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실무에서 배치 메타데이터 관리
$ kill-9.. 킬구형 추석 연휴는 잘 보냈는가.. 처음에 텍스트로만 구성된 강의인 걸 결제한 후 알게되어 당황했지만.. 걱정 마라.. 금방 킬며들었다.. 눈으로 읽고 생각하는 즐거움을 알게되었다.. 무엇보다 그동안 피로했을 내 귀를 지켜줘서 고맙다.. 아직 강의 초반이지만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 올린다.. 대용량 트래픽을 다루는 회사에서는 배치 메타데이터의 양도 어마어마할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배치 메타데이터를 어떻게 관리하는 지가 궁금하다.. 혹시 배치 메타데이터를 활용할 일이 없을 것 같으면 안쌓는 것도 권장하는 방법인가..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트랜잭션 격리성 설계도 어필포인트로 가져갈 수 있을까요?
기존에는 @Transactional만으로 데이터 일관성이 보장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강의를 들으며 동시에 재고를 조회·갱신하는 상황에서 격리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뒤늦게 인식했습니다. 이런 흐름을 이력서에서 “단순 구현 → 시스템 안정성 중심의 설계로 성장한 과정”으로 기술적 사고 확장으로 어필해도 괜찮을까요? 아니면 너무 이론적으로 보일까요?(항상 서비스 내 로직만 고려해서 롤백 여부로 트랜잭션을 생각했는데, 큰일이네요ㅜㅜ )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낙관적락vs. 레디스락
충돌 빈도가 낮지만 피크 타임에 스파이크가 있는 서비스라면, “낙관적 락+재시도”와 “레디스 락” 중 어떤 구성이 유지보수/비용/성능 면에서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영속성 컨텍스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flush()는 영속성 컨텍스트의 변경 내용을 DB에 반영하지만, 영속성 컨텍스트 자체를 초기화하지는 않는다고 들었어요. 그렇다면 flush() 이후에도 1차 캐시에 남아있는 엔티티의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나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Transactional Outbox 테이블 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통해 대규모 시스템 설계에 대한 다양하고 실무적인 방법을 배우게 되어 감사히 수강하고 있습니다!수강중 Transactional Outbox 테이블 관련하여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실무에서는 보통 "Outbox 테이블에 Insert -> kafka send 후 Outbox 상태 Update" 하는 방식으로 쓰일까요? 강의에서는 간단히 Delete로 구현한다고 말씀주셔서 질문드려봅니다!Update 하는 방식도 자주 쓰인다면 Outbox 테이블은 파티셔닝(p20251001 와 같이)하여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삭제하는 방식일지도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카프카 메시지 순서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강사님!카프카를 사용하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요~ 예를 들어 주문 시스템을 구현한다고 하면요.주문에 대해 상태가 계속 바뀌어 해당 이벤트를 받을 수 있도록 카프카를 붙이려고해요.consumer가 동일한 주문 id에 대해 상태 업데이트를 해야 하니, producer가 순서 보장되도록 카프카 key도 동일하게 셋팅하면 consumer는 순서대로 status를 제대로 update 하는데요. 만약 producer가 메시지 발행을 비동기적으로 진행하도록 구현했다고 하면,무언가 이슈로 주문 생성 -> 주문 취소 순이 아닌 주문 취소 -> 주문 생성 순으로 발행되었다면consumer 입장에서 메시지 순서가 제대로 들어왔음을 어떻게 인지할 수 있을까요..? 이런 상황은 발생하지 않을까요..? ㅎㅎ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추석 챌린지) 복습 정리내용
[질문 내용]람다 (lambda)람다는 익명 함수이다. 따라서 이름 없이 함수를 표현한다.(매개변수) -> {본문}용어 - 람다 vs 람다식(Lambda Expression)람다 : 익명 함수를 지칭하는 일반적 용어. (개념)람다식 : (매개변수) → {본문} 형태로 람다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문법 표현을 지칭람다도 익명 클래스처럼 클래스가 만들어지고, 인스턴스가 생성된다.함수형 인터페이스함수형 인터페이스는 정확히 하나의 추상메서드를 가지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람다는 추상 메서드가 하나인 함수형 인터페이스에만 할당할 수 있다.단일 추상 메서드를 줄여서 SAM(Single Abstract Method)라 한다.@FunctionalInterface를 통하여 함수형 인터페이스를 보장할 수 있다.추상 메서드가 추가되면 컴파일 오류 발생 !(Ex) @Override를 통해 재정의된 함수임을 알 수 있듯이.고차함수(Higher-Order Function)고차 함수란, 함수를 값처럼 다루는 함수를 뜻함함수를 인자로 받는 함수(메서드)함수를 반환하는 함수(메서드)기본 함수형 인터페이스다음은 자바가 기본으로 제공하는 대표적 함수형 인터페이스이다.Function : 입력 O, 반환 OConsumer : 입력 O, 반환 XSupplier : 입력 X, 반환 ORunnable : 입력 X, 반환 X특화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으로 구현가능하나, 테스트 용도인 인터페이스라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Predicate : 입력 O, 반환 boolean조건 검사, 필터링 용도Operator (UnaryOperator, BinaryOperator) : 입력 O, 반환 O동일한 타입의 연산 수행, 입력과 같은 타입을 반환하는 연산 용도 추석 완강 챌린지 중 질문드리고 싶으나, 아직 완벽히 이해된 단계가 아니어서 부득이 복습하며 정리한 내용을 질문으로 작성했습니다. ㅠㅠ틀린 부분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웹 프로젝트 - Basic
<c:out>을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
<c:out>을 사용하면 HTML의 특수문자가 포함되있을 경우 HTML을 해석하지 않고 출력한다는데.HTML은 특수문자를 태그로서 가지고있는 마크업 언어인데... 이게 무슨말인지 이해를 잘 못하겠어요...인터넷의 다른 블로그 글을 봐도 거의다 똑같은 설명이라... 그냥 있는 그대로 출력을 한다는건지 HTML태그 안의 내용을 출력한다는건지 아리쏭 합니다..그리고 Spring에서 Beans으로 등록한다는 의미가 스프링에서 자체적으로 관리를 한다?고 이해하고 있는데...자바를 배우고 바로 spring으로 넘어와서 그런지 servlet의 개념도 어렵습니다...어디서 부터 손봐야할지 모르곘어요.... 죄송함니다..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Builder에 대해 사소한 질문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듣던 중 궁금한것이 있는데요.예를 들어 결제 API를 만든다면: - 금액, 결제수단: 필수- 할인쿠폰, 메모: 선택 @Builder를 사용할 때 필수 파라미터 처리가 궁금합니다. 결제 API 같은 걸 만든다면 금액은 필수인데, @NonNull은 런타임 체크로 알고 있는데요.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에러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필수 항목을 빠뜨리면 컴파일 에러가 나게 할 수는 없나요? 실무에서는 런타임 체크로 충분한가요, 아니면 중요한 객체는 컴파일 타임 체크를 위해 직접 구현해야 할까요?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FlatFileItemWriter의 FieldExtractor 커스텀 관련
킬구형 텍스트 강의임에도 몰입감 있는 구성에 연휴에 재밌게 공부하고 있어. 고마워FlatFileItemWriter에 대한 흐름을 정리하고 질문 해볼게1. sourceType() 메서드 내 객체 타입에 따라 FieldExtractor 구현체가 결정된다.2. (Bug가 fix되기 전까지) sourceType() 메서드 내 객체 타입이 Record일 경우 names() 메서드 호출은 무시되고, Record 타입의 모든 property가 쓰일 수밖에 없다.3. 그렇기에 Record 타입에서 필드 하나를 제외하고 파일을 쓰고싶다면, fieldExtractor()를 사용한 커스텀 구성을 통하여 필드 하나를 제외해야 한다.내가 강의를 보면서 정리한 흐름이고, 아래는 그 정리 중 나온 질문이야Q1. BeanWrapperFieldExtractor일 경우 필드 하나를 제외하고 싶다면, names()에서 해당 필드만 제외해도 되나? Q2. 만약 위와 같은 방법이 된다면, RecordFieldExtractor 관련 Bug가 fix 된 후에 FieldExtractor를 직접 커스텀하는 경우가 별로 없지 않을까 싶은데.. 혹시 내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이 있을까?고마워 킬구형아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실전 자바 중급 - 2편 후 추천 강의
안녕하십니까 ?현재, 실전 자바 중급 2편을 듣고 있는 2년차 개발자입니다. 평소에 아무런 생각없이 사용하고 있던 자료 구조들에 대해 공부하게 되니까, 어떻게 사용해야하는 지와 왜 해당 자료구조가 시간복잡도 상 좋은 지에 대해 알 수 있어서, 새롭게 느끼고 있습니다. 혹시, 자바 관련해서 강의를 더 듣는 다면, 어떤 강의가 실무에 도움될지 궁금해서 여쭙습니다. 혹시나 더 추천하는 강의가 있으실까여?
-
미해결Java/Spring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오답노트
주니어 개발자가 더 나아가기 위한 조언을 부탁 드려도 될까요?
선배 개발자로서 알려주시는 강의 내용들이 정말 좋았는데요, 그와 더불어 앞으로 주니어 백엔드 개발자로서 어떤 역량을 조금 더 집중해서 키우면 좋을지 조언을 부탁드리고 싶습니다.또, 아직 이를 수도 있지만 이직을 준비할 때 도움이 될 만한 공부 방향이나 추천해주실 만한 책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중간중간 소개해주시는 책들이 많아서 최근에 또 추천해주실 책이 생기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무에서도 EntityManager를 이용해서 많이 작업하는 편일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pring Data JPA에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보이는데 강의에서는 EntityManager를 주입받아서 직접 구현하는 방식으로 설명해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실무적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회사 규모상 프로젝트를 혼자서 개발하는 경우, 강의의 내용을 적용해서 도메인 문서를 만드는 것이 개발에 대한 정리나 추후 다른 사람이 봤을 때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당장 시간에 쫓기기도 하고 다른 사람의 피드백 없이 혼자서 정리하다 보면 잘 정리하기 힘들다는 생각이 되는데요. 이런 상황에서의 정리는 오히려 도움이 안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토비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프록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PA 공부 중 프록시 객체부분에서 혼란이 있습니다.em.getReference()로 가져온 객체는 실제 엔티티가 아니고 프록시라는데, == 비교 시 언제 같고 언제 다른가요?프록시 객체는 언제 실제 엔티티로 초기화되나요? (예: 필드 접근 시점? 트랜잭션 종료 시점?)만약 영속성 컨텍스트에 이미 로드된 엔티티가 있을 때, em.getReference()를 호출하면 어떤 객체를 반환하나요?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Kotlin과 Java의 현업에서의 활용
안녕하세요. Kotlin과 Java의 현업에서의 활용에 있어 궁금한 내용이 있어 질문드려요. 서버를 개발하실 때 Kotlin과 SpringBoot를 활용한다고 수업시간에 지나가면서 잠깐 말씀해주셨는데요. 혹시 Kotlin + SpringBoot의 프로젝트 작업을 진행하실 때 전혀 Java를 사용하지 않고 활용하시는지 아니면 Java와 Kotlin을 같이 사용하는 지 현업에서 실제 어떻게 활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Gradle에서implementation("org.apache.commons:commons-lang3:3.0") 와 같은 외부 라이브러리를 Kotlin + SpringBoot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때 Java로 가져와서 사용하는지 아니면 Kotlin으로 따로 제작된 코드를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ava static class와 kotlin class
[질문 내용]kotlin으로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데, java의 static class에서 static은 무슨 의미인가요? kotlin에서의 그냥 class와 같은 역할인 걸까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실무 레거시코드에 낙관적 락, 비관적 락 적용 시도
안녕하세요 현재 섹션 5_4-9. 낙관적 락, 비관적 락 부분을 듣고 있는데요.현재 공공SI 고도화 개발팀에서 개발을 하고 있는데 동시성 제어 부분이 있는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레거시 코드로 Oracle/ iBatis DAO / XML 환경이며담당자가 신청에 대해서 접수하는 기능에서소스분석을 통해서 봤을 때 기존 소스 흐름은1. 작업확인용 테이블에서 현재 작업중인 목록이 있는지 확인(Select)2-1. 작업중 목록이 없다면 작업확인용 테이블에 작업중으로 insert2-2. 작업중 목록이 있다면 Exception 발생(작업중입니다.)3. 해당 신청건에 대한 insert/update 진행4. 작업확인용 테이블의 insert 했던 값의 상태를 작업완료로 Update* 작업중 상태가 있을 땐 다른 신청건에 대해서도 접수가 불가입니다.강의를 듣고 보았을 때 작업확인용 테이블의 존재 이유가 동시성 제어를 위함으로 보이는데기존 흐름을 봤을 때비관적락 > 배타락으로 적용하는것이 맞다고 생각이 드는데 맞는 접근일까요?또한 비관적 락 적용시 작업확인용 테이블의 존재가 필요없어지는 걸까요?해당부분을 건드리기에 부담이 가서 기존 방식대로 개발을 해놓은 상태이긴 한데강의를 듣고 적용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람다 궁금한 점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아직 다 듣지 못해서 뒤에 관련 내용이 나올 수도 있지만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같은 람다식이 여러번 실행될 때마다 새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건가요, 아니면 JVM이 내부적으로 같은 람다식을 한 번 생성해서 재사용하는 건가요?감사합니다!
-
해결됨멀티 모듈 아키텍처로 구현하는 은행 서버 핵심 기능 [ Kotlin & Spring ]
CQRS 설계 팁
대규모 트래픽 환경에서 Write Service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CQRS 설계 팁이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