplication 실행 시 무한 로딩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MyLogger.java ] 코드package hello.core.common; import jakarta.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karta.annotation.PreDestroy;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java.util.UUID; @Component @Scope(value = "request") public class MyLogger { private String uuid; private String requestURL; public void setRequestURL(String requestURL) { this.requestURL = requestURL; } public void log(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 + uuid + "]" + "[" + requestURL + "]" + message);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uuid = UUID.randomUUID().toString();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reate:"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lose:" + this); } }[ LogDemoController.java ] 코드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LogDemoService.java ] 코드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log("service id = " + id); } } [ build.gradle ] 코드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lombok 설정 추가 시작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lombok 설정 추가 끝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web 라이브러리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jakarta.inject:jakarta.inject-api:2.0.1'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시작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lombok 라이브러리 추가 끝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ObjectProvider를 사용하면서 부터 CoreApplication을 실행하면 Negative Match 가 뜨면서 아래에ActiveMQAutoConfiguration: Did not match: - @ConditionalOnClass did not find required class 'jakarta.jms.ConnectionFactory' (OnClassCondition) AopAutoConfiguration.AspectJAutoProxyingConfiguration: Did not match: - @ConditionalOnClass did not find required class 'org.aspectj.weaver.Advice' (OnClassCondition)이러한 오류들이 뜹니다.IntelliJ는 무료버전이므로 build and run은 Gradle로 설정해놓은 상태입니다. 어떻게 해야 정상작동할까요...
-
해결됨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노션이 사라졌습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혹시 노션 기간이 있는걸까요??? 갑자기 사라졌습니다. 다시 초대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 타입 컬렉션 대안
update도 보면 create one-to-many row 업데이트가 나오지 않으며 id도 1씩 추가가 되지 않습니다. 왜 이런건지 이해가 안되네요 38:37초 입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input node 1,2,3,4 모두 같게 하기 위해서 코드 수정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21장 17분 40초[2. 질문 내용] : 기존 질문 에서 추가 질문 남깁니다. 기존 의도대로 4096 개의 input node, 4개의 ouput node를 갖는 딥러닝을 설계하고자 아래와 같이 수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데, 시도한것이 맞는지 질문드립니다[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다음과 같이 C코드 수정for (int i = 0; i < MEM_DEPTH; i++) { // IN_NODE는 MEM_DEPTH만큼 랜덤 생성 후, NUM_CORE만큼 반복 int node_value = rand() % 256; // 0~255 범위의 랜덤값 생성 (8비트) for (int core = 0; core < NUM_CORE; core++) { IN_NODE[core] = node_value; // 동일한 node_value를 NUM_CORE에 반복 할당 IN_WEGT[core] = rand() % 256; // IN_WEGT는 각 core마다 랜덤값 할당 OT_RSLT[core] += IN_NODE[core] * IN_WEGT[core]; fprintf(fp_in_node, "%d ", IN_NODE[core]); // IN_NODE 값을 출력 fprintf(fp_in_wegt, "%d ", IN_WEGT[core]); // IN_WEGT 값을 출력 } fprintf(fp_in_node, "\n"); fprintf(fp_in_wegt, "\n"); } 기존 질문에서 말씀하신대로, node1,2,3,4가 같아야 한다는 것이 이렇게 되어야한다는거 맞을까요??수정없이 강의대로 진행할시, 4096*4개의 input node, 1개의 output node를 갖는 딥러닝 추론을 진행한것이고, 각 코어를 1번 run/done 하여 얻은 4개의 결과를 모두 더하면 1개의 output node의 결과를 얻은것과 같다고 이해해도 될런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섹션 2 - 가상화기술 질문
강의내용가상화 기술 사용 이전에는 하나의 OS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경우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주어진 리소스보다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면 다른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친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면서 각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할당된 자원만을 사용하므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라고 이해했습니다.질문하지만 결국 호스트 OS가 뻗어버리면 가상화된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들도 모두 뻗어버린다고 생각이 들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얕은 지식으로 생각해본 결과 결국 하나의 컴퓨터에 하나의 프로그램만 돌아가도록 해야할 것 같은데, 이러면 많은 리소스가 사용될 뿐만 아니라 관리의 어려움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제가 너무 극단적인 상황을 생각을 생각하는 걸까요? 실무 레벨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관리하는지, 정말 가상화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는지 등에 대해서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프론트앤드 개발 환경에서 다양한 환경을 구성해보면서 도커를 공부해보고 싶은데요.실무에서는 이런 식으로 도커를 활용하니 이런걸 중점적으로 공부하고 구성해보세요. 하는 환경이 있다면 몇개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쉽게 설명하는 AWS 기초 강의
섹션 2 > 캐싱 강의자료가 pdf 파일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배포중인 PDF에서 캐싱 강의자료가 빠져 있습니다.확인 부탁드려요~(참고로, 압축해제한 PDF 리스트 캡쳐본 첨부드려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실제 비즈니스에서 createOrder() 오버로딩에 관한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는 중에 createOrder() 메소드에 관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좋은 예시와 설명으로 테스트를 어렵게 코드들을 외부로 빼서 테스트를 쉽게할 수 있게 하는 점을 잘 이해했습니다.그런데 강의에서 파라미터 주입으로 변경한 createOrder(LocalDateTime ) 메소드는 사실상 다른 비즈니스 클래스에서 사용한다고 했을 때 모두 LocalDateTime.now()을 파라미터로 사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그래서 저렇게 파라미터로 뺀 경우 createOrder() 메소드를 사용하는 다른 비즈니스 클래스에선 불필요한 코드 반복이 발생할 수 있을 것 같고 또 개발자가 LocalDateTime.now() 대신 잘못된 값을 넣을 수 있게 되니 잠재적으로 예기치 못한 동작을 유도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이런 부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메서드 2번 호출 건에 대하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ervice에 한해서만 apo를등록해보았는데요, 서비스뿐만아니라 모든 메서드에서 2번호출이 일어나는데 이건 웹에서 2번호출을 한거라고 보면될까요?조회 페이지 버튼을 눌렀을때 디버깅을 찍어봤는데 MemberService의 findMember메서드에 2번 들어오더라고요
-
해결됨유니티 시스템 프로그래밍 Pt.1 - 상용 게임 구현을 위한 핵심 시스템 올인원 패키지
BaseUI, ConfirmUI에서 질문있습니다.
함수에서 어떤 행위를 하고 Action 변수를 사용하고 null로 초기화 해주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onCreate함수를 app컴포넌트가 아닌 editor컴포넌트에서 작성
app 컴포넌트에서 const [todos, setTodos] = useState(mockDate); 를 생성하고 자식 컴포넌트인 editor컴포넌트에서 oncreate 함수를 만들어도 되나요? app 컴포넌트에 state를 생성했으니 리스트 컴포넌트에도 전달이 가능할 거 같아서요. 이렇게 안하는 이유는 App에서 관리하는 것이 더 일관적이며 유지보수가 쉬운 구조라서 그런가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LoL 스킬 사용할 때 바닥에 공격범위가 나오는 기능을 추가로 구현하고 싶습니다.
5.1 버전의 강의를 다 듣고, 5.4 깃허브 업데이트 되어서 다시 복습하다가 제목과 같이 스킬 사용할 때 범위 시각화(배포용) 기능을 구현해보고 싶더라구요. 일단, 캐스캐이드가 Legacy 기능이다보니 나이아가라로 다른 스킬 구현은 완료했고, 스킬의 범위를 바닥에 표현하고 싶은데 GAS 프레임워크에서 스킬 범위를 표기할 때 좋은 class가 따로 구현되어 있을까요? 현재 나이아가라 데칼을 써서 해볼까 실험은 하고있는데, 정석적인 방법(?)이 있다면 먼저 그런 방법으로 해보고 싶어서 질문드려요.
-
미해결
개인 블로그에 강의 내용을 공부한 것을 정리해서 업로드해도 될까요?
개인 블로그에 강의 내용을 공부한 것을 정리해서 업로드해도 될까요? 출처를 인프런 강의 링크로 남길 생각입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health 했을 때, cannot get /health 오류
안녕하세요. 현재[실습] 3. ELB 셋팅하기 - 리스너 및 라우팅 / 헬스 체크강의를 듣고 실습하던 중, cannot get /health 오류를 보게 되었습니다.http://13.124.124.188/health요것을 했을 때, cannot GET /health 가 뜨고(아래 이미지는 대상 그룹에 속한 하나의 인스턴스의 상태검사 결과입니다.)http://13.124.124.188/요것을 했을 때는 정상 작동 됩니다.reload를 했을 때 pm2 명령어 부분에서 문제가 있는 걸까요?app.js 파일은 아래와 같이 입력해서 저장했고require('dotenv').config();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80; app.get('/', (req, res) => { res.send(`.env 테스트 : ${process.env.DATABASE_NAME}`); }) app.get('/health', (req, res) => { res.status(200).send("Success Heatlth Check"); }) app.listen(port, () => { console.log(`Example app listening on port ${port}`) }) 아래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해서 실행한 'pm2 reload 0'의 결과입니다.ubuntu@ip-172-31-1-28:~/ec2-express-sample$ pm2 reload 0 [PM2] Spawning PM2 daemon with pm2_home=/home/ubuntu/.pm2 [PM2] PM2 Successfully daemonized Use --update-env to update environment variables [PM2] Applying action reloadProcessId on app [0](ids: [ '0' ]) [PM2][ERROR] Process 0 not found
-
미해결스프링 프레임워크 입문
./mvnw spring-boot:run 명령어 실행과 spring-boot:run 파일 더블클릭 실행
두 방법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mvnw spring-boot:run 명령어는 잘 실행되지만 더블클릭 실행은 실행이 안되네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코어 연산 결과를 바로 모듈로 전달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21장 9분 25초[2. 질문 내용] : 1. 코어의 연산 결과를 바로 myip_AXI 모듈 내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현재까지 BRAM에 데이터를 넣고 꺼내고 하는걸 배웠는데 ,,, 결과 write용 bram2를 안쓰니까 궁금합니다!bram을 거쳐서 데이터를 넣고 꺼내는 시간/ 바로 레지스터로 가도록 하는 시간 중에 뭐가 더 빠른가요??데이터가 많을때도 모듈에 레지스터를 엄청 많이 만들어서 bram을 안쓰는건 어떨까요?? bram을 쓰는 것보다 같은 데이터양 대비 사용 리소스가 많다거나, 시간이 더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을까용??[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21장에서는 코어에서 연산한 데이터가 4개씩이라 적게 나와서 굳이 BRAM을 안쓰는거같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