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
안녕하세요! 강의 구매를 고민중인 학생입니다
안녕하세요. 본문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 사용중인 언어가 자바 스프링인데 Node.js로 진행되는 해당 강의를 듣는데에 큰 무리가 없을지 고민되어 문의 드립니다 요즘 Java Spring + Github actions + AWS ELB를 이용한 CI/CD를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다보니 도커에 대해 자연스레 관심이 생겨 강의를 찾던 중, 해당 강의의 평이 좋아 수강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개발스택이 다르면 강의를 따라가는데에 많이 힘들까요?
-
미해결[개정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IntelliJ IDEA 설정
maven 빌드
너무나도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현재 Servlet, JSP 실습 강의를 듣고 있는 와중에 dependency를 추가하였음에도 좌측에 Maven:javax.servlet:javax.servlet-api:4.0.1 이 의존성 주입이 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Maven 버튼을 클릭하여 빌드를 다시 시행하였음에도 문제가 지속되어 해당 내용을 지웠다가 다시 반복하여도 똑같은 상황입니다. 뭐가 문제인건가요 ㅠㅠ?
-
미해결
Mysql 실행 후 값 안보임
mysql 실행을 했는데 값이 안보입니다..output 나오는걸로 봐서는 실행은 되는 것 같은데 값은 안보이네요ㅠㅠ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8bit 연산 Tb 시뮬레이션 질문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FPGA 18장, 곱셈코어 시뮬레이션[2. 질문 내용] : 시뮬레이션을 돌릴때 num_cnt를 4096으로 설정했는데도 불구하고 addr0_b0, addr0_b1의 최고값이 7777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4096까지 돌아야 된다고 생각하는데 왜 7777에서 시뮬레이션이 마무리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ㅎㅎ
-
해결됨[Python 초보] Flutter로 만드는 ChatGPT 음성번역앱
음성 통신 테스트 안됨
음성 통신 테스트를 할때녹음을 못하는것 같습니다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python test_total_mic.py 하면 밑에처럼 뜹니다.... 마이크 설정은 부록을 보고 켜져있는것을 확인했습니다,,,, 녹음을 시작합니다!녹음을 종료합니다.Error in sys.excepthook:Original exception was: 제가 친 코드 입니다from openai import OpenAI from pathlib import Path import sounddevice as sd from scipy.io.wavfile import write from playsound import playsoundclient = OpenAI() def record_audio(): #비트레이트 fs = 44100 seconds = 3 # 음성의 길이 print('녹음을 시작합니다!') record = sd.rec(int(seconds*fs), samplerate=fs, channels=2) sd.wait() #대기 print('녹음을 종료합니다.') audio_input_path = "audio_input.wav" write(audio_input_path,fs,record) return audio_input_pathdef conn_whisper(audio_input_path): audio_file= open(audio_input_path, "rb") transcription = client.audio.transcriptions.create( model="whisper-1", file=audio_file ) print(transcription.text) text_input = transcription.text return text_inputdef conn_chatgpt(text_input): completion = client.chat.completions.create( model="gpt-4o-mini", messages=[ {"role": "user","content": text_input} ] ) print(completion.choices[0].message.content) text_output = completion.choices[0].message.content return text_outputdef conn_tts(text_output): speech_file_path = Path(__file__).parent / "audio_output.mp3" response = client.audio.speech.create( model="tts-1", voice="alloy", input=text_output ) response.stream_to_file(speech_file_path) audio_output_path = str(speech_file_path) return audio_output_pathdef main(): #마이크 input => audio_intput_path audio_input_path = record_audio() audio_input = open(audio_input_path,"rb") text_input = conn_whisper(audio_input) text_output = conn_chatgpt(text_input) audio_output_path = conn_tts(text_output) playsound(audio_output_path) returnmain()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입력 매개변수 Model model의 유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입력 매개변수로 Model model을 쓰는 상황과 안 쓰는 상황을 구별하지 못하겠습니다.
-
미해결중고급 SQL과 실전 데이터 분석 101 문제 풀이
연습문제 28번 관련
안녕하세요. 풀이중에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납깁니다.연습문제 28번에 2가지 방식의 쿼리문을 설명해주셨는데요, 결과값이 각각 43 row, 42 row로 반환이 되어 다른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 두가지 방식 중에 어떤 것이 더 확실한 방법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return "hello"가 html인지 string 값인지 어떻게 구별할 수 있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첫 번째 예시>섹션 2 - View 환경설정에서의 예시 코드@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return "hello"; }여기에서 return 값은 hello.html의 이름과 같아야 하기 때문에 return "hello"라고 해야 한다고 하셨는데 "hello.html"인지, String "hello"인지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정적 컨텐츠일 때에는 항상 html의 이름과 같은 문자를 return해줘야 하나요? <두 번째 예시>섹션 3 - API 강의에서 첫 번째 예시@GetMapping("hello-string") @ResponseBody public String helloString(@RequestParam("name") String name) { return "hello " + name; }여기에서 return 값이 "hello " + name인데 "hello.html"인지, String "hello"인지 어떻게 아나요? 이때는 항상 String 값을 return해줘야 하나요?-------------------------------------------------입력 매개변수로 Model model을 쓰는 상황과 안 쓰는 상황이 잘 이해가 안 감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RememberMeService가 필요한 이유?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저의 질문은RememberMe의 존재 이유를 잘 모르겠습니다.로그인이 안풀리게 하려는건가요 ?그러면 세션의 유지시간을 길게 잡을 수 있을 것 같은데, 복잡하게 JSESSIONID와 REMEMBER 조합으로 쓰는 이유가 와닿지가 않네요. 어떠한 이유로 이게 생긴것이고, 어떤 상황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파이어베이스 - 채팅 어플리케이션 만들기[2023.12 리뉴얼]
notification 관련 부분은 예전 강의를 들어야 하나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유익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 새로 리뉴얼된 섹션 1~12까지 강의 중에,notification 부분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 notification 부분을 들으려면,이전 강의인 섹션 20으로 대체해야 하는 걸까요? 섹션 13부터는 예전 강의로,Deprecated라고 써져 있는데,notification 사용방법은 그것을 따라하면 되는지궁금해서 글을 씁니다. 혹시, 달라졌다면 어느 부분을 참고해서 공부하면 좋을지조언도 조금만 부탁드립니다.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spring data jpa로 반환할 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EntityGraph를 이용하여 페이징 한계를 돌파할 때 리포지토리public interface Ord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Order, Long> { @EntityGraph(attributePaths = {"member", "delivery", "orderItems", "orderItems.item"}) Page<Order> findAll(Pageable pageable);}컨트롤러단@GetMapping("/api/v3.1/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sV3_page( @RequestParam(value = "offset", defaultValue = "0") int offset, @RequestParam(value = "limit", defaultValue = "100") int limit ) { Pageable pageable = PageRequest.of(offset, limit); Page<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pageable); return orders.stream() .map(OrderDto::new) .collect(Collectors.toList());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orderItems 이것이 @OneToMany관계에 있어 DB의 데이터가 늘어나게 되기 때문에(orderItem개수에 따라) @EntityGraph(attributePaths = {"member", "delivery"}) 이렇게 적고 컨트롤러 단에서 동일하게 실행하게 되면 OrderDto::new 이것을 실행하게 되면서 Lazy전략으로 값을 가져오게 되어 페이징을 올바르게 처리할 수 있고, 만일 이때 값을 한번에 묶어서 가져오고 싶으면 @BatchSize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하였는데 올바르게 이해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B 제가 개념을 잘 못 이해한걸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L의 지점을 조합을 이용해서 시작과 끝점을 vector<vector<int>> landList에 저장해서 완전 탐색 식으로 위치를 바꿔가면서 최단거리를 만들어 봤는데 시간 초과가 났습니다. 250콤비네이션2이면 괜찮을거 같았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2. 치킨배달에 풀이 아이디어를 이용해서 적용했는데 이런식으로 접근 방식도 맞을까요?? https://www.acmicpc.net/source/84507554#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string s; int n,m,a[54][54],x,y,ex,ey; int visited[54][54]; vector<pair<int,int>>land; vector<vector<int>> landList; queue<pair<int,int>> q; vector<pair<int,int>>finish; const int dy[4] = {-1, 0, 1, 0}; const int dx[4] = {0, 1, 0, -1}; int ret = -1; void combi(int start, vector<int> v){ if(v.size() == 2){ landList.push_back(v); return; } for(int i = start + 1; i < land.size(); i++){ v.push_back(i); combi(i,v); v.pop_back(); } } int main(){ cin >> n >> m; for(int i =0; i <n;i++){ cin >> s; for(int j=0; j<m;j++){ if(s[j] == 'L'){ a[i][j] = 1; land.push_back({i,j}); } if(s[j] == 'W') a[i][j] = 0; } } vector<int> v; combi(-1,v); for(vector<int> lList : landList){ fill(&visited[0][0], &visited[0][0] + 54*54, 0); for(int ll :lList){ if(q.size() == 1){ finish.push_back({land[ll].first, land[ll].second}); }else{ visited[land[ll].first][land[ll].second] = 1; q.push({land[ll].first, land[ll].second}); } } while(q.size()){ tie(y,x) = q.front();q.pop(); for(int i = 0; i < 4; i++){ int ny = y + dy[i]; int nx = x + dx[i]; if(nx < 0 || ny < 0 || ny >= n || nx >= m || !a[ny][nx]) continue; if(visited[ny][nx]) continue; visited[ny][nx] = visited[y][x] + 1; if(visited[finish[0].first][finish[0].second]){ ret = max(ret, visited[finish[0].first][finish[0].second]); finish.clear(); break; } q.push({ny,nx}); } } } cout << ret+1 << "\n"; return 0; }
-
해결됨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스프링 레거시에서 프로메테우스를 통한 메트릭 수집
강사님 안녕하세요. 만약 스프링부트가 아닌 스프링 레거시 프로젝트와 같은경우cpu 사용량확인 및 메모리 확인 엔드포인트, 메트릭api 를 직접 구현해서 프로메테우스에서 수집하도록 해야할까요? 스프링 레거시프로젝트에서는 Actuator 라이브러리를 못쓰는걸로 알거든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data 변수명에 대해
안녕하세요.flutter 중급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지금까지 수많은 변수명들을 작성해 왔는데요.그중에서 data라는 변수명들이이 클래스마다 여러곳에 배치되어 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헷갈려하지 않기 위해 앞의 약자를 덧붙여 자신만의 변수명을 만들어 왔습니다. ex) final List<T> data; --> final List<T> cpData;하지만 [pagination params추가하기] 강의를 듣는 도중에 테스트를 해보니E/flutter (21276): [ERROR:flutter/runtime/dart_vm_initializer.cc(41)] Unhandled Exception: type 'Null' is not a subtype of type 'List<dynamic>' in type cast오류가 발생하였고 혹시 몰라서 data를 원래대로 되돌리고 실행해 보았는데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습니다.변수명을 바꿀뿐이였는데 타입을 NULL로 인식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콘솔창에 flutter pub run build_runner watch 실행중이였습니다.)
-
해결됨시니어 면접관이 알려주는 개발자 취업과 이직 한방에 해결하기 [실전편]
비동기 메시지 처리 아키텍처 이미지 질문
해당 다이어그램을 소개시켜주시는 부분에서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결제만 정상적으로 하고 유저에게 성공응답을 주며, 주문완료 이벤트를 발행하게 됩니다. 이때 재고가 없을 경어에 문제가 발생할 것 같은데요.궁금한점은 재고차감에서 실제 재고가 없어서 차감을 하지 못할 경우에, 유저에게 주문 실패 또는 배송 및 이메일 발송을 모두 최소해야 할 것 같습니다.따라서 이벤트를 2개로 나누어서, 결제완료 이벤트와 주문완료 이벤트를 분리하거나, 재고 차감까지 동일 트랜잭션으로 묶어야 적절한 그림이 될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임베디드 타입과 @MappedSuperClass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둘의 역할이 매우 유사하고, 임베디드 타입을 잘 활용하면 굳이 상속관계를 맺어야 하는 @MappedSuperClass가 필요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MappedSuperClass를 사용하면 나중에 상속을 시키고 싶어도 못하게 되고.. 딱히 장점이 없는 것 같은데 실무에서는 둘 중 어떤 것이 더 많이쓰이고 각각 어떤 때에 주로 쓰이는 지 알수있을까요
-
미해결3dsmax 초급부터 전문가까지 - 한방에 끝내는 3dsmax 강좌
하이폴리곤 제작 질문
노말맵을 위해 하이폴리곤을 제작하려하는데요 터보스무스만을준놈을 하이폴리곤으로 쓰면 안되나요 한번시도해봤는데요 파란영역도 엄청 깨져서 나오고 그대로 랜더링해봐도 아무런변화가없습니다
-
미해결백엔드 프레임워크 만들기 (개정판)
섹션 2 의 심화 파트에 대한 (파일올리기) 질문이에요
(심화) 되어있는 것은 같이 구현해보지 않는 것인가요?inflearn 의 어디 프로젝트를 들어가서 보아야 하나요?아니면 뒤에서 같이 구현해보는데 앞에서 대략적인 설명을해주신 걸까요 ?섹션3 듣기 시작한 상태입니다!
-
해결됨백엔드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하기
성능 테스트 스크립트 실행결과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성능 테스트 스크립트config: target: 'http://localhost:8080' phases: - duration: 30 arrivalRate: 20 name: Warm up - duration: 10 arrivalRate: 20 rampTo: 2000 name: Ramp up load - duration: 10 arrivalRate: 2000 name: Sustained load - duration: 30 arrivalRate: 2000 rampTo: 20 name: End of load scenarios: - name: "high load cpu" flow: - get: url: "/high-load-cpu" - name: "high load memory" flow: - get: url: "/high-load-memory"실행결과Started phase 0 (Warm up), duration: 30s @ 15:00:57(+0900) 2024-09-29 Report @ 15:01:07(+0900) 2024-09-29 Elapsed time: 10 seconds Scenarios launched: 199 Scenarios completed: 199 Requests completed: 199 Mean response/sec: 20 Response time (msec): min: 1 max: 324 median: 48 p95: 53.5 p99: 296 Codes: 200: 199 Report @ 15:01:17(+0900) 2024-09-29 Elapsed time: 20 seconds Scenarios launched: 200 Scenarios completed: 200 Requests completed: 200 Mean response/sec: 20 Response time (msec): min: 1 max: 164 median: 48 p95: 49 p99: 118.5 Codes: 200: 200 Report @ 15:01:27(+0900) 2024-09-29 Elapsed time: 30 seconds Scenarios launched: 200 Scenarios completed: 200 Requests completed: 200 Mean response/sec: 20 Response time (msec): min: 1 max: 185 median: 3 p95: 50.5 p99: 146 Codes: 200: 200 Started phase 1 (Ramp up load), duration: 10s @ 15:01:27(+0900) 2024-09-29 Report @ 15:01:37(+0900) 2024-09-29 Elapsed time: 40 seconds Scenarios launched: 1379 Scenarios completed: 1330 Requests completed: 1330 Mean response/sec: 137.9 Response time (msec): min: 1 max: 878 median: 63 p95: 481 p99: 730 Codes: 200: 1330 Report @ 15:01:47(+0900) 2024-09-29 Elapsed time: 50 seconds Scenarios launched: 1884 Scenarios completed: 1841 Requests completed: 1841 Mean response/sec: 189.35 Response time (msec): min: 2 max: 2192 median: 389 p95: 1435.9 p99: 1679.5 Codes: 200: 1841 Report @ 15:01:57(+0900) 2024-09-29 Elapsed time: 1 minute, 0 seconds Scenarios launched: 1938 Scenarios completed: 1921 Requests completed: 1921 Mean response/sec: 197.05 Response time (msec): min: 2 max: 2391 median: 553 p95: 1766 p99: 2121.3 Codes: 200: 1921 Report @ 15:02:07(+0900) 2024-09-29 Elapsed time: 1 minute, 10 seconds Scenarios launched: 1999 Scenarios completed: 1825 Requests completed: 1825 Mean response/sec: 200.2 Response time (msec): min: 3 max: 3944 median: 951 p95: 2591.8 p99: 2944.8 Codes: 200: 1825 Report @ 15:02:17(+0900) 2024-09-29 Elapsed time: 1 minute, 20 seconds Scenarios launched: 2051 Scenarios completed: 1920 Requests completed: 1920 Mean response/sec: 203.88 Response time (msec): min: 275 max: 4463 median: 1762.5 p95: 3452 p99: 3868.6 Codes: 200: 1920 Errors: ETIMEDOUT: 15 Started phase 2 (Sustained load), duration: 10s @ 15:02:25(+0900) 2024-09-29 Report @ 15:02:27(+0900) 2024-09-29 Elapsed time: 1 minute, 30 seconds Scenarios launched: 2352 Scenarios completed: 1754 Requests completed: 1754 Mean response/sec: 228.47 Response time (msec): min: 729 max: 5593 median: 2867.5 p95: 4719.8 p99: 4972.5 Codes: 200: 1754 Errors: EPIPE: 1 ECONNRESET: 8 ETIMEDOUT: 200 Report @ 15:02:37(+0900) 2024-09-29 Elapsed time: 1 minute, 40 seconds Scenarios launched: 5182 Scenarios completed: 1679 Requests completed: 1680 Mean response/sec: 522.91 Response time (msec): min: 2409 max: 8590 median: 5161.5 p95: 7927 p99: 8578.7 Codes: 200: 1680 Errors: ETIMEDOUT: 235 ECONNRESET: 67 Report @ 15:02:47(+0900) 2024-09-29 Elapsed time: 1 minute, 50 seconds Scenarios launched: 2948 Scenarios completed: 322 Requests completed: 321 Mean response/sec: 294.51 Response time (msec): min: 7959 max: 9752 median: 8775 p95: 9748 p99: 9750 Codes: 200: 321 Errors: ETIMEDOUT: 3978 ECONNRESET: 45 Report @ 15:02:57(+0900) 2024-09-29 Elapsed time: 2 minutes, 0 seconds Scenarios launched: 3922 Scenarios completed: 0 Requests completed: 0 Mean response/sec: 392.2 Response time (msec): min: NaN max: NaN median: NaN p95: NaN p99: NaN Errors: ETIMEDOUT: 2937 ECONNRESET: 434 EPIPE: 2 Report @ 15:03:07(+0900) 2024-09-29 Elapsed time: 2 minutes, 10 seconds Scenarios launched: 3060 Scenarios completed: 0 Requests completed: 0 Mean response/sec: 304.17 Response time (msec): min: NaN max: NaN median: NaN p95: NaN p99: NaN Errors: ETIMEDOUT: 3260 ECONNRESET: 389 우선 30초까지는 Warm up 단계로 요청을 잘 처리한거 같습니다. 그 다음 Ramp up load 단계는 10초 동안 초당 20개에서 초당 2000개로 늘렸는데 실제 터미널 콘솔에 찍힌걸 보면 Scenarios completed: 1000 Requests completed: 1000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저는 최소 2000개 요청을 보냈는데 저렇게 찍힌걸 보면 40초까지 1000개만 처리 완료했지만 실제로는 요청이 더 온 상태고 해당 요청에 대해서는 처리를 완료하지 못한 상태라고 해석하면 될까요?Sustained load 단계에서는 10초 동안 초당 2000개의 요청을 계속 보내는 상태인데요 그럼 10초 동안 총 20000개의 요청이 가야하는데 실제 실행 결과를 보면 10초 동안 20000개의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고 계속해서 요청을 처리하다가 나중에는 거의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에 오는데요 이 부분은 서버에 요청을 처리할 자원이 거의 없는 과부하 상태라고 해석하면 될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시리즈 선택과 데이터프레임 선택이 강의와 다르게 나와요.
테이블형식으로 구성되는게 데이터프레임,그냥 숫자의 나열로 돼있는게 시리즈라서 이해하였는데시리즈 선택에서 나오는 결과물이 강의와 다르게데이터프레임의 결과물처럼 나오네요.뭐가 잘못된건지를 모르겠어요.